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측정 도구별,집단별,측정 시기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현실요법을 적용한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각 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및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측정한 각 측정 도구별, 집단별,측정 시기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22와 같다.

표 22.측정도구별,집단별,측정 시기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2)프로그램 평가 결과

⑴ 다변량 분석 결과

현실요법을 적용한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유형 (실험집단,통제집단)과 측정시기(사전,사후,추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친밀감,결 혼만족도,내부-외부통제성 그리고 자기존중감 척도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 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3과 같다.

표 23.각 척도 점수의 다변량 분석 결과

F

집단유형

Pilla의 트레이스 .918 

Wilk의 람다 .082 

Hotelling의 트레이스 11.263 

Roy의 최대근 11.263 

측정시기

Pilla의 트레이스 .904 

Wilk의 람다 .164 

Hotelling의 트레이스 4.697 

Roy의 최대근 4.607 

집단유형*측정시기

Pilla의 트레이스 .921 

Wilk의 람다 .165 

Hotelling의 트레이스 4.547 

Roy의 최대근 4.429 

*** ≺ 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다변량 분석 결과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 주 효과는 Pilla의 트레이스,Wilk의 람다,Hotelling의 트레이스,Roy의 최대근 모두 .001수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에 대 한 결과도 Pilla의 트레이스,Wilk의 람다,Hotelling의 트레이스,Roy의 최대근 모 두 .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와 같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가 .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것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각 척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혼합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 분 SS df MS F 집단 간(A) 3.312 1 3.312 

집단 내(B) 1.496 2 .748 

A×B 1.072 2 .536 

오차 2.694 78 .035

⑵ 부부의 친밀감에 미치는 효과

집단유형과 측정시기에 따라 친밀감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 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4와 같다.

표 24.친밀감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 ≺ 

표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친밀감 점수에서 집단 간[  , ≺ ], 집단 내[   , ≺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그리고 집단유형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5와 같다.

그림 5.친밀감의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유형별,측정시기별로 단순 주 효과 검증 을 실시하였다.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실험집단의 점수에 대

구분 SS df MS F 사후검증 집단

집단@사전 .038 1 .038 1.266 오차 .753 26 .030

집단@사후 2.246 1 2.246 

오차 .995 26 .038

집단@추후 2.096 1 2.096 

오차 .945 26 .036 측정시기

시기@실험 2.536 2 1.268  전 < 후,추 오차 2.140 39 .055

시기@통제 .031 2 .016 1.104 오차 .554 39 .014

해 측정시기 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후 개별 비교한 결과는 표 25와 같다.

표 25.친밀감에 대한 집단별 단순 주 효과 검증 결과

주.전:사전검사 후:사후검사 추:추후검사

*** ≺ 

표 25에 나타난 측정시기에 따른 집단별 친밀감에 대한 단순 주 효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  ,  ]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후검사[  ,  ≺ ]와 추후검사 [  , ≺ ]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부부의 친밀감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22에 따르면,통제집단(M=3.18)에 비해 실험집 단(M=3.74)인 경우 사후검사 점수가 높았으며,또한 통제집단(M=3.22)에 비해 실험 집단(M=3.77)인 경우 추후검사 점수도 높았다.한편 집단에 따른 측정시기별 단순 주 효과를 살펴보면,통제집단[   ,  ]은 측정시기에 따라 친밀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실험집단[  , ≺ ]은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개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및 추후검사 점수는 사전검사 점수 보다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사후검사 점수와 추후검사 점수 간에는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즉 실험집단인 경우 사 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부부의 친밀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가

추후검사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⑶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① 결혼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효과

집단유형과 측정시기에 따라 결혼만족도 척도 전체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 는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6과 같 다.

표 26.결혼만족도 전체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구 분 SS df MS F

집단 간(A) .168 1 .168 

집단 내(B) .083 2 .041 

A×B .087 2 .043 

오차 .484 78 .006

** ≺  *** ≺ 

표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결혼만족도 전체 점수에서 집단 간[  ,

 ≺ ]과 집단 내[   , ≺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그리고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그래 프로 나타내면 그림 6과 같다.

그림 6.결혼만족도 전체의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 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유형별,측정시기별로 단순 주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실험집단의 점수에 대해 측 정시기 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후 개별 비교한 결과는 표 27과 같다.

표 27.결혼만족도 전체에 대한 집단별 단순 주 효과 검증 결과

구 분 SS df MS F 사후검증

집단

집단@사전 .000 1 .000 .051 오차 .186 26 .085

집단@사후 .111 1 .111 

오차 .139 26 .005

집단@추후 .144 1 .144 

오차 .148 26 .006 시기

시기@실험집단 .169 2 .084  후,추 < 전 오차 .215 39 .006

시기@통제집단 .000 2 .000 .031 오차 .269 39 .007

주.전:사전검사 후:사후검사 추:추후검사

*** ≺ 

표 27에 나타난 측정시기에 따른 집단별 결혼만족도에 대한 단순 주 효과를 살펴 보면,사전검사[  ,  ]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후검사[   ,  ≺ ]와 추후검사 [  , ≺ ]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결혼만족도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즉 표 22에 따르면,통제집단(M=.49)에 비해 실험집 단(M=.37)인 경우 사후검사 점수가 낮았으며,또한 통제집단(M=.50)에 비해 실험집 단(M=.36)인 경우 추후검사 점수도 낮았다.이는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족 정도가 감소하고 있어 결혼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한편 집단에 따른 측정 시기별 단순 주 효과를 살펴보면,통제집단[  ,  ]은 측정시기에 따

라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험집단 [  , ≺ ]은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사후 개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및 추후검사 점수는 사전검사 점수보다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사후검사 점수와 추후검사 점수 간에는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즉 실험집단인 경우 사전검 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결혼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가 추후검 사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결혼만족도 하위영역에 미치는 효과

집단유형(실험집단,통제집단)과 측정시기(사전,사후,추후)에 따라 결혼만족도 하 위영역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 을 실시한 결과는 표 28과 같다.

표 28.결혼만족도 하위영역별 변랑분석 결과

그림 7.전반적불만족의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그림 8.정서적 의사소통의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족 갈등[   , 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 집단 내에서는 공격행동[  ,  ], 경제적 갈등 [  ,  ], 비관습적 성역할[   ,  ], 원가족 문제 [  ,  ], 배우자 가족 갈등[   ,  ], 자녀불만족 [  , 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반적 불만족[   ,  ≺ ], 정서적 의사소통 [  , ≺ ],문제해결 의사소통[   , ≺ ],공유시간 갈등[   , ≺ ],자녀양육 갈등[   , ≺ ]에서 집단유형 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경제 갈등과 자녀불만족 점수에서는 집단 간에서 .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낸 하위영역을 그래프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그림 9. 문제해결 의사소통의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그림 10. 공유시간의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그림 11.자녀양육갈등의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 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유형별,측정시기별로 단순 주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실험집단의 점수에 대해 측정 시기 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후 개별 비교한 결과는 표 29와 같다.

표 29.결혼만족도 하위영역에 대한 집단별 단순 주 효과 검증 결과

자녀양육 갈등

집단

집단@사전 .003 1 .003 

오차 .404 26 .016

집단@사후 .413 1 .413 

오차 .686 26 .026

집단@추후 .366 1 .366 

오차 .669 26 .026 측정시기

시기@실험 .489 2 .245  후,추 < 전 오차 1.001 39 .026

시기@통제 .000 2 .000 

오차 .841 39 .022 주.전:사전검사 후:사후검사 추:추후검사

* ≺  ** ≺  *** ≺ 

표 29에 나타난 측정시기에 따른 집단별 결혼만족도의 하위영역에 대한 단순 주 효과를 살펴보면,사전검사에서는 5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표 29에 나타난 측정시기에 따른 집단별 결혼만족도의 하위영역에 대한 단순 주 효과를 살펴보면,사전검사에서는 5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