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양돈계열화의 현황과 문제점

문서에서 축산계열화의 평가와 발전 방안 (페이지 60-99)

요한 서비스를 양돈농가에 제공한다. 사육지원 단계에서는 종돈, 사료, 사 양관리 프로그램 서비스를 사육 지원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여긴다.

특히, 계열업체는 고품질 브랜드육을 생산하기 위하여 양돈농가가 종돈, 사료, 사양관리 프로그램을 통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 종돈 및 정액

국내에서 종돈을 사육하는 시설은 <표 3-7>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전문 종돈장(원종돈장, 종돈장), 일반종돈장(원종돈장과 종돈장 혼합 형태)을 포 함하여 122개소이다. 원종돈(Great-Grand Parent, GGP)장은 돼지 순종(랜 드레이스, 요크셔, 바크셔, 듀록 등)을 번식하여 종돈(Grand Parent, GP)장 에게 공급하고, 종돈장은 순종간 교배를 통해 교잡종(F1) 모돈을 생산하여 일반 농가(번식전문농장, 일관사육농장)에 공급한다.

표 3-7. 국내 종돈장 현황(2010년 6월 기준)

전문종돈장 일반종돈장

(GGP+GP겸업) 계 원종돈(GGP) 종돈(GP)

종돈업체 수(개소) 20 41 61 122

사육두수(두) 7,186 21,466 37,379 66,031

자료: 한국종축개량협회. 2010. 8. “종돈장 실태조사 보고”. 「종돈개량」 제12권 32호.

종돈장에 순종 모돈을 공급하는 원종돈장 수는 20개소이며, 양돈농가에 게 후보 모돈을 공급하는 종돈장은 102개소이다. 전체 종돈장 수는 1998년 89개소에서 2002년 119개소, 2010년 122개소로 늘어났다.

국내 종돈업체의 종돈 개량 수준이 낮아 혈통 갱신용 종돈을 미국, 캐나 다, 덴마크 등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종돈 수입두수는 2001년 1,414두에 서 2006년 1,850두까지 증가하였다가, 원화 환율 상승 등으로 2009년 944 두로 크게 감소하였다.

국내 모돈수 증가와 인공수정 보급률 상승으로 돼지 인공수정(Artificial Insemination, AI) 센터 수는 1994년 5개소에서 2009년 50개소로 크게 늘 어났다(표 3-8 참조). AI센터에서는 씨수퇘지 사육을 통해 정액을 생산하 여 농가에 공급한다.

표 3-8. 지역별 돼지 인공수정 센터 분포

강원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1994 - 2 - 2 - - 1 - - 5

1998 2 9 2 9 5 2 4 8 4 45

2004 2 7 6 13 5 3 6 6 2 50

2006 2 8 5 13 6 4 7 6 2 53

2008 2 8 4 16 7 4 4 5 2 52

2009 2 8 4 16 7 4 4 5 2 52

자료: 김시주. 2009. 12. “2009년 돼지 인공수정 업계 결산과 앞으로의 과제”. 「종돈개량」

제11권 24호.

나. 사료

미국, 캐나다, 중국, 호주로부터 원료곡을 수입하여 성장단계별 배합을 통해 배합사료를 제조한다. 사료업체의 경우 사료 생산·판매 이외에도 수 의, 경영진단, 임신진단, 시설진단, 사료분석, 암모니아 등의 서비스를 농가 에 제공한다.

표 3-9. 배합사료 생산실적

단위: 천 톤, %

축 종 2008 2009

물량(천 톤) 비중(%) 물량(천 톤) 비중(%)

양 돈 5,307 32.5 5,332 32.0

양 계 4,286 26.3 4,463 26.8

고 기 소 4,165 25.5 4,310 25.9

낙 농 1,370 8.4 1,311 7.9

기 타 1,195 7.3 1,249 7.5

합 계 16,323 100.0 16,665 100.0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2010.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배합사료를 생산하는 업체는 약 60개소에 이르며, 사료 공장은 98개소이 다. 2009년 배합사료 생산량은 가축 두수가 늘어나면서 전년보다 2.1% 증가 한 1,667만 톤이었다. 이 중에서 양돈용 배합사료 생산량의 비중이 32.5%로 가장 높으며, 양계용, 고기소용 순으로 비중이 높다(표 3-9 참조).

다. 약품 및 기자재13

축산 농가에 약품을 공급하는 업체 수는 44개소이며, 약품업계 종사자 수는 1,516명에 이른다. 그리고 약품업체들의 연간 매출액은 5,882억 원 수준이다. 기자재 생산업체 수는 467개소이며, 종사자 수는 9,088명 수준 이다. 연간 매출액은 2조 950억 원에 달한다. 기자재 공급업체의 문제점으 로 지적되는 부분은 자체 R&D를 통한 농가 보급이 아닌 수입을 통한 판 매에 주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2.1.3. 사육 단계

14

국내 양돈업은 돼지고기 수요 증가와 1990년대 수출 위주의 양돈정책에 힘입어 전업농을 중심으로 규모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1983~84년, 1989년 돼지 가격 파동 시기에는 사육두수가 감소하였지만, 돼지고기 수출 촉진 정책으로 2000년대 초까지 사육두수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돼지 사육의 전업화 및 규모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2000년대 들어 서면서 가축 질병, 분뇨 처리 문제, 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사료비 상승, 시설투자비 과다 등으로 둔화되고 있다.

돼지 총 사육두수는 1981년 183만두에서 연평균 5.9%씩 증가하여 2009 년 958만두였다. 모돈수 또한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3.7%씩 증가하였다.

돼지 사육두수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냈지만 사육농가 수는 큰 폭으로

13 농림수산식품부. 2009. 3. 「주요 25품목 농수산물 생산·유통구조 개선대책(안)-축산」. 워크숍 자료집 참조.

14 우병준 등. 2010. 4. 「FTA에 대비한 축산물 유통·물류 체계 선진화 방안」. 한국 농촌경제연구원의 내용을 발췌하여 작성함.

감소하였다. <그림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81년 사육농가 수는 42만 5천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0

번식전문 농가는 모돈을 종돈장에서 구입하여 자돈을 생산한 후, 비육위 탁 농가에 공급한다. 경우에 따라 6kg 전후의 이유 자돈을 공급하거나 30kg 전후의 자돈을 비육위탁 농가에 공급하기도 한다.

비육위탁 농가는 6kg 혹은 30kg 전후의 자돈을 공급받아 약 110kg까지 사육하여 시장에 출하한다.

2.1.4. 도축 및 가공

15

가. 축산물 가공 및 유통시설 현황

우리나라에서 돼지를 도축할 수 있는 도축시설은 2009년 기준으로 88개 소이다. 이 중 공판장 및 도매시장이 12개소, 축산물종합처리장(LPC)이 9 개소, 일반 도축장이 67개소이다. 일반 도축장에서 51.9%의 돼지가 도축되 고 있으며, 23.8%는 축산물종합처리장에서, 16.4%는 공판장에서, 7.9%는 도매시장에서 도축되고 있다(<그림 3-7> 참조).

국내 도축장은 위생적이고 안전한 육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를 도입하고

그림 3-7. 돼지 도축장 현황 및 유형별 도축 비중(2009년)

도 축 장 ( 6 7 개 ) 5 1 .9 %

공 판 장 ( 7 개 )

1 6 .4 % 도 매 시 장 ( 5 개 ) 7 .9 %

L P C ( 9 개 ) 2 3 .8 %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www.ekape.or.kr), 축산물등급판정통계.

15 우병준 등. 2010을 참조하여 작성함.

있지만 도축장 여건에 따라 운용 수준에 차이가 있다. 도축장 HACCP 운 용 수준은 상위, 중위, 하위 등급으로 구분되는데, 상위등급을 받은 도축장 은 25개소에 불과하다.

돼지를 도축하는 도축장의 가동률은 2009년 11월 기준으로 53.5%에 불 과하다. 이로 인해 도축장의 경영 여건은 좋지 않은 상태이다. 상대적으로 축산물종합처리장과 공판장 가동률은 높은 편이다(농림수산식품부 축산정 책관실).

소, 돼지 도축 이후 축산물을 가공, 포장하는 식육 가공장은 전국에 2,492개소가 있다. 식육 가공장은 도축장 및 도매시장으로부터 지육을 조 달하여 부분육으로 가공한 후, 정육점, 중간유통업체, 요식업체, 대량급식 처 등에 공급한다. 도축장 내에 위치하여 축산물을 가공하는 식육 가공장 수는 149개소에 불과하여 지육상태로 운송되는 양이 많다. 지육으로 운송 되는 과정에서 식품 위해 요인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다. 도축장 혹은 도 매시장으로부터 지육을 조달하여 부분육으로 가공, 포장하여 주로 요식업 체 등에 공급하는 식육포장처리업체 수는 1,262개소이다(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

나. 돼지 도축 현황

<그림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육두수 증가에 따라 돼지 도축두수도 증가해 왔으나, 2002년 이후 사육두수 증가에도 돼지 소모성 질환 피해에 따른 자돈 폐사 증가로 도축두수가 감소하였다. 양돈농가에게 소모성 질병 에 대한 백신 보급 등으로 자돈 폐사율이 호전되면서 돼지 도축두수도 증 가하고 있다.

돼지 도축두수는 1981년 183만 두에서 연평균 7.5%씩 증가하여 2009년 에는 1,392만 두였다. 모돈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MSY(marketed pigs per sow per year)는 1981년 7.5두에서 2002년 16두까지 증가하였다 가 2006년에는 13두로 감소하였다. 최근 생산성이 호전되면서 2009년에는 14.9두까지 증가하였다.

그림 3-8. 돼지 도축 두수 및 모돈 생산성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0.0

나. 돼지고기 수급 동향 1990 1995 2000 2003 2004 2007 2008 2009

공 급

전년이월 1.5 6.7 25.0 57.7 39.8 47.7 57.5 44.0 생산 506.5 639.3 714.4 782.6 747.7 705.6 709.3 722.2 수입 2.6 34.4 95.9 60.8 108.8 248.2 214.3 209.8 계 510.6 680.4 835.3 901.0 897.2 1001.5 981.1 976.0

수 요

소비 504.8 661.7 779.9 834.1 856.7 931.4 926.8 915.5 수출 5.8 14.3 16.1 27.1 15.8 12.6 10.3 12.5 차년이월 - 4.4 39.3 39.8 24.7 57.5 44.0 48.0 계 510.6 680.4 835.3 901.0 897.2 1005.5 981.1 976.0 1인당 소비(kg) 11.8 14.8 16.5 17.3 17.9 19.2 19.1 18.8

주: 2009년 1인당 소비량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추정치임.

자료: 농협중앙회. 각연도. 「축산물가격 및 가격 동향」.

2.2. 양돈계열화의 현황

2.2.1. 양돈계열화의 발전과정

16

우리나라에서 양돈계열화는 1980년대 국제 경쟁력 향상을 위해 양돈부 문에도 통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일부 기업과 협동조합에 의해 추 진되었으나, 육계보다는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계열화 초기에는 대규모 기업 양돈장에서 규모 확대를 목적으로 비육부분에 대한 위탁사육으로 시 작하였다. 대규모 농장이 사육규모 확대를 위해서 돈사 신축 등 투자비용 부담, 민원 발생, 분뇨처리 비용 등의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계열화가 태동하였다.

1980년대의 양돈계열화는 대상농장, 유전자원, 제일종축, 자연농원 등 종돈장에서 종돈의 이용 확대 또는 원료돈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자체적 으로 추진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 양돈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수출산업으로의 육성을 위 해 정책 사업으로 추진하였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전문 경영체 중심의 생 산·가공·유통의 일관 경영함으로써 양축농가의 안정적인 경영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정책사업으로 가축계열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농림 수산식품부, 2010년도 농림사업시행지침서).

가축계열화 사업을 통해 생산설비 확충 또는 개·보수 등 고정자산에 중 점 지원함에 따라 규모화, 전업화, 현대화는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었으 나,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 금융을 신청할 정도로 국내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경영난을 겪은 업체들이 생겨났다. 2000년까지 17개 업체가 가축계열화 사업 자금을 받았으나, 경영난으로 6개 업체가 부실화 되거나 사업을 중단하였다.

2000년대의 가축계열화 사업은 신규지정보다는 기존 계열업체의 경영을 개선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계열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추

16 조광호 등(2005), 2010년도 농림사업시행지침서를 참조하여 작성함.

진하고 있다. 특히, 생산성 지표가 우수한 계열업체, 완전계열화 사업을 추 진하는 계열업체, 도축장·사료공장·종돈장·육가공장 및 유통 판매시설 중

진하고 있다. 특히, 생산성 지표가 우수한 계열업체, 완전계열화 사업을 추 진하는 계열업체, 도축장·사료공장·종돈장·육가공장 및 유통 판매시설 중

문서에서 축산계열화의 평가와 발전 방안 (페이지 60-9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