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성

문서에서 식품정책의 방향과 과제 (페이지 103-108)

부록 1. 식품산업의 현황

2.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성

총 계 17,529 100.00 28,079,568,810 100.00

1억 원 미만 10,330 58.93 255,665,606 0.91

1000-2000 억 원 20 0.11 2,987,540,124 10.64

2000-5000 억 원 14 0.08 4,044,395,719 14.40

5000-1 조 원 4 0.02 2,914,077,970 10.38

상인 업체는 약 55개소로 비중이 0.3%에 불과한 반면, 매출액의 시장점유 율은 44%로 식품산업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남.

부표 1-7. 종사자 수 규모별 식품제조가공업체 현황(2006)

단위: 개소, 천 원

구 분 업체 수1) 점유율 매출액 점유율

총 계 17,529 100.00 28,079,568,810 100.00

1-4 인 10,621 60.59 1,015,534,527 3.62 5-10 인 3,232 18.44 1,390,787,046 4.95 11-20 인 1,769 10.09 1,681,476,943 5.99 21-30 인 692 3.95 1,393,053,485 4.96 31-50 인 575 3.28 1,840,615,407 6.55 51-80 인 249 1.42 1,582,388,174 5.64

81-100 인 96 0.55 796,526,916 2.84

101-150 인 89 0.51 1,210,813,885 4.31

151-200 인 44 0.25 622,955,114 2.22

201-300 인 38 0.22 723,945,683 2.58

301-500 인 32 0.18 1,211,850,738 4.32

501-1000 인 37 0.21 2,241,979,655 7.98

1001 인 이상 55 0.31 12,367,641,237 44.04

주: 법인업체수로 집계(축산물 가공품 제외)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2006.

2.2. 원료의 수입의존도 심화

○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는 식품원재료의 많은 부분을 수입에 의존함.

- 제분, 제당, 전분 및 당류, 식물성유지는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함.

- 그 다음 국수류 77%, 빵・과자 61%의 순서로 높은 수입의존도를 보임.

- 축산가공품은 농산가공품에 비하여 낮은 수입의존도를 나타냄.

<식품원료의 소급 수입의존도 작성방법: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작성>

2.3. 식품산업의 특성

□ 식품산업은 건강과 직결되는 제품 생산을 한다는 점에서 여타 산업과 다른 특성을 보유

○ 식품은 원료에서부터 최종재에 이르기까지 재배, 유통, 생산 등의 각 단계 별로 안전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함.

* 예컨대, GAP에 의거하여 원료 재배, GSP에 따라 유통, HACCP 기준의 생산 등이 안전성 측면에서 필요

○ 이에 따라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전 과정을 총괄하는 체제의 구축이 필요함.

□ 특히 소득수준 향상과 함께 고품질의 식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적 특성을 보유

○ 세계적으로 LOHAS* 지향성이 심화되면서 ‘고품질’, ‘건강성’ 등이 식품시 장의 중요한 경쟁요소로 작용함.

* LOHAS(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건강한 삶과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의미

○ 이에 따라 식품시장에서 혁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특히 R&D 투자의 필요성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 그러므로 혁신체제 구축을 통해 기업에 대한 지식 이전을 활성화하는 것 이 식품산업 경쟁력 제고에 매우 중요

- 즉,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주요 시스템 중 과학기술시스템과 산업생산시스 템 간의 긴밀한 연계가 산업발전의 동력임.

□ 산업구조 측면에서 우리나라 식품산업은 대기업과 영세 중소기업의 양극화된 이중구조의 특징을 보유

○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자영업 중심의 영세업체로서 종업원 50인 이하가 91.6%이며, 매출액 비중은 55.8% 수준에 불과함.

○ 영세기업들은 대부분 혁신의 역량과 관심이 미흡하며, 특히 지역혁신체제 에서도 소외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임.

○ 이와 같은 영세업체 중심의 구조에서는 시스템 연계 프로그램 중에서도 기 술지원 등 R&D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프로그램이 중요함.

○ 아울러 영세기업들은 보건정책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품질관리 차원의 규제에 대응할 역량이 미흡하여 고품질 중심의 식품시장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정책적 차원에서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 요함.

□ 식품산업은 ‘현지성(Local)’ 및 ‘지역성(Regional)’이 상대적으로 강한 특성을 보유

○ 식품은 각국별로 고유의 문화성에 주된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지 성’이 강하며 이에 따라 국제화가 용이하지 않은 특성이 있음.

○ 또한 국가 내에서도 식품산업은 여타 산업과는 달리 특정지역 편중도가 상 대적으로 낮은 데서 알 수 있듯이 원료 등에 기인한 ‘지역성’이 비교적 큰 산업임.

□ 그 외에도 식품산업은 경기 비탄력적인 산업, 높은 브랜드 충성도, 산업 내 제품 특성별로 다양한 경쟁형태의 시장 존재 등의 특성 보유

○ 식품 중 생필품의 속성을 지닌 제품은 수요의 가격과 소득탄력성이 낮아 경 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특성이 있음.

○ 주요 식품회사들은 생산능력, 브랜드 인지도, 유통망 등을 확보하면서 복점 혹은 과점적 시장구도를 보이고 있으나, 제품 간 차별성이 크지 않은 세분 시장에서는 완전경쟁시장 원칙에 따라 경쟁강도가 상이함.

○ 신제품 출시에 따른 시장변동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마케팅의 중요성 또한 높은 편임.

* 특히 음료 및 주류시장은 대부분 독과점형태의 시장 특성을 보이고 있으나, 각 세 부시장에서의 경쟁강도는 높은 편임. 따라서 경쟁이 심화되는 정도에 따라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판매망 구축이 회사의 영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문서에서 식품정책의 방향과 과제 (페이지 103-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