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외 식품산업 동향

문서에서 식품정책의 방향과 과제 (페이지 28-32)

□ 세계 식품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중국 등 아시아 지역 시장이 빠르게 확대

○ 세계 식품시장의 규모는 2004년 기준 약 4조 달러로 추정되는 매우 큰 시장 임2. 세계 식품시장은 인구와 소득이 증가하면서 계속 확대되고, 향후 연평 균 3.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2020년 세계 식품시장의 40%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지역이 세계 식품시장의 중심이 될 전망

2 세계 식품시장의 규모에 대한 추정치는 리서치기관 Euromonitor이 조사한 결과이며, 이는 세계 자동차시장 1.3조 달러, IT시장 2.8조 달러보다도 훨씬 큰 규모임.

구 분 2003 2010 2020

활용하여 신규시장을 공격적으로 개척하고 있음. 네슬레, 켈로그, 야쿠르트 등은 2001년에서 2005년까지 R&D 투자 증가율이 매출액이나 운영비 증가 율보다 높았음.

□ 국내외 식품소비는 웰빙화 추세

○ 여성의 취업활동 증가, 소득 증가, 고령화, 세계화 진전 등으로 국내외 식품 소비가 과거의 열량 공급에서 간편성, 맛, 건강성, 다양성 등 질을 중시하는 웰빙(well-being)화 추세로 변화하고 있음.

- 이는 소량 다종류의 고급이면서 소비하기 편리한 식품, 안전한 식품, 건강 식품 등에 대한 수요가 증대됨을 의미

○ 특히 건강을 중시하는 기능성 식품 시장은 국내외에서 빠르게 확대됨. 국내 기능성식품의 시장규모는 2004년 2,260억 원에서 2006년 6,640억 원으로 증가함.

- 국산 기능성식품의 수출규모는 2004년 200억 원에서 2006년 390억 원으 로 증가

- 세계적으로는 1997년 650억 달러에서 2000년 1,380억 달러, 2002년 2,023 억 달러, 2007년은 3,771억 달러(추정) 수준으로 증가함(Nutrition Business Journal).

- 중국은 도시 소득 수준이 한국과 같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2011년 경에 기 능성 식품시장의 규모가 28조 원 수준이 될 전망(AT Kearney)

○ 세계의 식품소비 패턴은 Glocalization 경향, 즉 세계화(globalization)와 현지 화(localization)가 동시에 진행되는 경향을 나타냄.

- 세계적으로 식문화가 전달・교류되면서 서로 보편화하는 경향과 지역적 식문화에 맞게 현지화되는 경향이 병존

□ 국내 식품산업 성장세는 크게 둔화

○ 우리나라 식품산업은 최근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음. 식품산업의 부가 가치는 1995년 21.6조원에서 2006년 36.7조원으로 증가하였으나, 2003년 이후에는 성장세가 크게 둔화됨.

- 식품산업 부가가치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은 2000년 5.0%에서 2006년 4.1%로 감소3

그림 3-2. 식품산업 관련 주요 지표 추이(지수, 1995=100)

60.0 80.0 100.0 120.0 140.0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사업체수 종사자수 부가가치

지수(1995=100)

사업체 수 종사자 수

자료: 통계청, 전국사업체기초통계조사(사업체 수, 종사자 수), 한국은행(부가가치)

□ 국내 식품산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 구조

○ 국내 식품제조・외식업체는 대부분이 자영업 중심의 영세업체이며, 대기업 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도 심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 제약 요인으 로 작용함.

3 식품산업부문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농림수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짐. 농림수산 업부문의 GDP 대비 비중은 1990년대 중반까지는 식품산업보다 컸지만, 2000년 4.8%, 2006년에는 3.3%로 낮아져 식품산업보다 작아짐.

- 5인 이상 식품제조업체 850만여 개소 중 종업원 50인 미만이 91.6%, 매출 액 10억원 미만이 55.8%를 차지

- 외식업체도 영세하여 55만 개소 중 종업원 5인 미만이 90.4%이며, 매출액 1억원 미만이 75.0%를 차지함. 외식업체의 점포당 매출액은 9,300만 원으 로 일본 3,200만 엔, 미국 54만 달러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

구 분 사업체 수 평균고용인원 매출액

소 기 업 7,781 (91.6) 95,827 (51.7) 16,641,644 (34.0) 중 기 업 673 (7.9) 68,869 (37.1) 24,277,864 (49.6) 대 기 업 41 (0.5) 20,723 (11.2) 8,026,597 (16.4) 합 계 8,495 (100.0) 185,419 (100.0) 48,946,105 (100.0)

표 3-3. 식품제조업체 현황

단위: 개소, 명, 백만 원, (%)

주: 소기업(50인 미만), 중기업(50~300인 미만), 대기업(300인 이상) 구분은 중소기업기 본법에 의한 분류 기준 적용.

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 2006.

문서에서 식품정책의 방향과 과제 (페이지 2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