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결과의 요약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8-111)

I. 서 론

Ⅵ. 결 론

6.1 연구결과의 요약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급격한 기술변화로 인하여 노동시장의 변화와 함께 지식 및 기술의 수명이 점차 짧아지고, 직업 과 직무변화와 이동 이 빠르게 진행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일터혁신에 관한 관심은 더욱 더 높아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일터혁신은 작업현장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현장의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체계화하고, 근로자의 능력을 개발하고, 숙련도를 높여 제품과 서비스의 생산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 등을 맡고 있다. 글로벌 시장의 개방화 이후에 많은 위기에 처해있는 우리 농촌의 현실에서 활로모색을 찾고 농촌지역을 활성화시 키기 위해 정부 주도의 농촌체험마을기업에 대한 지원이 추진되고 있다. 농촌 체험마을기업은 이미 농촌지역에 새로운 돌파구를 형성했으며 국내 여행시장 활성화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여행 상품을 제공하게 되였고 다수의 여행소비요 구를 만족시켰으며 농촌의 낙후된 지역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부 농촌이 열악한 상황에서 벗어 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터혁신이 농촌체험마을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안으로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 농촌체험마을기업들의 성과를 향상시 키고 이를 통해서 공동체의식의 함양과 농촌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가의 소득증대 와 함께 농촌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 필요한 시점에서 농촌체험마을기 업에 일터혁신의 도입과 적용의 필요성, 그에 따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서 기존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공동체의식과 주민의 삶의 질의 영향요인으로 일터혁신 요인 중 작업방식혁신, 교육훈련혁신과, 공 동체의식, 농촌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20년 4월 5일부터 2020년 5월 6일까지 약 1개월간 이 루어 졌으며 조사는 농촌체험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농촌지역 주민들 을 대상으로 600부를 배포하여 실시하였으며 479부의 유효한 설문지가 본 연구 분석에 이용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혁신 요인 중 작업방식혁신과 교육훈련혁신은 공동체의식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일터혁신 을 통해 농촌체험마을기업의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져 이익이 증대되고 지불 능력이 생기게 되며, 이에 따라 농촌체험사업에 참여하는 농촌지역 주민의 임 금 상승, 근로시간 단축 등의 일자리 질과 관련된 개선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농촌지역주민들이 함께 참여하고 그 안에서 성과를 이루는 부분에서 공동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높아지는 결과라 생각된다. 기존에 일하는 방식의 변화 를 통해서 근로생활 질과 생산성, 품질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된다는 연구결과 와 일치하고 지역주민들의 조직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오계택, 2018). 따라서 농촌체험마을 사업에 있어서 일터혁신의 도입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게 됨으로써 지역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공동체의식은 일터혁신과 농촌지역 주민의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 고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작업방식혁신과 교육훈련혁신은 농촌체험 마을기업 지역 주민의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는 일터혁신을 통해서 농촌체험마을기업의 성과가 향상되고 농촌주민의 참여 가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면 공동체의식은 높아지게 되며 높아진 공동체 의식 은 농촌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동체의식 은 주민간의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공동체에 대한 만족감과 자긍심을 느 끼게 되고 그 안에서 자기욕구를 충족하게 되므로서 장소에 대한 애착을 느끼 게 된다는 이라영(2009)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터혁신은 지역민의 공동체의식을 통해 농촌지역 주민의 삶을 높일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농촌체험소득 사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창의성과 학습지향성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일터혁신이 공동체의식 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일터혁신 요인 중 작업방식 혁신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창의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훈련혁신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창의성은 조절효과 를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터혁신 요인 중 작업방식혁신이 공 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창의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일터혁신 요인 중 교육훈련 혁신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학습지향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 으로 나타냈으나 일터혁신 요인 중 작업방식혁신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 향에 학습지향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농촌체험사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의 창의성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 이 더 높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박영일, 2015). 작업방식 혁신에 있어서 구성원의 창의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일터혁 신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농촌체험마을을 수행하는 주민들의 창의성 과 학습지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주된 연구대상이 농촌체험마을기업이 운영되고 있는 농촌 지역 주민 인 점을 감안하면 낙후된 농촌을 살리는데 일터혁신은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농촌체험마을기업의 특성 상 현장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따른 지역민의 작업방식의 변화와 혁신은 매우 중요하고 날로 변화되는 체험 관광의 환경변화와 방문고객들의 의식 변화 속에서 고객만족과 더불어 농촌체 험마을사업의 발전 속에서 작업방식의 혁신과 교육훈련의 혁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8-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