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아날학파 이후의 역사학과 아나크로니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3)

브로델은 프랑스 역사학을 주도하며 후학을 양성하는데 힘썼다. 그는 1956년부 터 1968년까지 아날지의 편집인으로 활동했고, 1975년에 ‘사회과학고등연구원(Ec 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으로 재조직된 고등연구원을 이끌었 다. 20세기 후반의 역사가들 중 대부분은 그의 영향 아래에서 아날학파 3세대를 이루게 되었다.44) 그 당시에 아날학파의 연구자들이 주창한 ‘인간과학’은 경제학과 사회학, 인류학뿐만 아니라 언어학, 기호학, 문학, 예술학 나아가 정신분석학까지도 포괄하는 것이었다.45)

44) 브로델의 영향을 받은 역사가로는 조르주 뒤비, 피에르 구베르, 자끄 르 고프, 엠마뉘엘 르루아 다뒤 리 같은 인물들이 있다. 그들은 브로델의 격려 아래 세계적인 역사가로 성장했다. 뿐만 아니라 브로 델은 미셸 푸코와 롤랑 바르트 같은 철학자, 자끄 라깡 같은 정신분석학자, 피에르 부르디외 같은 사 회학자 등을 고등연구원 6국으로 끌어들였다 월러스 커소프·필립 월런, 김응종 외 역, 20세기 프랑 스 역사가들, 삼천리, 2016, pp. 390-391 참조.

45) 김응종, 아날학파의 역사세계, 아르케, 2001, p. 26.

그런 환경 속에서 기호를 기표와 기의로 이분화한 소쉬르의 개념들은 인류학과 사회학을 넘어 문학이론과 역사 연구까지 영향을 미쳤다. 소쉬르의 기호학으로부 터 영향을 받은 이론가들은 텍스트의 비지시성과 불명확성을 이해하면서 역사적 담론의 실재를 부정하도록 만드는 데 기여했다.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역 사적 텍스트를 문학적 텍스트와 동일시하였고,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하 나의’ 역사를 거부하면서 ‘다수의’ 역사를 강조했다.46) 이처럼 텍스트의 절대성을 부정한 구조주의 이론가들은 역사적 시간을 불연속성, 단절, 가역성, 상대성, 이중 성 또는 다수성으로 규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시기의 이론가들은 공통적으로 인과관계, 총체성, 의식, 통시성을 버리고 우연성, 다층성, 무의식, 공시성을 추구했 다. 그들은 지금까지 서양에서 이해되어 온 역사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재검토했 다. 그에 따라 역사 서술은 지식과 권력에 의해 배제된 것, 이성에 의해 억압된 것, 차이나 역사적 흔적을 추적하는 경향을 보였다. 역사에서 배제된 것에 관한 민 감성과 탐구 의지는 기존에 구축된 역사 개념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방법론적 쇄신을 요구하였다.

20세기 후반의 폴 벤느(Paul Veyne)와 자끄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는 공통 적으로 ‘역사’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했으며, ‘아나크로니즘’ 개념에 대해 수용적 인 태도를 보였다. 그들은 전통적인 역사를 지칭하는 대문자 역사(Histoire)를 거부 하고, 소문자와 복수의 역사(histoires)를 선호했다.47) 벤느는 ‘아나크로니즘’ 개념을

‘시대착오’로 규정했다. 그는 시대착오를 방지하기 위해서 시대와 맥락에 따라 변 하는 개념들을 적재적소에 사용하라고 권고했다. 그러면서도 벤느는 부적합한 개 념을 사용하는 시대착오가 역사 연구에서 불가피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역사 적 개념이 “변전의 상태”48)에 있기 때문이다. 벤느는 초기 연구에서 ‘아나크로니즘’

46) 프랑수아 도스, 김웅권 역, 구조주의의 역사 3, 백조의 노래 : 1967년에서 70년대, 동문선, 2003, pp. 315-321과 347-356 참조.

47) 벤느는 보편사에 관한 논고, 역사 철학 강의, 역사의 연구와 같은 역사 저술 제목이 제안하는 대문자 역사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공표한다. 대문자 역사라는 관념은 접근 불가능한 간계나 초험적인 관념이기 때문이다. 그는 역사철학이 ‘독단적인 허상에 기대고 있는 넌센스’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역사가들이 쓸 수 있는 역사란 보다 사소하고 일상적인 사건들의 역사인 ‘무엇 무엇의 역사들’일 뿐 이라는 것이다. 폴 벤느, 이상길 외 역,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새물결, 2004, p. 55.

48) Ibid., p. 224.

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취했지만, 시간이 지난 후에 아나크로니즘에 상응하는 ‘구 성적 상상력’ 개념을 내놓게 된다. 결과적으로 벤느는 역사학에서 아나크로니즘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주장했다고 할 수 있다.

철학자 랑시에르는 ‘아나크로니즘’ 개념의 기원을 고찰했다. 그는 아나크로니즘 을 ‘시대착오’라고 규정하는 역사학을 비판한다. 페브르가 아나크로니즘을 ‘죄악’으 로 간주했던 점에 대해, 랑시에르는 그가 여전히 근대적 역사 개념에 머물러 있다 고 비판하면서 블로크와 벤느의 관점을 옹호한다.49) 페브르의 주장에 따라 라블레 가 선구적인 ‘자유사상가’로 존재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 시대에 그런 범주와 조건 이 존재해야만 한다. 하지만 16세기에는 ‘무신앙’도 ‘자유사상’ 이라는 범주도 존재 하지 않았다. 랑시에르는 시대착오를 비판한 페브르가 한 시대의 범주를 자의적으 로 구성한 사실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더 나아가 랑시에르는 역사학이 죄악시한 ‘아나크로니즘’이라는 개념을 버려야한 다고 주장한다.50) 이는 페브르가 규정한 ‘시대에 반하는 오류’라는 의미의 시대착 오라는 개념 자체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랑시에르는 ‘시간 교란’이라는 뜻을 지 닌 ‘아나크로니(anachronie)’를 사용하자고 제안한다. 이 개념은 ‘자신들의(leur)’ 시 대로부터 벗어난 단어, 사건, 의미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랑시에르는 ‘아나크로니 즘’ 개념을 죄악으로 간주한 역사학의 변화를 촉구하며, 오늘날 역사가들이 이 개 념을 긍정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 절은 벤느와 랑시에르 의 논의를 통해서 ‘아나크로니즘’ 개념이 시대와 시간의 ‘착오’가 아니라는 점을 명 확히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절에서 ‘아나크로니즘’ 개념은 역사 연구에서 문제 를 설정하는 방식과 이를 실천하는 방법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매개념으로 다루어 질 것이다.

49) Jacques Rancière, <Le concept d'anachronisme et la vérité de l'historien>, L'Inactuel, n.6, 1996, p. 60.

50) Ibid., p. 6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