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프로그램 효과 분석

1. 실험방법

가. 실험대상 및 설계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은 비확률 표본추출 방법 중 편의 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연구에 필요한 표본을 추출하였다. 편의 표본추출법이란 연구자와 근거리에 있는 표본을 선정하는 등 연구수행에서의 편리성을 표집의 근거로 사용하는 표집방법이다(권대봉, 현영섭, 2004). 따라서 이 연구의 대상으 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한 J대학교에서 ‘자기관리와 미래준비’ 교양수업을 수 강하는 학생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두 개의 수강반 중에서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 35명의 수강반과 무처치한 통제집단 38명의 수강반을 연구집단으로 구 성하였다. 다음 표 31은 이 연구의 연구대상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표 31. 실험대상 현황

항목 구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대학

인문대 4(11.4) 6(15.8) 경상대 9(25.7) 13(34.2) 자연대 14(40.0) 16(42.1)

공과대 8(22.9) 3(7.9)

성별 남학생 19(54.3) 21(55.3) 여학생 16(45.7) 17(44.7)

합계 35(100) 38(100)

연구 설계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 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준실험설계(quasi experimental designs) 중에서 이질통 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하였다. 다음 그림 12는 본 연구의 실험 설계를 도식화한 것이다.

실험집단

통제집단 -

그림 12. 실험 설계

, : 사전검사(자기관리역량진단평가)

: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처치

, : 사후검사(자기관리역량진단평가)

위의 , 은 사전검사를, 그리고 X는 프로그램의 실시를, , 는 사후검사를 지칭하는데, 사전검사치와 사후검사치의 차를 산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는 실험 설계이다.

나. 실험절차

1) 사전 검사

본 연구의 사전검사는 2013년 8월 말경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대학교양수업 시간에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평가 내용과 취 지를 안내하고 자기관리역량진단평가를 실시하였다. 진단평가는 자기관리역량과 하위영역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 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정서적 자 기조절능력, 그리고 직업의식을 검사하였다. 사전검사는 실험집단 35명과 통제집 단 38명을 합하여 총 73명에게 실시하였다.

2) 프로그램 실시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운영은 2013년 8월 4주차부터 시작하여 12월 2주차까지 총 15차시를 실시하였다. 과제수행형 액션러닝을 적용하여 액션 러닝프로세스를 총 15주차로 구성하였고, 액션러닝 워크숍은 4주차까지 운영하 고, 과제해결프로세스는 11주차로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전반부에서 개별 과제를 부여하여 액션러닝 워크숍과 문제해결도구 학습과 병행하여 수업현장에 서 실질적인 과제로 운영되었고, 후반부에서 팀과제를 부여하여 과제해결프로세 스 활용과 자기관리역량과 병행하여 운영되었다. 개별과제 발표와 평가는 8주차 에 실시하였고, 팀과제 발표와 평가는 15주차에 실시하였다.

3) 사후 검사

사후 검사는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 로그램이 끝나는 시점인 2013년 12월 1주차에 수강생들에게 K-CESA 중 자기관 리역량진단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만족도 설 문을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는 실험집단 35명과 통제집단 38명을 합하여 총 73명 에게 실시하였다.

다. 실험방법 및 자료처리

1) 양적 분석

가)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 용한 측정도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개발한 대학생 핵심역량진단평가(K-CESA) 중 자기관리역량진단평가이다. 자기관리역량진단평가는 비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 가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 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정서적 자기조절 능력, 직업의식의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기보고식 평가이며 총 60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관리역량진단평가의 4가지 영역별 신뢰도는 0.68에서 0.87이었으며, 각각 5

∼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하위요소별 문항의 신뢰도는 0.55∼0.78이었다. 총 60개

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관리역량진단평가의 검사 신뢰도(Cronbach's )는 0.91

가)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 단계에서는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수집하였는데, 질적자 료 수집에 있어서도 개인자료와 팀 자료를 각각 개인과 팀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질적자료의 수집은 개인별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개별 성찰저널, 팀활동에 대한 팀원의 팀성찰저널, 개별과제 인터뷰 보고서, 팀별과제 보고서 등 다양한 방법으 로 분석함으로써 양적 결과뿐만 아니라 질적 결과에서도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 하고자 하였다. 두 개 이상의 연구방법론을 하나의 연구방법론으로 통합하려고 할 때 방법론적 삼각검증(triangulation)을 사용하게 되는데, 연구의 설계나 자료 수집 단계에서 발생한다(김귀분, 신경림, 김소선, 유은광, 김남초, 박은숙, 김혜숙, 이경순, 김숙영, 서연옥, 2005: 373). 본 연구에서 채택한 삼각검증법(triangulation of methodology)은 양적 방법론을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질적 방법론을 적용할 것인지의 문제와는 상관없이 연구결과에 대하여 우리가 신뢰할 수 있도록 해주 는 반복된 연구(replication)의 한 형식이다(Denzin, 1970). 또한 다양한 자료와 방 법을 병행함으로서 특정 자료나 방법이 갖는 편파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연 구결과의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대중적인 연구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김윤옥 등, 1996; Jick, 1979; Mathison, 1988; 김성봉, 2004: 80에서 재인용).

나) 자료 처리

양적 분석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수 강생들이 프로그램 실행 기간에 작성한 성찰저널과 과제보고서 등의 질적자료를 수집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질적자료들은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되었 다. 즉, 수집된 모든 자료는 코딩(coding)과정을 거쳤다.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읽고 추론하고 의미를 도출하려고 하면서 이 과정에서 반복적인 개념의 유형과 사고를 찾아 코딩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 많은 생각과 모든 자료에 포함된 단 어를 요약적으로 표현해줄 수 있는 한 가지 개념으로 특징화하였다. 또한 수집한 질적자료들은 개별성찰저널, 팀성찰저널, 개별과제 인터뷰 보고서, 팀별과제 보고 서로 종류는 많으나 개별성찰저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개별성찰저널을 위 주로 분석하였다.

2. 프로그램 효과 분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