•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대상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간호전략의 근거를 확보하기위해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 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경기도 소재 A대학병원 외래에 내원한 대사 증후군 환자 190명을 임의 표출하여 선정기준에 적합한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 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7월 1일부터 8월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 다.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은 강세원(2007)이 개발한 도구, 자기효능감은 Sherer 등(1982)이 개발하고 정영선(2002)이 수정 보완한 도구, 삶의 질은 민성길 등(2000) 이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 준편차 t-test, one-way ANOVA로,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은 평균 90.32±15.07점(최대 144점)으로, 생활습관의 하위 구성요소는 스트레스관리가 8.54±2.1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약물복용과 건강검진(11.25±2.79), 수면과 휴식(5.28±1.72), 식습관(40.71±7.55), 신체활동과 체중 관리(16.94±4.88)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평균 70.21±15.62점 (최대 100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삶의 질 점수는 78.80±11.41점(최 대 130점)이었으며 하위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사회적 영역이 9.67±1.9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환경적 영역 (25.1±4.86), 일반적 영역( 6.01±1.32), 신체적 영역 (20.41±3.28), 심리적 영역 (17.40±3.00) 순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은 연령(F=4.833, p=.009), 폐경 (t=-2.676, p=.009), 종교유무(t=.375, p=.02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성별(t=3.130, p=.002), 직업 (t=3.351, p=.001), 최종학력(F=6.557,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성별(t=2.05, p=.041), 직업유무 (t=2.085, p=.038), 최종학력(F=6.623,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3.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은 허리둘레 80cm미만인 여성 (t=2.367, p=.02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허리둘레 가 80cm미만인 여성(t=2.102, p=.038), 공복혈당 100mg/dl이상(t=-2.823,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은 공복혈당 100mg/dl이상 (t=-2.005, p=.04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과 자기효능감(r=.294, P<.001), 생활습관과 삶의 질 (r=.452, p<.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r=.534, P<.001)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고 대사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 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1) 지역사회 대사증후군 대상자로 반복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2)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사증후군 환자의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연 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미령 (2014). 제2형 당뇨병환자의 심리적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지식, 자기효능감 과의 상관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강지순, 강현숙, 윤은경, 최현림 (2012),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4(2), 191-199

곽민영 (2011). 비만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간의 관련성. 고 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고성식 (2009). 복합운동 트레이닝 유형이 중년여성의 건강체력과 신체구성 및 대사 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7(2), 89-97.

권호준, 선승옥 (2012). 고도비만여성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건강관련 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6(2), 1-13.

김경한, 박계순, 이한준, 김병로, 김정기, 박혜진, 전찬복, 김린, 이호준, 김정훈 (2009). 수중과 지상에어로빅스 운동이 대사증후군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요 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3), 467-477.

김금자 (2010).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횡학제간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건강행위자 기효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김내연 (2013).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중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미영 (2010). 천식환자의 건강행위와 삶의 질.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김민경 (2011).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영향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서울.

김유진, 오상우 (2012). 한국인의 남여 직업군별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위험. 대 한 비만학회지. 21(2).108-114.

김상훈 (2009).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비만, 체력 및 대사증후군 지 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29(3), 823-835.

김선정 (2007).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아주대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17(4), 182-187.

이은희 (2010). 노인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TLC(Therapeutic Lifestyle Change)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서울.

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한국대사증후군포럼(2012). 대사증후군-뱃살에 숨어있는 생로병사의 비밀.

http://www.대사증후군.org/bbs/board.phpbo_table=metabol_data&wr_id=2052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90&subIdx=4 retrieved from April 1, 2014.

한금선, 박영희, 김소남, 이숙자, 양승희 (2013). 대사증후군환자의삶의질에영향을미 치는요인. 스트레스연구, 21(4),303-311.

Chedraui P, Hidalgo L, Chavez D, Morocho N, Alvarado M, Huc A (2007).

Quality of life among postmenopausal Ecuadorian women participating in a metabolic syndrome screening program. Maturitas, 56, 45–53.

Chipperfield, J, Newall,N Loring P. Chuchmach, Audrey U. Haynes(2008).

Differential Determinants of Men’ and Women’s Everyday Physical Activity in Later Life, J 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63(4), 211–218

Cohen BE, Panguluri P, Na B (2010). Psychological risk factor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Findings from the Heart and Soul Study. Psychiatry Res. 175, 133-137

Corica F, Corsonello A, Apolone G (2007). Metabolic syndrome,Differential Determinants of Men’ and Women. Everyday Physical Activity in Later Life psychological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obesity: The QUOVADIS study. Int J Obes, 32, 185–191.

Ford ES, Li C (2008).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among U.S. adults. Ann Epidemio, 18, 165–171.

Grundy, S. M, Cleeman, J. L, Merz, C. N, Brewer, H. B, Jr, Clark, L. T., Hunninghake, D. B (2004). Implications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Ⅲ guidslines. Circulation, 110(2), 227-239

Jeon JH, Kim SH (2012). Depression, stress and how they are related with health behavior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women over 40 year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6, 263-273.

Jung JW, Shin HC, Park YW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stress and depression-among the 35-64 years old clients of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center in one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Health Promot. 4, 10-17.

Juhani M, Leo KN, Heimo V (2008). Metabolic syndrome is associated with self-perceived depression. Scand J. Prim. Health Care, 26, 203-210

Kim CJ, Park JW, Park HR (2014). Effects of a community-based intervention on cardio-metabolic risk and self-care behaviour in older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20, 212–220 Mottillo, S., Filion, K. B, Genest, J., Joseph, L., Pilote, L., Poirier, P., Eisenberg,

M. J (2010).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6, 1113-1132.

Roriz-Cruz M, Rosset I, Wada T (2007). Stroke-in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functional dependence, depression, and low quality of life in elderly community-dwelling Brazilian people. J Am Geriatr Soc, 5, 374–382.

Sherer. M &Maddux. JE (1992). The self efficacy sacale: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Scholtz W, Ambery Ph, Syddall HE, Crozier SR, Sayer CA, Cooper Phillips DIW (2006). Specific associations of insulin resistance with impair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Hertfordshire. Qual Life Res, 16. 429–

436.

Stuckey MI, Shapiro S, Gill DP, Petrella RJ1.(2013), A lifestyle intervention

supported by mobile health technologies to improve the cardiometabolic risk profile of individuals at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study rationale and protocol. BMC Public Health. 7(13). 1051.

<부록 1>

<부록 2>

연구대상자 번호 담 당 의 사

연령 만 세

성별 ☐①남성 ☐②여성

가족동거유형 ☐①혼자생활 ☐②부부 둘만 생활

☐③자녀들과 생활 ☐④기타

최종학력 ☐①중졸이하 ☐②고졸 ☐③대졸이상

결혼상태 ☐①기혼 ☐②미혼

종교 ☐①있다 ☐②없다

직업 ☐①있다 ☐②없다

여성만 ☐① 폐경함 ☐② 폐경안함

키 cm

체중 kg

허리둘레측정치 cm inch

내용 10점 20점 30점 40점 50점 60점 70점 80점 90점 100

이 질문지는 생활습관에 대한 질문입니다. 다음 중 해당부분에 “V” 해주세요

이 질문지는 생활습관에 대한 질문입니다. 다음 중 해당부분에 “V” 해주세요

다음 각 질문을 읽고, 당신의 느낌을 평가한 후, 해당하는 곳에 √표시를 해 주십시오 .

다음 문제들은 지난 2주간 당신이 어떤 것들을 “얼마나 전적으로” 경험하였으며 혹은

매우

-ABSTRACT-The Association among Lifestyle,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Soon Jeoung Choi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i Sook Song, RN.,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among lifestyle,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and analyz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o lay the foundation of the nursing strategy for managing the patients effectively.

190 out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who understood this purpose, consented to the research, and met the criteria for selection were randomly sampled and were asked to complete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ly 1 to August 31, 2015.

The scale developed by Ghang (2007) was used to measure the respondents' lifestyle; Jeong's (2002) adaptation of the scale developed by Sherer et al. (1982) was used to measure self-efficacy;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 quality of life scale (simplified), as translated by Min et al. (2000), wa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an SPSS WIN 21.0 program to determine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rform t-test, one-way ANOVE, and Scheffe's test, and estimat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y scored an average of 90.32±15.07 out of 144 for lifestyle; as for its sub-factors, they scored 8.54±2.19 for stress management, 11.25±2.79 for medication and medical checkup, 5.28±1.72 for sleep and rest, 40.71±7.55 for dietary habits, and 16.94±4.88 for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They scored relatively high (an average of 70.21±15.62 out of 100) for self-efficacy.

They scored an average of 78.80±11.41 out of 130 for the quality of life; as for its sub-factors, they scored 9.67±1.91 for the social area, 25.1±4.86 for the environmental area, 6.01±1.32 for the general area, 20.41±3.28 for the physical area, and 17.40±3.00 for the psychological area.

2. Lifestyle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age (F=4.833, p=.009), menopausal status (t=-2.676, p=.009), and religious status (t=.375, p=.021) among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gender (t=3.130, p=.002), occupation (t=3.351, p=.001), and education level (F=6.557, p=.003). The quality of life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gender (t=2.05, p=.041), employment status (t=2.085, p=.038), and education level (F=6.623, p=.002).

3. Lifestyle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females with a waist measure of <80 cm (t=2.367, p=.020) among the respondent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females with a waist measure of <80 cm (t=2.102, p=.038) and fasting blood sugar of ≥100 mg/dl (t=-2.823, p=.005). The quality of life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fasting blood sugar of ≥100 mg/dl (t=-2.005, p=.046).

4.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ifestyle and self-efficacy (r=.294, P<.001), between lifestyle and the quality of life (r=.452, p<.001), and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r=.534, P<.001).

To put the results together,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re are correlations among lifestyle,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and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patients.

Key words : Metabolic Syndrome, Self-Efficacy, Lifestyle, Quality of Lif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