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풍부한 원유 매장량(1,488억 배럴)에 기반한 원유 수출 의존형 경제구조

○ 다양한 분야에 재건 프로젝트는 많으나 자금 조달 능력이 수주를 결정하는 시장

○ 유가 상승으로 소비여력이 회복되는 수출시장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원유 등 풍부한 부존자원에 기반한 자원 수출 의존형 경제구조

○ (원유) 수출의 99%를 원유가 차지하고 제조업 등 비석유 분야 기반이 취약한 원유 수출 의존형 경제구조로 경제의 유가 탄력성이 큰 시장

- 2018년 확인 매장량이 1,472억 배럴로 세계 원유 매장량 8.5% 차지

원유 확인 매장량 변화 추이

(단위 : 십억 배럴)

구분 2008년 2016년 2017년 2018년

원유 매장량 추이 115.0 144.8 147.2 147.2

자료 : BP 통계 보고서

○ (천연가스) 2017년 기준 천연가스 보유량은 3.5조㎥로 중동지역에서 이란, 카타르, 사우디, UAE 등에 이어 5번째 천연가스 자원 부국

- 이라크는 그동안 여러 유전지대에서 원유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연간 25억 달러 규모 가스를 소각시켜 발전용 천연가스를 이란에서 수입

- 2021년 말까지 가스 소각을 중단하고 가스 발전소에 천연가스를 공급할 예정인바 관련 정제 시설 확대 전망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 변화 추이

(단위 : 조 입방 미터)

구분 2008년 2016년 2017년 2018년

천연가스 매장량 추이 3.0 3.5 3.6 3.6

자료 : BP 통계 보고서

이라크 천연가스 생산량 및 소비량(2014~2018년)

(단위 : 십억 입방 미터)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생산량 7.5 7.3 9.9 10.1 13.0

소비량 7.5 7.3 9.9 12.7 17.0

자료 : BP 통계 보고서

미국의 경제제재로 침체된 이란을 대체할 만한 대형 프로젝트 시장

742 자동차 부품 76,230,659 61,908,976 2.7

751 기계요소 19,659,519 50,979,784 181.8

한・중・일 3국의 대(對)이라크 교역액 비교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수출 수입 수지 비고

한국 1,912 9,569 △ 7,657 수입증가 50.2%

일본 365 1,332 △ 967 수입증가 27.8%

중국 7,959 22,474 △ 14,515 수입증가 63.8%

자료 : Global Trade Atlas

○ 주요 수출품목 측면에서 한국은 중국 및 일본과 3개 품목에서 경합관계에 있으며 일본과 차량 수출에 있어 경쟁 계에 있는 반면, 중국은 의류와 램프 및 조명기구의 상대우위가, 일본은 광학 기기에서 비교우위가 있음

각국의 주요 수출품목(HS 코드 2단위 기준)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한국 차량 항공기 원자로, 기계류 철강 제품 전력기기

일본 원자로, 기계류 전력기기 의류 램프, 조명기구 철강 제품

중국 원자로, 기계류 차량 철강 제품 전력기기 광학기기

자료 : Trade Map

수입규제 비관세 장벽 등 진입장벽

○ 총 76개 품목에 보호관세 부과

- 의약품, 식품, 섬유, 철강제품 등에 10%에서 200% 추가 관세 부과하고 있는데 2019년 부과 대상에 13개 품목이 추가되어 지속적 확대 전망

○ 이라크 내각회의는 원산지증명, 적합성평가인증서 등 수입통관서류의 공증 및 아포스티유 확인 의무화 조치에 따라 움카사르 항 적체 심화

- 적합성평가를 실시하지 않으면 이라크 내 관할 시험소에서 시험평가 불가 - 관세 포함 통관비 동일 요율 납부하나 실제 30% 이상 수준의 관세

다. 투자진출

최근 투자진출 동향

○ 이라크 정부 발주 증가하나 진입장벽이 높아 기존 진출기업 중심 수주

- 2014~2017년 IS로 열악해진 치안 상황 및 낮은 유가로 이라크에 직접 투자한 기업은 감소 했으나 2019년부터 유가 회복에 따른 재정증가로 석유가스, 발전, 교통 분야에 대한 정부 발주물량이 증가했으나 2019년 신규 법인설립 전무

이라크 내 우리기업 주요 프로젝트 추진현황

Badra지역 Central Processing Facility 공사 완료 2013.2월 West Qurna지역 Degassing 플랜트 공사 완료 2011.12월

비즈니스 환경 분석

- 국가 수출과 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2%, 18.3% 증가한 가운데 대(對)이라크 수출과 수 입은 각각 16.4%와 8.8% 증가해 44대 → 40대 교역국 지위 상승(2019년 7월)

중국의 대(對)이라크 교역 현황

(단위 : 백만 미불)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7월 증감률

수출 8,353 7,959 5,378 16.4%↑

수입 13,092 22,474 12,707 8.7%↑

수지 △ 5,371 △ 14,515 △ 7,329

자료 : K-stat

○ 2019년 9월 중국을 방문한 이라크 총리는 중국 정부와 기본합의를 비롯한 8개 분야에 대한 협정과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동참 의사 밝힘

중-이라크 협정 및 양해각서 체결 8개 분야

○ 이라크 재무부와 중국 신용보증기관 간의 기본합의서

○ 이라크 재무부와 중국 상무부 간의 이라크 전후 재건에 관한 양해각서 및 경제기술협정

○ 금융, 상업, 통신, 문화, 교육, 외교 분야 등에서 체결한 협정과 양해각서

○ 외교단 부지 관련 양국 외교부의 양해각서

○ 문화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 이라크 통신부와 중국 항공국 간의 위성에 관한 양해각서

○ 이라크 내무부와 중국 공안부 간의 안보양해각서

○ 바그다드 대학교 내 중국 도서관을 건설하는 이라크 고등교육부와 중국 국무원 간의 양해각서 자료 : 현지 언론기사 및 무역관 자체 조사

- 이라크는 일대일로 정책 대상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한 중국정부는 석유가스 인프라에 직접 투자하는 한편, 각종 재건사업 참여 통해 영향력 강화

* 2007년 중국의 이라크산 원유 수입은 전무했으나, 2018년 2억 7,000만 배럴로 급증

중국정부의 일대일로 추진 경로

자료 : International Road Transport Union, Atlantic Council

- 중국 정부는 중동에서 ‘일대일로 전략’ 추진을 위해 이라크를 제외하고 각국과 이중과세 방지 협약을 체결해왔는데 조만간 추진될 전망

중국의 이중과세 방지협정 체결 현황

자료 : silkroadbriefing.com

- 최근 중국 해륙석유기술책무유한공사(Hilong Oil Service & Engineering)가 바스라석유회사 (BOC)와 남부 바스라주 초대형 유전인 Majnoon에 80개 유정을 개발하는 5,4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기업의 진출이 활발한 상황

- 또한, 중국은 최근 수년간 국영기업을 통해 수십억 달러의 양자차관협정을 체결해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에 참가를 강화

중국기업의 주요 이라크 석유가스 프로젝트 추진현황

기업명 수주액(백만 달러) 내용

Power China, Norinco 10,000(추정) Fao 항만 정유공장(30만 배럴/일 정유능력) 건설

Zhenhua Oil 3,000(추정) 바그다드 동부 유전 개발

China Petroleum Pipeline 4,500 바스라와 아카바간 원유 파이프라인 건설

CPECC 425 Rumaila 유전 개발 연계 발전소 EPCC

자료 : Arab News 등 현지기사 및 무역관 자체 조사 종합

○ (일본) 차관형태의 원조를 통한 일본기업의 현지 프로젝트 진출 지원

- 일본은 이라크와 무역협정(1964년), 투자촉진 및 보호협정(2014년) 체결 통해 현지 투자기반은 마련했으나 치안 문제로 현지 사업추진은 미약한 상황임

- 이라크 내에 체류하는 일본인은 100명 이내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JICA, 일본국제협력은행 (JBIC), 도쿄미츠비시은행, 스미토모은행 통해 차관 형태로 주요 프로젝트에 일본기업이 사업에 참가할 수 있게 지원

* 3개 은행을 통해 조성된 차관은 4억 7,460만 달러

비즈니스 환경 분석

일본기업의 주요 이라크 프로젝트 추진현황

기업명 차관/투자액(백만 달러) 내용

Toyota, Toshiba, Meidensha 192 16개 지역 발전소 건설

Mitsubishi 110 이라크 남부 항만 현대화

Japex 2,800 Garraf 유전 개발

Itochu 406 West Qurna 1 유전 개발(Shell 지분 매입)

NGS 750 바스라 물공급 개선(정수・급수시설 건설)

Hitachi 246 바스라 담수화 공장 건설

자료 : Reuters 등 기사 및 무역관 자체 조사 종합

- 일본국제협력기구(JICA)는 Basra 정유시설 개발과 관련하여 10억 달러의 연성차관 약정협정을 체결하였으며, 이라크 재무부에 따르면 10년 거치, 30년간 연 2회 0.2% 고정금리로 상환할 예정

* 연성차관 : 상환 기간이 길거나 금리가 낮아 차주에게 원리금 상환 부담이 적은 차관

투자진출 진입장벽

○ 외국투자자 보호 위한 세부 시행령 미비

- 2006년 제정된 투자법으로 인해 외국 투자자를 위한 기반은 마련되었으나 투자가가 이라크 투자과정 중에 겪게 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투자 옴부즈만 같은 제도가 미비

○ 투자허가절차 이행에 장기간 소요

- 투자기업이 이라크 투자 시 원스톱 서비스를 받기가 어려우며 투자 대상 분야 담당 부처 및 부서를 통해 투자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부처 간 유기적인 업무가 이루어지지 못해 투자허가 획득에 장기간 소요

○ 치안유지 비용 과다

- 이라크는 여행금지국가로 지정되어있기 때문에 투자진출기업이 겪는 어려움 중 가장 큰 부분은 사설경호계약에 따른 치안유지 비용으로, IS 활동이 약화되어 치안 상황이 한층 개선되었으나 치안 유지를 위해 사설경호계약을 체결할 경우 2,000~2,500달러/일 소요

○ 현지인 의무고용 비율 준수 불가

- 지난 7월 바스라를 중심으로 이라크 전역에서 발생한 시위의 원인 중의 하나가 일자리 부족 이었는데 이라크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투기업 채용직원의 50%를 현지인을 채용하게 하는 규정 이행을 강화하고 있으나 현지 인력 중 숙련된 기능공의 수가 지극히 제한적이어서 원활한 채용이 어려움

우리기업 투자진출 성공 사례

○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 한화건설의 누적 수주액만 101억 달러에 달하는 초대형 건설 프로젝트

- 바그다드 동남쪽 10km 지점에 여의도 6배 면적의 지역에 60만 명을 수용하는 주택 10만 호 및 모든 기반시설을 건설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단일 프로젝트

- 2021년 완공을 목표로 2019년 9월 기준 공정률은 32%인데 비스마야 신도시와 바그다드 중심부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건설 등 추가공사 수주가 전망됨

- 기획・설계・시공의 일괄 수행을 통해 PC 플랜트 등 17개 건축 자재 생산공장을 미리 완공해 프리캐스트콘크리트(PC) 공법으로 건설 공사 추진

- IS로 인한 치안 위기상황 속에서도 건설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어 현지에서 우리기업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

○ (카르발라 정유공장 프로젝트) 현대건설, GS건설, SK건설, 현대엔지니어링이 공동수주한 60.4억 달러 규모 초대형 석유화학 플랜트 프로젝트

- 바그다드 서남쪽 120km 지점에 여의도 3.5배 크기인 1,000만㎡ 부지에 14만 배럴/일 원유를 처리할 수 있는 정유공장 건설 프로젝트 추진

- 2022년 완공을 목표로 2019년 9월 기준 공정률은 75%인데 전체 주요 시공 패키지 78건 중 53건을 우리나라 협력업체가 수행해 상생협력의 성공 사례

- 설계변경, 공기연장 등을 포함한 추가 수주금액은 25억 달러에 달할 전망

- 이라크는 연간 약 36억 달러(1,000만 달러/일) 석유 정제 제품을 수입하고 있는데 카르발라 정유공장 완공 시 정부 차원의 수입대체효과 다대

라. 프로젝트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재건 프로젝트 집중 추진

○ 프로젝트 발주시장 지속 성장 전망

- 유가가 6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어 석유가스, 발전 분야에서 100억 달러 이상의 메가딜 (Mega Deal)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원유 업스트림 역량 확충 및 다운스트림 분야 다각화가 기대되어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가 본격화

○ 중동 프로젝트 시장이 축소되는 가운데 이라크 선전

- 2019년 8월 기준 이라크 내 우리기업 프로젝트 수주액은 총 4.1억 달러로 전년과 비슷한 실적을 보이는데 바그다드 지상철(15억 달러), 해수공급시설(25억달러), 화력 발전소(25억) 프로젝트의 추가 수주가 유력한 상황

비즈니스 환경 분석

비즈니스 환경 분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