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8~2022 육아정책 분석과 과제(Ⅴ): 2021~2022년 육아정책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표-3-1> 2018 2018년도 여성가족부 과계획서성과 보고서 목표단위사업성과지표측정방법2018 목표치지표종류 정량화성격실적 [전략목표] . 다양한 가족에 맞춤형 지원으 모든 가족이 행복한 사회를 현한다. [프로그램목표] -1.가족친화환경 조성 다양 가족 지원 통한 가족 기능강화

취약위기가족 역량강화지원

취약・위기가족 지원 가족 기능 향상률(초기평가대비 가족기능 향상된 사례 수/총사 관리대상자수)×1003840.6 이혼위기 가족관계 개선도(가족관계 개선자 수/가족관계 개선여부 조사 대상자)×1002860.9 한부모가족 법률구조 수혜자 당해 연도 법률구조 수혜자 910정량산출1,002 아이돌봄지원아이돌봄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설문응답자(이용가정)부여한 만족도 점수 를(5점 척도)합산・평균89.689.9 아이돌봄 서비스 실이용 가구사업기관별 서비스 실이용가구수 합계61,40064,591 한국건강가정 진흥원 운영

양육비 이행률(양육비를 이행 받고 있는 가구 양육비 이행 지원 서비스 지원가구)×10032.532.3 다문화이해교육 만족도다문화이해교육에 참여한 교육생의 만족도 조사결과 평균값8485.4 한부모가족 지원 (기금)

한부모가족 지원사업 만족도 57374.6 미혼모부자거점 기관 이용자 미혼모부자 거점기관실 이용자수 측정1,100정량산출1,296 한부모가족복지 시설 입소자 만족도 583.683.9 다문화가족 지원

통합적 가족지원 서비스 이용 가족 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 정도센터 이용자 대상으로 가족 사회에 대한 인식, 태도 설문조사8787.8 다문화가족 종합정보 전화센터상담실적128,000130,000 폭력피해 이주여성 보호시설 이용자 원실적폭력피해이주여성 보호시설 이용자 회복・치료 위한 지원건수50,06350,063 : 1)(2018). 2018(여). pp.239-240. 2) (2019b). 2018(여). pp.511-512.

2018~2022 육아정책 분석과 과제(Ⅴ): 2021~2022년 육아정책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나. 2019년

여성가족부의 육아정책 성과 목표 및 실적을 보면, ‘취약・위기가족 역량강화지 원’ 단위사업에서 ‘취약・위기 가족지원 가족 기능 향상률’의 성과지표에서 2019년 목표치와 같은 40%를 보였다. 동 단위사업의 다른 성과지표로서 ‘한부모가족 법률 구조 수혜자’ 수는 1,101명으로 목표치 930명을 초과 달성했다. ‘가족친화환경조 성’ 단위사업은 당해 연도 목표치를 초과달성했다(‘가족정책분석 리포트의 정책반 영률’ 70%→100%, ‘가족친화인증 기업(관)수’ 3,800개→3,833개). ‘아이돌봄지 원’ 사업도 역시 모든 성과지표(‘아이돌봄 서비스 실이용 가구’, ‘아이돌보미 수’,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서 당해 연도 목표치(65,000가구, 25,000명, 89.9점)를 초과달성하였다(각각 70,485가구, 29,534명, 90.2점). 한국건강가정진 흥원 운영 사업 역시 모든 성과지표에서 2019년 목표치보다 높았다(‘양육비 이행 률’ 34.7%→35.6%, ‘센터종사자 역량 강화교육 만족도’ 88.1점→90.0점). ‘한부모 가족 지원(기금) 사업’의 성과지표인 ‘한부모가족 지원사업 만족도’, ‘미혼모부자 거점 기관 이용자 수’, ‘한부모 가족 복지시설 입소자 만족도’ 모두에서 2019년도 목표치보다 높았다(73.8%→79.4%, 1,240명→1,386명, 83.9점→85.4점). 가족서 비스 지원 사업의 성과지표인 ‘다문화가족 종합정보전화센터 상담실적’은 목표치 보다 높았던 반면(140,000건→155,641건), ‘가족서비스 이용 효과성’과 ‘가족친 화환경조성’의 경우 목표치(88점, 5%)보다 낮았다(각각 86.6점, 3.9%).

<표-3-2> 2019 2019년도 여성가족부 과계획서성과 보고서 목표단위사업성과지표측정방법2019 목표치지표종류 정량화성격실적 [전목표Ⅱ] 여성・아동대한 폭력 적극하여 ・아동인권의 보호 원체계축하고, 양한 족에 춤형원으 모든 족이복한회를 한다. (1)여・아동에 대한 폭력 예방과 호지원, 가족 친화환 다양한지원 통한 가족 강화

취약・위기 가족역량강①취・위 가족지가족 기능상률(%)(초평가대가족기향상된례수/총사 리대상자수) × 1004040 한부모가족 법률구혜자 수(명)률구조930정량1,101 가족친화환경조성가족정책분석트의 정책반영률(%)(법 개정, 침수정개선에 제수) / (가족정책분석포트 연구 ) × 10070100 가족친화인증(관)수(개)족친화인증 기업(기관) (유)3,800정량3,833 아이돌봄지

아이돌비스 실이용(가)이돌봄서비스구수 합계65,000정량70,485 아이돌보미 수(명)동하는돌보미25,000정량29,534 아이돌비스 이용자(점)문응답자(이용가정)부여한 점수(5점 척도) ・평균89.990.2 한국건강가정진흥 운영

양육비(%)(양받고 있는 / 양육비이행지 비스지원가구) × 10034.735.6 센터종사자역화교육(점) 종사자 교육에 참여한 교육생의 만족도 결과 평균값88.190.0 한부모가족 지원(기금)

한부모가족 지원사족도(점)커트 5점척도용한 수혜자73.879.4 미혼모부자 거점 기관 이용자(명)혼모부점기관 이용자1,240정량1,386 한부모가족 복지시입소자(점)커트 5점척도용한 수혜자83.985.4 가족서비스 지원가족서비스 이용 효과성(점)족서비과성 평균88정성86.6 화가족정보전화센터실적 (건)다문화가족 종합정보 전화센터의 상담전화 건수140,000155,641 가족친화환경조성가족센정률(%)적투자액/총사업53.9 : 1)(2019d). 2019년(여). pp.253-255. 2) (2020b). 2019(여). pp.504-507.

2018~2022 육아정책 분석과 과제(Ⅴ): 2021~2022년 육아정책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다. 2020년

여성가족부의 육아정책 성과 목표 및 실적을 보면, ‘취약・위기가족 역량강화지 원’ 단위사업에서 ‘취약・위기가족 지원 가족기능 향상률’이라는 성과지표에서 2020년 목표치(87.0%)보다 높은 성과(87.4%)를 보였다. 동 단위사업의 다른 성과 지표로서 ‘한부모가족 법률구조 수혜자 수’는 1,048명으로 목표치 1,030명을 초 과 달성했다. ‘가족친화환경조성’ 단위사업 역시 당해 연도 목표치를 초과달성했다 (‘가족친화인증 기업(관)수’ 4,300개→4,340개). ‘아이돌봄지원’ 사업의 경우 성과 지표가 ‘아이돌봄 서비스 실이용 가구’, ‘아이돌보미 수’인 경우 목표치(각각 85,000가구, 28,000명)를 달성하지 못했지만(각각 59,663가구, 24,469명), ‘아이 돌봄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국민 참여 및 소통’ 성과지표에서는 당해 연도 목표 치를 초과달성하였다(각각 90.1점→90.6점, 5건→6건).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운 영’ 사업에서는 모든 성과지표에서 2020년 목표치보다 높았다(‘양육비 이행률’

32.9%→36.1%, ‘센터종사자역량 강화교육 만족도’ 90.0점→92.2점). ‘한부모가족 지원(기금)’ 사업의 성과지표인 ‘한부모가족 지원사업 만족도’, ‘미혼모부자 거점 기관 이용자 수’,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입소자 만족도’ 모두에서 2020년도 목표치 보다 높았다(75.1%→80.5%, 1,330명→1,393명, 84.2점→85.6점). ‘가족서비스 지원’ 사업의 성과지표인 ‘가족서비스 이용 효과성’, ‘다문화가족 종합정보전화센 터 상담실적’의 경우 목표치보다 높았다(각각 85.3점→87.8점, 142,000건→

161,466건). ‘가족친화환경조성’ 사업의 경우 역시 2020년도 목표치(‘가족센터 공 정률’ 5%)를 초과달성하였다(11.7%).

<표-3-3> 2020 2020년 여성가족부 성과계획서성과 보고서 목표단위사업성과지표측정방법2020 목표치지표종류 정량화성격실적 전략목표Ⅱ 여성・아동대한 적극처하 여성・아동인권의 호지원체계를 하고,족에 대한 춤형 모든 가족행복 회를 구현한다. 프로그램목표Ⅱ-1. 여성・아동대한 력여방피해 호지원, 족친화환경 조성 다양가족 지원을통한 능강화

취약위기가 량강화취약・위기가족 지원 가족기(초 평가 가족기능 향상된 수/ 관리가10087.0정성결과87.4 한부모가족 법률구혜자 률구조1,0301,048 가족친화환가족친화인증(관) 족친화인증 기업(기관) (유)4,3004,340 아이돌봄지

아이돌비스 실이용이돌봄서비스용가구85,00059,663 아이돌보미 동하는돌보미28,00024,469 아이돌비스 이용자문응답자(이용 )가 부여한 만족도 (5) ・평균90.1정성결과90.6 국민 참여 국민 홍보 실적 +정보제5정량산출6 국건강가정 진흥원 운영

양육비(양육비 이행 가구/양육비 비스 지원가구)×10032.9정량결과36.1 센터종사자 역량강화교육센터사자육에여한육생 만족 조사 평균90.0정성결과92.2 부모가족지원 (기금)

한부모가족 지원사 575.180.5 미혼모부자 거점 기관 이용자혼모부점기관 이용자1,3301,393 한부모가족 복지시소자 만족도 584,285.6 족서비스지원가족서비스 이용 효과성강가정・다문화가원센터, 건강가정 센터,다문화가족 원센터서비스이용 효과85.3정성결과87.8 다문화가족 종합정보 전화센터 상담실적142,000정량산출161,466 가족친화환경조성가족센적투자액/총사업5정11.7 : 1)(2020c). 2020(여). pp.227-228. 2) (2021b). 2020(여). pp.463-464.

2018~2022 육아정책 분석과 과제(Ⅴ): 2021~2022년 육아정책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라. 2021년

여성가족부의 육아정책 성과 목표 및 실적을 보면, ‘가족정책 기반구축’ 단위사 업의 경우 성과지표로는 ‘가족역량강화 지원 사업 가족기능향상’, ‘가족친화인증 기업(관)수’가 있는데, 2021년도 목표치를 초과달성하였다(각각 87.5%→88.3%, 4,833개→4,918개). ‘아이돌봄지원’ 사업의 경우 성과지표가 ‘아이돌봄 서비스 실 이용 가구’,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인 경우 당해 연도 목표치(각각 72,500가구, 90.4점)를 달성하지 못했지만(각각 71,789가구, 91.4점), ‘아이돌보 미 수’ 성과지표에서는 목표치를 초과달성하였다(각각 29,500명→25,917명). ‘한 국건강가정진흥원 운영’ 사업에서는 성과지표 ‘통합적 가족서비스 만족도’에서 2021년 목표치보다 낮았고(91.0점→90.8점), 동 사업 성과지표 ‘양육비 이행률’에 서는 목표치보다 높았다(36.3%→38.3%). ‘한부모가족 지원(기금)’ 사업의 성과지 표인 ‘한부모가족 지원사업 만족도’, ‘미혼모부자 거점 기관 이용자 수’, ‘한부모가 족 복지시설 입소자 만족도’ 모두에서 2020년도 목표치보다 높았다(75.1%→

80.5%, 1,330명→1,393명, 84.2점→85.6점). ‘가족서비스지원’ 사업의 성과지표 인 ‘가족서비스 이용 효과성’, ‘다문화가족 종합정보전화센터 상담실적’, ‘다문화가 족 특성화 지원 사업 이용자 만족도’의 경우 목표치보다 높았다(각각 88.0점→

88.45점, 178,904건→194,802건, 85.0점→90.7점). ‘가족친화환경조성’ 사업의 경우 역시 2021년도 목표치(‘가족센터 공정률’ 37.0%)를 초과달성하였다(44.2%).

<표-3-4> 2021 2021년 여성가족부 성과계획서성과 보고서 목표단위사업성과지표측정방법2021 목표치지표종류 정량화성격실적 Ⅲ. 가족 특성별 맞춤 지원으로 가족 구성원의 삶의 향상시킨다. -1.다양가족 대한 지원 안정적인 자녀양육 환경 조성

가족정책 기반 구축족역량강화 지원 사업 가족기능향상(초기 평가 대비 가족기능 향상된 사례 수/ 관리가 종결된 사례 수)×10087.588.3 (관)수가족친화인증 기업(기관)(유효)4,8334,918 아이돌봄지원

아이돌봄서비스실이용가구수 합계72,500정량산출71,789 실제 활동하는 아이돌보미 집계29,500정량산출25,917 이돌봄용자 만족도설문응답자(용가정)가 합산・평균90.491.4 한국건강가정 진흥원 운영

합적 가족서비스 만족도통합가족 서비스를 이용한 센터 이용자의 만족 조사 결과 평균값91.090.8 육비 이행률(양육비를 이행 받고 양육 지원 비스 원가구 10036.338.3 한부모가족 지원 (기금)

한부모가족 지원사업 만족도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한 수혜자 만족도 조사80.6정성결과80.6 한부모가족지원 비율저소득부모가청소년한부모 대비 지원비75.7102.7 한부모가족복지 시설 입소자 만족도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한 수혜자 만족도 조사85.7정성결과86.4 가족서비스 지원

가족서비스 이용 효과성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 터,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의 서비스 이용 효과성88.088.45 다문화가족 종합정보 전화센터 상담실적178,904194,802 다문화가족 특성화 지원 사업 이용자 만족도다문화가족 특성화 지원 사업 이용자 대상 만족 조사 점수 종합 집계85.090.7 가족친화환경 조성누적투자액 /총사업비3744.2 : 1)(2021c). 2021(변)(여). pp.216-217. 2) (2022b). 2021(여). pp.415-416.

2018~2022 육아정책 분석과 과제(Ⅴ): 2021~2022년 육아정책 성과분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