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매년 신학기가 되면 전국의 중등학교에서 적지 않은 신규교사가 학교에 부임하게 된다.

학교조직의 일원이 된 신규교사는 신선한 감각을 갖고 꿈과 희망에 부풀어 교직에 입문하 게 되지만, 신규교사들은 교사양성과정을 마치고 학교현장에 입문하는 순간부터 꿈, 희망과 이상은 현실이 되고, 배우는 입장에서 가르치는 입장으로 역할상의 변화도 이루어진다. 일 반적으로 현장 근무에 투입되기 전 ‘수습사원’이나 ‘견습생’으로 일정 기간의 준비 시간을 갖는 다른 조직들과는 달리 학교에서는 신규 발령을 받고 첫 출근을 하는 날부터 바로 수 업을 하게 된다(Huling- Austin, 1990; Lortie, 1975). 이때, 신규교사들은 직전교육을 받는 동안 접했던 여러 가지 교육이론들과 교생실습기간 동안 터득했던 학생에 대한 이해에도 불구하고, 학생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부여되는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해 나가는 동안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3월은 신규교사들에게 잔인하다. 학생들에 대한 사랑 과 열정을 교실에서 펼쳐 보일 것이라는 기대와 용기를 가지고 학교로 들어간 신규교사들 을 3월은 그대로 내버려두지 않는다. 신규교사는 첫 한 달 동안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 가?’, ‘내가 교육대학교에서 배운 것이 무엇인가?’, ‘학생들은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 ‘학생 들이 원하는 것과 내가 주려는 것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무엇이 먼저 문제인가?’, ‘내 가 교사로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오늘 내가 학교에서 한 일은 무엇인가?’, ‘내가 교사로 서 적절한 사람인가?’ 등의 질문들을 자신에게 던지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날들은 이러 한 질문을 할 여유조차 없이 흘러간다(정정훈, 2004).

신규 교사들은 수업 및 업무 수행상이 효과성을 저해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 부딪치게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직전 교육을 통해 형성된 이상과 신념은 고되고 힘겨운 교 직 생활에 의해 무너져 가고 가르치는 것에 대하여 자신감을 잃게 되며, 교육적 사명감이 저하됨으로써 교사 자신은 물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그 러므로 이 어려운 교직 적응력 및 질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방안 들을 마련하기

위해 각 지역교육청 별로 신규 임용 예정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가 실시되고 있으나, 처음이자 마지막 활동이 되고 있으며, 그 나머지 부분은 모두 신규교사인 개인에게 맡겨지 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신규교사의 교직 적응과정에는 개인적인 경험과 직전 교육의 영향 도 어느 정도 작용하고 있으나 상당한 개인차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명확한 것 은 신규교사들이 교직에 들어와 제대로 적응하고 전문성을 충분히 개발하기 위해서는 자신 의 노력뿐만 아니라 행정가, 학생, 학부모, 특히 동료 교사들의 도움도 크게 작용을 하게 된 다는 것이다(허병기, 2002).

직전교육에서 질 높은 교육실습과 교사 임용대비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신규교사 들은 학급의 학생들을 다룰 수 있는 지도 능력을 배양하기는 부족하다. 왜냐하면, 교육현장 에서 겪게 되는 구체적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기 때문 이다. 또한 새롭게 맞는 환경과 그 구성원들이 가치관 등 새롭다는 이질감 속에서 잘 적응 하려해도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처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훌륭한 교사 양성을 위한 교사 양성기관의 직전교육도 중요하지만 신규교사의 전문성을 심 화하고 교사의 질적 향상을 위해 현장적응 지도에도 보다 많은 관심과 배려가 요청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새로 교직에 발을 내딛은 중등 신규교사들에게, 교사로서의 역할수 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일년 동안 삶의 모습을 돌아보고, 교직생활에 적응상의 어려움을 느 끼는 활동을 조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적응과정에서 발휘하거나 습득한 해결방안을 분석하여 정리하고, 나아가 향후 가능한 교직적응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 토대 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 방법을 토대로 일곱 명의 신규교사가 중등학교 교직 생활에 적응해가는 첫 일년 동안의 삶을 돌아보고 신규교사가 느끼는 교직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 그램 기본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신규교사가 교직적응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은 무엇인가?

둘째, 신규교사를 위한 교직적응력 향상 방안은 무엇인가?

3. 용어의 정의

가. 신규교사(Beginning Teacher)

신규교사의 정의는 연구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내려지고 있지만 (Carter, 1996;

Veenman, 1984; 심상보, 2003; 권낙원, 1988; 4 재인용), 일반적으로 신규교사란 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이 3년 이하인 경우를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 연구에서도 3년 이하의 교육경력 을 가진 교사로서 교직 현장 적응에 불안감과 어려움을 갖고 있는 사람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