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본 연구 대상자는 총 183명으로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175명(965.6%)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연령은 ‘20∼

29세’가 57.4%로 평균 29.7세로 나타났다. 결혼유무는 ‘미혼’ 74.3%, ‘기혼’ 25.7%로

‘미혼’이 가장 많았으며 ‘육아를 하는 대상자’는 15.8%였고 자녀수는 ‘1명 이상’이 19.1%로 평균 1.28명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 이상’이 77.6%이었고, ‘음주를 하지 않는 대상자’는 34.8%, ‘음주 하는 대상자’는 65.3%로 나타났다. ‘운동은 안한다’가 66.2%, ‘운동 하는 대상자’가 33.9%이었으며, 수면을 제한하는 이유로는 ‘취미생활’

이 27.6%, ‘학업’ 16.7%, ‘육아’가 16.2%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 이상 이 85.3%, ‘나쁨’은 14.8%이었고, 건강악화 이유로는 ‘교대근무’가 59.0%, ‘불규칙한 식사’는 27.1%, ‘과다한 업무’는 12.4%이었다. 질환이 ‘진단받지 않은 대상자’는 95.7% 로 대부분이었고 질환을 ‘진단받은 대상자’는 4.3%이었다.

▶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83)

특성 분류 n (%) M±SD (range)

성별 8 (4.4)

  175 (95.6)

연령 20-29세 105 (57.4) 29.72±4.89(23-43)

  30-39세 66 (36.1)

B. 연구 대상자의 수면관련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수면관련 특성은 <표 2>와 같다.

‘주중 수면시간은 7시간 이하 군’이 68.9%로, 평균시간이 6.87시간이었다. 밤에 깨는 횟수는 ‘2회 이하’가 71.6%이고 ‘3회 이상’은 28.4%이었고, 낮잠은 ‘안잔다’가 57.4%, ‘낮잠 자는 대상자’가 42.6%이었다. ‘카페인을 섭취하는 대상자’는 90.7%로 평균 1.55잔이었고, ‘약물을 복용하는 대상자’는 8.2% 였다. 수면의 질은 점수가 높 을수록 수면의 질이 높음을 의미하여 본 연구 대상자는 평균 46.77±13.22점으로 나 타났다.

▶ 표 2. 대상자의 수면관련 특성

C. 연구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은 <표 3>과 같다.

근무부서는 ‘내과병동’ 23.5%, ‘외과병동’ 20.2%, ‘중환자실’ 37.7%, ‘응급실’ 18.6%

이었다. 근무경력은 평균 6.32년으로 ‘5∼9년’이 29.5%, ‘10년 이상’이 26.8%로 나타 났고,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61.7%, ‘책임 간호사’가 38.3%이었다. 급여수준은 ‘251

∼300만원’이 55.7%, ‘301만원 이상’이 41.6%로 나타났다. 월 야간근무 일수는 ‘6∼7 일’이 80.5%로 평균 6.71일이었다.

▶ 표 3.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

D. 연구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

본 연구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는 <표 4>와 같 다.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 평균은 9.21±3.72점이였고 정상 대상자는 56.8%, 주간 수면과다증 경향의 대상자는 43.2%이었다.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170.78±19.35점이 였고, 하위 영역 평균으로는 의사와 갈등 12.73±2.05, 간호업무 25.39±3.26, 근무표 29.47±4.24, 보호자와 환자 16.61±2.78, 심리적 부담 11.94±1.72, 대인관계 23.35±3.75, 역할갈등 19.10±2.97, 전문지식 14.87±2.45, 간호사 대우 17.32±3.79 순이 었다. 우울증상의 평균은 18.87±8.18점이였고, 정상 대상자는 37.7%, 경증우울 대 상자는 41.5%, 중증우울 대상자는 20.8%였다.

▶ 표 4.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

E.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 트레스, 우울증상 정도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는 <표 5>와 같다.

주간수면과다증 정도는 ‘주관적 건강상태’(F=3.00, p=.05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나쁨‘이 ’좋음‘보다 주간수면 과다증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성별(t=-2.08, p=.039), 최종학력(F=2.88, p=.058), 운동 (F=2.67, p=.049), 주관적 건강상태(F=4.77, p=.01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성별은 ‘여자’가 ‘남자’보다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사후 검증 결과 최종학력 중 ‘석사이상’이 ‘학사 졸업’보다, ‘운동을 안함’이 ‘운동 3회 이 상’ 보다, ‘주관적 건강상태 나쁨’이 ‘좋음’보다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 다.

우울증상 정도는 자녀(F=5.42,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2명의 자녀‘가 ’자녀 1명 이하‘보다 우울증상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 다.

▶ 표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 (N=183)

특성 분류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성별 8.25±2.05 -0.74 .458 157.0±13.52 -2.08 .039 19.0±6.48 0.04 .965

  9.25±3.78 171.41±19.36 18.87±8.27

연령 20-29세 9.48±3.99 1.83 .164 168.43±17.71 1.91 .151 19.04±7.92 0.50 .607

  30-39세 9.12±3.36 173.56±22.04 19.03±8.08

  ≥40세 7.33±2.77 176.00±15.12 16.58±11.03

결혼 미혼 9.38±3.86 1.08 .281 170.14±18.87 -0.76 .451 19.37±7.83 1.39 .161

상태 기혼 8.70±3.29 172.62±20.77 17.45±9.07

육아 없음 9.28±3.75 0.60 .550 170.25±19.22 -0.84 .401 19.05±7.89 0.68 .500

  있음 8.83±3.61 173.56±20.11 17.93±9.70

자녀 0명 9.28±3.79 1.81 .166 169.76±18.81 1.39 .251 19..16±7.94 5.42 .005

1명 7.84±3.30 172.63±19.82 13.79±5.16 c>a,b

2명 10.13±3.30 177.94±23.12 22.31±10.81

최종 전문대졸 9.27±3.54 0.29 .746 172.76±16.28 2.88 .058 19.61±8.28 0.22 .801 학력 학사졸업 9.32±3.87 168.23±19.66 c>b 18.61±7.23

  석사이상 8.75±3.48 177.00±20.68 18.84±9.67

음주 거의 마시지 않음 9.52±3.79 0.46 .632 173.89±17.77 1.26 .286 18.00±9.20 1.38 .255 일주일에 1-2일 8.97±3.77 168.91±20.72 18.87±7.23

일주일에 3일 이상 9.43±3.34 170.71±16.25 21.43±9.18

운동 안한다 9.36±3.37 1.15 .332 172.68±19.99 2.67 .049 19.04±8.23 0.17 .917 1회 9.41±3.96 171.79±16.09 a>c 19.12±8.06

2회 7.67±3.57 160.44±15.02 17.72±8.80

3회 이상 9.45±6.27 163.82±22.97 18.18±7.90

수면 학업 9.91±4.31 0.49 .742 168.71±18.61 0.92 .458 20.06±8.47 0.52 .725

제한 육아 8.77±3.55 173.13±21.44 17.55±9.64

이유 취미생활 9.32±3.60 168.32±19.47 18.42±8.05

기타 9.00±4.47 177.93±17.12 20.21±7.17

없음 8.94±3.28 171.31±19.01 19.00±7.55

주관적 좋음 8.24±3.47 3.00 .052 166.13±19.03 4.77 .010 17.47±7.22 2.29 .104 건강 보통 9.31±3.52 c>a 170.39±19.98 c>a 18.78±8.78

상태 나쁨 10.42±4.63 180.46±13.31 21.73±6.42

건강 교대근무 9.15±3.76 0.30 .824 170.01±19.95 0.87 .456 18.82±8.50 0.42 .743

악화 불규칙한 식사 9.48±4.00 173.50±18.35 18.65±7.39

이유 과다한 업무 8.71±3.00 169.48±18.62 20.14±8.82

기타 10.50±0.71 155.00±21.21 14.00±5.66

진단 8.44±3.85 -1.16 .250 176.33±17.42 1.62 .106 18.74±7.63 -0.09 .927

질환 9.34±3.70 169.81±19.55 18.90±8.30

F. 연구 대상자의 수면관련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 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

대상자의 수면관련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는

<표 6>과 같다.

주간수면과다증 정도는 낮잠(F=4.19, p=.01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주 3회 이상 낮잠 잠’이 ‘주 1∼2회 낮잠 잠’과 ‘낮잠 안잠’

보다 주간수면과다증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주중수면시간(F=2.74, p=.045), 복용약물(t=-2.19, p=.03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약물은 복용함’이 ‘안함’보다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사후검증 결과 ‘주중수면시간 5시간 이하’가 ‘8∼9시간’보 다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우울증상 정도는 주중수면시간(F=3.80, p=.011), 낮잠(F=9.84, p<.001), 카페인 섭 취량(F=2.87,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주 중수면시간 5시간 이하’가 ‘6∼7시간’보다, ‘주 3회 이상 낮잠 잠’이 ‘주 1∼2회 낮잠 잠’과 ‘낮잠 안잠’보다, ‘3잔 이상 카페인 섭취함’이 ‘카페인 복용하지 않음’보다 우울 증상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 표 6. 수면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

(N=183)

특성 분류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수면 5시간 이하 ᵃ 9.72±3.86 0.68 .568 176.75±18.14 2.74 .045 23.09±7.85 3.80 .011 시간 6-7시간 ᵇ 9.29±3.98 171.95±19.00 a>c 17.74±7.20 a>b

8-9시간 ᵓ 8.55±2.66 164.60±19.66 17.98±8.60 10시간 이상 ᵈ 9.47±4.36 168.00±19.83 19.47±11.01

밤에 0회 ᵃ 8.77±3.62 0.83 .439 166.15±17.52 1.64 .197 17.08±5.89 2.60 .077

깨는 1-2회 ᵇ 9.05±3.47 170.20±19.85 18.30±8.28

횟수 3회 이상 ᵓ 9.75±4.25 174.25±18.92 20.94±8.69

낮잠 안잔다 ᵃ 8.82±3.80 4.19 .017 172.55±19.70 1.26 .286 18.95±8.45 9.84 <.001 주 1-2회 ᵇ 9.29±3.09 c>a,b 167.74±19.54 17.02±6.43 c>a,b 주 3회 이상 ᵓ 11.92±4.99 171.62±14.09 27.54±8.72

카페인 0잔 ᵃ 9.65±3.55 0.55 .651 171.29±21.02 1.24 .299 15.41±7.19 2.87 .038

섭취량 1잔 ᵇ 8.86±3.79 169.56±18.96 18.35±8.14 d>a

2잔 ᵓ 9.59±3.37 174.76±19.32 19.24±6.95

3잔 이상 ᵈ 9.42±4.36 166.54±19.40 22.54±10.26

복용 9.33±3.64 -0.14 .891 181.13±16.15 -2.19 .030 20.67±8.32 -0.89 .377

약물 9.20±3.74 169.85±19.38 18.71±8.18

G. 연구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 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는

<표 7>과 같다.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근무경력(F=6.25, p=.002), 직위(t=-2.63, p=.009)에 따라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위는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직무스트 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사후검증 결과 근무경력 ‘10년 이상’이 ‘0∼4년’보다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주간수면과다증, 우울증상은 근무관련 특성 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표 7.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정도 (N=183)

특성 분류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근무부서 내과 10.00±3.36 1.14 .333 173.70±18.00 1.01 .388 21.00±10.05 1.44 .233

외과 9.22±4.35 172.59±18.21 18.35±7.44

중환자실 8.67±3.58 170.07±21.26 18.57±7.18

응급실 9.29±3.67 166.53±13.00 17.38±8.08

근무경력 0-4년 9.57±4.26 1.59 .206 165.60±17.24 6.25 .002 19.04±7.76 0.05 .953 5-9년 9.39±2.92 172.46±19.80 c>a 18.59±8.86

10년 이상 8.41±3.51 177.37±20.12 18.92±8.24

직위 일반간호사 9.42±3.86 0.96 .338 167.86±17.86 -2.63 .009 19.05±7.96 0.38 .708 책임간호사 8.87±3.48 175.49±20.81 18.59±8.57

급여수준 201∼250만원 8.60±3.58 0.80 .494 166.40±13.50 1.48 .221 16.40±10.26 0.77 .511

  251∼300만원 9.49±4.00 168.51±18.09 19.65±7.99

  301∼350만원 9.18±3.03 173.00±21.00 17.80±8.69

351만원 이상 8.24±3.91 176.38±20.85 18.40±7.57

월 야간근무 3일 이내 9.75±3.10 1.19 .316 180.50±7.59 0.72 .542 18.00±4.76 0.72 .541

일수 4∼5일 8.05±3.50 174.14±15.04 16.64±7.01

6∼7일 9.43±3.73 170.26±19.89 19.14±8.56 8∼9일 8.11±4.20 166.78±22.91 20.44±4.39

H. 연구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과 관련요인 간의 관계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과 유의한 관련요인 간의 상관 관계는 <표 8>과 같다.

주간수면과다증은 직무스트레스(r=.202, p=.006), 우울증상(r=.299, p<.001)과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면의 질(r=-.330,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우울증상(r=.244,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수면의 질 (r=-.344,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증상은 수면의 질(r=-.422,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표 8.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과 관련요인 간의 상관관계

(N=183)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 수면의 질

r(p) 주간수면과다증

직무스트레스 .202 (.006)

우울증상 .299 (<.001) .244 (.001)

수면의 질 -.330 (<.001) -.344 (<.001) -.422 (<.001)

I. 연구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간수면과다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표 9>와 같다. 주간수면과다증을 종속 변수로 주 변수인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과 주간수면과다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인 주관적 건강상태, 낮잠, 수면의 질, 근무경력을 독립변수로 위계적 다중 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가정을 검정한 결과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Durbin-Watson 값은 2.200로 각 독립변수 간의 자기상관은 없었다. 변수에 대한 공차한계는 0.760∼0.955로 0.1이상이었고, VIF 값은 1.047∼1.316으로 10보다 작아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회귀분석 결과, 낮잠, 주관적 건강상태, 근무경력(0-4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모형에서 제외되었다.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상을 1단계에 투입하였을 때 회귀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81,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0.7%로 나타났 다. 이 중 유의한 영향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137, p=.061), 우울증상(β=.266, p<.001)으로 나타났다. 2단계는 수면의 질, 낮잠을 추가 투입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17,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4.6%로 나타났다. 이 중 유의한 영향요인은 우울증상(β=.185, p=.017), 수면의 질(β=-.225, p=.005)로 나타났 다. 3단계는 근무경력, 주관적 건강상태를 투입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고(F=9.23,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7.2%로 나타났다. 이 중 유의한 영향 요인은 수면의 질(β=-.224, p=.005), 우울증상(β=.177, p=.021), 근무경력(β=-.166, p=.019)의 순으로 주간수면과다증에 영향을 미쳤다.

▶ 표 9. 대상자의 주간수면과다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83)

⁕ 참조집단 : ᵃ 근무경력(5-9년)

Model Variables B SE β t p R² Adjusted R² F p

Model (상수) 2.43 2.33 1.04 .299

1 직무스트레스 0.03 0.01 .137 1.89 .061 .107 .097 10.81 <.001 우울증상 0.12 0.03 .266 3.66 <.001

Model (상수) 7.97 3.01 2.65 .009

2 직무스트레스 0.02 0.01 .079 1.07 .285 .146 .131 10.17 <.001 우울증상 0.08 0.04 .185 2.41 .017

수면의 질 -0.06 0.02 -.225 -2.84 .005

Model (상수) 7.19 2.99 2.41 .017

3 직무스트레스 0.02 0.01 .116 1.55 .123 .172 .153 9.23 <.001 우울증상 0.08 0.04 .177 2.33 .021

수면의 질 -0.06 0.02 -.224 -2.86 .005 근무경력(10년 이상) ᵃ -1.39 0.59 -.166 -2.37 .019

Ⅴ. 논의

결과(18.8%), Dixon, Dixon, Anderson, Schachter & O’Brien (2007)의 연구에서는 체질량 지수가 35 이상인 비만인 사람에서 연구 결과(30%)로 보고하였다. 간호사

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유사하게 보고하였다. 이렇듯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숙(2015)의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스트레스가 높다고 나타내어

로 한 이혜련(2005)의 연구 결과(22.6점)로 나타나 간호사의 수면의 질이 나쁘다는

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수면이 부족하면 우울해질 가능성도 있지만

간졸음증과 관련이 없었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와 달랐다. 이는 연구마다 일치

수면의 질을 증가시키고,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신․심리적인 건강문제에 대해 평가하는 프로그램이 시급하며 수면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 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