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재생에너지산업

문서에서 COUNTRY PROFILE (페이지 84-87)

□ 풍력발전

○ 풍력발전 현황

- 베트남 전체 국토 중 28,000m2는 해발 기준 65m 높이에서 1초당 평균 7m 속도 이상의 바람의 세기를 가지고 있으며, 풍력에 관한 국제 전문가들은 이 정도의 속도는 풍력발전에 적합한 속도라고 말 하고 110,000MW 이상을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하였음.

- 세계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은 태국, 라오스 및 캄보디아 보 다도 더 많은 풍력을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시장이며, 세계은 행은 베트남은 연간 513,360MW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평가하였음.

- 베트남 중부 및 중앙 고원지대와 연결되는 일부 해안지역은 풍력단 지를 조성하기에 아주 적합한 장소이며, 특히 닌투안(Ninh Thuan)과 빈투안(Binh Thuan)지역은 풍력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최적지임.

- 또한 풍력의 평균 속도가 높아 작은 폭풍에도 안정적으로 바람이 불기 때문에 풍력발전에 좋은 장소이며 몬순 기간에도 바람이 1초 당 6~7m 속도를 보여주고 있어 3~3.5MW 규모의 작은 풍력발전소 를 건설하는데 적합함.

-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는 오는 2015년에서 2025년까지 대체에너 지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행하고 있는 중임. 이 계획에 따르 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는 베트남 전체 에너지의 5%에 해당됨.

○ 베트남의 풍력발전 프로젝트

- 푸옹 마이(Phuong Mai)의 제3 풍력발전은 연간생산능력 55MW로 베트남에서는 최초의 풍력발전소이며, 빈딘(Binh Dinh)성 논호이 경제지대(Nhon Hoi Economic Zone)에 위치한 이 발전소는 지난 2007년 9월에 착공하였음.

- 동 발전소의 면적은 140ha로 $2,570만 이상이 투자되었으며, 푸옹마 이 발전소는 14기의 터빈, 14개의 트랜스포머가 설치됐으며 1년에 5,500만Kwh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임.

- 스위스에 기반을 두고 있는 아에로기 플러스(Aerogie Plus)사는 바 리아-붕타우(Ba Ria-Vung Tau) 의 남부지역인 콩 다오(Con Dao)섬 에 디젤-풍력 발전소를 수행하고 있으며 총 투자비는 2,000만 유로, 투자자는 현지 지방당국과 전력구매 계약을 체결하였음.

- 설계에 따르면 동 발전소는 두가지 시스템으로 운영됨. 풍력터빈과 디젤 터빈 방식이 병행되는 시스템이며, 건설은 2009년 초에 개시 됐으며 2010년에 완공될 예정임.

- 또 다른 풍력발전소는 투이 퐁(Tuy Phong)이라 부르는데 빈 투안 (Binh Tuan)의 투이 퐁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1,500ha이 며 베트남 전력망과 연결되어 올 8월에는 처음으로 7.5MW를 생산 하게 됨.

- 카우 닷 풍력발전소(Cau Dat Wind Power Plant) 프로젝트는 오는 2010년에 람동(Lam Dong)성 다 라트시(Da Lat City)에 건설될 예 정이며, BOO(Build-Operate-Own)방식으로 수행됨.

- 동 발전소 면적은 2ha로 30MW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20개의 풍 력 터빈이 설치됨. 총 투자비는 $5,700만 정도이며, 동 발전소는 오는 2011년 6월에 가동 개시예정으로 연간 9,000만 kWh를 공급하게 됨.

- 현재 베트남에는 약 20,000M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20개 이상의 풍력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음. 그러나 이 들 프로젝트 중 어느 것 하나도 운영 중에 있지 않으며 국가 전력 망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음. 풍력발전 이행속도가 매우 느리며 비 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임.

□ 바이오매스에너지

○ 베트남의 바이오매스에너지 잠재력은 연간 4,300~4,600만 TOE이며 60%(2,600~2,700만 TOE)는 목재로부터 나머지 40%(1,700만~1,900만 TOE)는 짚이나 농산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성, 바이오 가스의 개발가 능 용량은 연간 4만 TOE 수준으로 평가함.

□ 지열에너지

○ 주로 서북부와 중부권에 표면온도 30~105℃의 지열원이 300개 정도 분포되어 있으며, 충분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여 잠재력과 개발가능성 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부족하나 2025년까지 약 200MW 규모 상당 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함.

□ 신재생에너지부문의 과제

○ 지금까지 베트남에서는 각종 조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잠재력을 조사해 왔으나, 조사내용에 일관성이 없어 전체적으로 볼 때 아직 조 사가 충분하다고 볼 수 없음. 이 분야에 대한 베트남 고유의 과제로 서 태양광․태양열은 비싼 설비비용과 저용량, 풍력발전은 정확한 잠 재력의 미파악, 지열의 경우는 낮은 채산성 등이 지적되고 있음.

○ 베트남은 농업국가로 땔감․동물의 분비물․농업폐기물 등을 중심으 로 하는 방대한 바이오매스 자원이 존재하지만, 그 대부분은 가정용 열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중부 및 남부의 제당공장에서 바가스(사탕수수 부산물)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시스템이 도입되어 운 영되고 있음.

- 향후 전원(電源)으로서의 이용뿐만 아니라 여기에 추가하여 바이오 에탄올 및 바이오 디젤 등 바이오연료로서의 이용도 기대됨.

○ 2007년 5월에는 국가 바이오연료개발계획이 산업무역부(MOIT)에 의 해 작성되어, 2008년 1월에 승인되었음.

- 이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의 도입․보급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으 나 전력부문을 예를 들어 보더라도,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대한 우 대가격의 전력구입 및 전력사업자에 대한 판매 전력량의 일정비율 에 해당하는 신재생에너지발전 및 구입 의무제도 등 구체적인 인센 티브는 아직 도입되어 있지 않음.

문서에서 COUNTRY PROFILE (페이지 84-8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