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규교사 적응력 향상방안

Ⅱ. 이론적 배경

3. 신규교사 적응력 향상방안

가. 멘터링(Mentoring) 1) 멘터링의 정의

멘터(Mentor)라는 단어는 Homer가 쓴 The Odyssey에서 출발한다. 기원전 1200년경 Odyssey가 Troy와의 10년간의 전쟁을 치르기 위해 떠나면서 그의 아들 Telemachus를 도와 그의 왕국을 잘 보호해 줄 것을 부탁한 친구의 이름이 바로 Mentor였다(Wilson &

Elman, 1990). Mentor는 왕자를 도와 Telemachus의 친구로, 아버지로, 스승으로써 왕국 을 잘 통치하도록 필요한 지식과 충고를 해주었다. 어원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멘터는 조직 내 하급자에게 조언과 상담을 해주며 도움을 주는 상급자를 말한다. 따라서 멘터는 상대적 으로 경험 많은 조직 내 연장자가 수년간 경험으로 터득한 조직 생활의 지혜를 바탕으로 후배 사원 경력 개발에 관해 상담해 주고 도움을 주는 원숙한 고급관리자라고 정의한다 (Klauss, 1981). 따라서 멘터링은 신규교사에게 여러 가지 도움을 주기 위해 감정적 위탁관 계에 의해 지속력 있게 결속된 개인 간 상호관계로 정의한다.

이러한 점에서 멘터링은 경력 계획 및 능력 개발과 인간관계 개선에 필요한 각종 후원

멘터의 역할 멘티의 역할

출처: Margaret, F.(1980) In the Spotlight: Women Executives in a Changing Environ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및 지시, 피드백 등을 신규교사에게 제공하는 역할 모델로서 활동한다. (Rogers & Babinski, 조부경외 2인 역, 2005).

경력관련 기능 심리사회적 기능

출처: Kram, K. E(1983) Phases of the Menter Relationshio.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

기 능 정 의

출처: Kram, K. E(1983) Phases of the Menter Relationshio.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

4) 멘터링 효과

멘터링은 신규교사들이 학교 환경에 익숙해지고, 교사로서 필요로 하는 인적․물적 자원 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따라서 멘티는 기술을 학습하고, 조직생활 요령을 터 득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며 효과적인 행동원칙을 학습한다. 또한 멘터 자신도 삶의 재활력 을 느끼게 된다. 또한 조직에 있어서도 조직문화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은 멘 터링을 수행하는 것이다(Wilson & Elman, 1990).

멘터링 정도가 조직몰입, 역할 모호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윤종록, 1995), 어떤 사업이든 성공한 최고 경영자의 배후에는 항상 멘터가 있다는 주장(Collin & Scott, 1983) 이 있다.

멘터링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보면, 멘터가 있는 경영자들이 멘터가 없는 경영자에 비해 더 많은 봉급과 보너스를 받았고, 직무만족 수준도 높았으며(Roche, 1990), 더 많은 권한과 높은 만족감과 빠른 승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agenson, 1988).

나. 연수

1) 신규교사 연수의 개념

신규교사 시기에 경험하게 되는 교수활동 상황은 교사가 교직을 수행하면서 효과적인 교 수활동 수행과 교수활동의 전문성을 유지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Johnson & Ryan,1980).

Grant와 Zeicher(1981)는 신규교사 연수가 결여된 신규교사들은 교육현장에서 많은 스 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시름과 좌절, 고립감을 느끼고 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교수활동을 할 수 있는 우수한 교사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신규교사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Lieb(1992)는 교직초기에 신규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지성과 재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신규교사 연수가 제공되어져야 한다고 하면서 사범대학의 직전교육은 신규교사들이 교육현 장에 입문할 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없고, 심지어 직전교육에서 받았던 내용들조차도 서서 히 잊혀지고 만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신규교사들이 직전교육을 받았던 대학에서 실제로 그들이 교육활동에 임하게 되는 교육현장인 교실로 전이해 가는 과정을 지원해 주는 신규 교사 연수는 초임 신규교사들이 받았던 직전교육을 유지시켜 주고, 확장시켜 주기 위해서 매 우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규교사 연수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신규교사 연수의 개념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Schlechty(1985)는 신규교사 연수를 신규교사가 전문적인 교사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

교사들의 교수활동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교사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제공하 는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다. 신규교사 연수 내용의 구성 1) 신규교사 연수 내용의 구성원리

신규교사들의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에 대하여 공포감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쉽게 좌절하고, 두려움을 느끼며, 걱정하다가 딜레마에 빠지곤 한다. 즉, 신규교사들은 좌절 을 겪으면서 개인과 전문 직업인인 교사로서의 조화를 이루는 역할 수행과 학교와 교실에 서의 역할 수행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므로 신규교사들이 학교에 입문하게 되면서부터 학교조직의 기준과 규범에 빠른 시간 내에 사회화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 화되는 것이 중요한데 현재의 직전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것이 거의 무방비 상태이므로 신 규교사 연수는 교사로서의 전문적인 교육활동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신 규교사들이 학교환경에 잘 적응하고 변화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져야 한다(Ryan, et. al., 1980).

Goodlad(1983)는 신규교사들은 교육활동을 시작하면서부터 혼란을 느끼거나 저항을 느 낀다고 하면서 이는 강력한 직전교육 프로그램의 결과인지 또는 신규교사의 개인적인 편견 과 학교문화 사이의 불일치로써 나타나는 결과인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신규교사 연수는 대학에서 가르치는 것보다는 초․중등학교의 실제적인 교육현장을 중심 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신규교사들은 처음 부임하면서 근무하게 되는 학교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실제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학교상황에 의거하여 신규교사를 전 문화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Rosenholtz(1985)는 신규교사 연수가 신규교사들의 관심과 신규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논의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즉, 신규교사 연수는 신규교사의 자질을 향상 시키고, 신규교사 의 교수활동 능력을 예측하며, 교수활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구성되어야 한 다고 하였다.

Griffin(1987)은 신규교사 연수의 내용을 구성하고 실행할 때 이론과 실제의 모두에 주의 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효과적인 신규교사 연수 내용의 구성원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의 학습발달과 관련된 교사의 성장과 발달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즉, 신규교사 연수는 신규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신규교사들이 교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8)은 교사 현직연수의 영 역으로서 직무능력 증진, 직무적응, 교직생애 발달, 개인건강, 조직발달 등 5가지를 제시하

둘째, 전문발달 영역은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에 초점을 두고, 교과지도 등의 교육활동

지식을 교과의 내용으로 전환시켜 효과적으로 학생에게 전달할 수도 없다고 하였다.

나) 심리적인 측면의 지원

학생에서 교사로 변화하는 과도기인 신규교사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데 특히, 교직에 대한 자부심 결여, 개인의 역할과 전문인으로서의 역할간의 요구차이에서 오는 갈 등, 스트레스 조절의 비 적절성 등을 겪고 있다. 신규교사들이 개인적으로 불안 해 하고, 교 직에 대한 자부심이 결여되어 있다면, 신규교사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할 수 없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교수․학습에 대한 준비가 아무리 완벽하더라도 성공적인 교수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전문적인 교직에 있어서 스스로 어려움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은 중 도에서 교직을 그만두게 될 뿐만 아니라, 교수활동에 실패하게 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신규교사들은 교사 역할 수행시의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과 스트레스를 스스로 조절하는 방법 등에 대한 심리적 측면의 지원을 요구하게 된다(Frisen, 1988).

다)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를 통한 지원

신규교사들을 지원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컴퓨터를 통한 신규교사의 지원요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즉, 신규교사들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여러 사람들과 정보를 나누고, 메시지와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신규교사들이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여러 사람들과의 공식적인 의사소통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인터넷과 e-mail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Merseth(1991)는 신규교사들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식적 및 비공식적으로 교 수․학습 측면에 대한 지원과 심리적 측면의 지원을 받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즉 컴퓨터 네 트워크를 통한 지원이 신규교사들의 교수․학습 측면에 대한 지원과 심리적 측면에 대한 지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신규교 사들은 교수활동을 수행하면서 심리적인 측면의 지원과 교수․학습 측면의 지원을 제공받 음으로써 궁극적으로 교수 기술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