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쌀 유통환경의 변화

1.1. 쌀 산업 속에서의 유통의 위상

○ 쌀 생산액은 9조 3,000억, 창출된 부가가치는 8조 888억 원으로 쌀 관련산업의 총 부가가치는 15조 8,000억∼16조 1,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농촌진흥청. 2010.

「쌀의 가치체계, 2008」).

– 공급량은 5,790천 톤으로 생산량 4,843천 톤과 수입량 257천 톤, 전년 이월량 690천 톤이다.

– 쌀 수요량은 4,944천 톤으로 시장유통량 2,518천 톤, 가공량 541천 톤, 기타 699천 톤, 농가 자가소비량 1,186천 톤이다.

○ 소비지에서 쌀은 가공산업, 외식산업, 일반유통업, 대형유통업, 직거래를 통해 소비․유통된다.

–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식품, 탁주 및 약주, 떡류업체로 구성된 소비지 가공산 업의 전체 쌀 제품 매출액은 5조 5,000억 원이며, 이중에서 쌀 구매액은 1조 1,227억 원이다.

– 외식산업의 총 매출액은 44조 5,458억 원이며, 이 중에서 밥 매출액은 3조 1,710억 원, 쌀 구매액은 7,443억 원이다.

– 일반 유통업의 총 매출액은 8조 3,328억 원으로 이 중에서 쌀 매출액은 1조 8,495억 원이다.

– 대형유통업의 총 매출액은 61조 4,871억으로 이중에서 쌀 매출액은 2조 31억 원이다.

– 직거래는 전체 유통량의 6%로 약 3,545억 원이다.

– 시장 쌀유통 물량 중 27.7%가 도매상을 거쳐 외식 산업과 일반유통업으로 판 매되고, 도매업의 총 매출액은 1조 2,176억 원이다.

○ 시장유통량을 제외한 농가 자가소비 규모는 2조 7,832억 원으로 추정되며 농 가 자체 소비나 친인척 증여, 혹은 임차료 지불로서 현물 지급되는 물량이다.

4

장 그림 4-1. 쌀 유통흐름과 관련산업과의 연관관계

자료: 농촌진흥청, 2010. 「쌀의 가치체계, 2008」.

○ 2011년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1.2kg으로 1990년 119.6kg의 60% 수준으 로 감소하였다.

– 한편 평균 쌀 소비 감소율은 1990년~2003년에 2.7%인데, 2004년~2011년에는 1.9%로 낮아져서, 1인당 쌀 감소율은 2000년대 초반에는 높았으나 후반에 들 어와 감소 속도가 둔화되었다.

– 이러한 소비량 감소로 국내시장에 유통되는 쌀 유통량도 동시에 감소하는 추 세이다.

2

그림 4-2.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변화추이

단위: kg, %

자료: 통계청, 2010. 「2011 양곡소비량조사」.

1.2. 쌀 유통 구조의 변화

○ 쌀 유통의 특성상 벼의 쌀로의 가공(도정)과정이 필수적이므로, 농가에 의해 생산된 벼는 대부분 RPC와 도정공장에서 쌀로 가공된 후 도매상과 소매상을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그림 4-3. 쌀의 유통경로

자료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1. 「품목별 유통실태 정보」.

유통주체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도정업자 39 37 37 40 39 37 35 2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도매상 51 53 56 47 46 45 41 5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소매상 35 36 42 37 32 33 31 40

대형유통업체 35 37 35 44 42 48 51 29

대량수요처 23 21 16 13 20 13 12 25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각 연도.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2

○ 2011년도에는 저가의 수입쌀과 정부비축미의 유통증가로 도매상과 대량수요처 의 비중이 높아지고 대형유통업체의 비중이 낮아졌다.

– 도매비중의 지속적 감소추세와 달리 2011년 비중이 상승한 것은 국내산 쌀 가 격상승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아진 수입쌀과 가격안정을 위해 방출한 정부비축 물량이 도매상을 통해 유통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이에 따라 2011년도에는 저가의 수입쌀과 정부비축미 유통이 증가하면서 소매 상의 유통비중과 케더링업체, 단체급식업체, 식자재업체 등의 대량수요처의 비 중이 높아졌고 상대적으로 대형유통업체의 유통비중이 줄어들었다.

– 따라서 향후 국내산 쌀 가격이 상승여부와 저가미 중심의 도매상과 대량수요 처 유통비중 변화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1.3. 쌀 유통 비용 구조의 변화

○ 농가수취율이 유통비용비중 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농 가수취율은 감소세를, 유통비용비중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소비자지불가격을 100으로 했을 때 2005년~2011년간 농가와 유통 부분간의 분배율을 살펴보면, 농가가 평균적으로 78.7%를 수취하고 유통비용이 평균적 으로 21.3%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농가수취율은 2005년 76.7%에서 2009년 80.4%까지 상승하다가 2011년 78.7%로 낮아져 하락세로 전환한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유통비용 비중은 23.3%

에서 19.6%까지 하락하다가 최근 들어 21.3%로 높아져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 소비자지불가격의 유통단계별 비중을 살펴보면, 출하단계가 소매단계보다 높은 비중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2010년 이후 출하단계 비중은 낮아진 반면 소 매단계 비중은 높아졌다.

– 2005년~2011년 동안 평균적으로 소비자지불가격 중에서 출하단계에 지출되는 비중(12%)이 소매단계에 돌아가는 비중(5%)보다 높게 나타났다.

– 출하단계 비중은 2008년 11.6%에서 2010년 13.3%까지 상승하다가 2011년 11.5%로 하락한 반면 소매단계 비중은 2008년(5.7%)에서 2010년(2.9%)까지 하락하였으나 2011년에는 5.4%로 반등하였다.

4

장 표 4-4. 쌀 유통비용의 구성

단위: %, 원/20kg

구분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농가수취율 82.6 76.7 77.7 78.8 79.1 80.4 79.3 78.7

농가수취가격 38,328 31,831 34,106 34,118 36,270 31,920 30,978 36,681 소비자가격 46,427 41,448 43,870 43,327 45,853 39,702 39,074 46,665 자료: 농산물 유통정보(KAMIS), 각 연도. 「품목별 유통 실태정보, 유통비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