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출유망품목(서비스)

Ⅲ. 진출전략

2. 수출유망품목(서비스)

첨부

첨부 3 2020년도 KOTRA 주요 사업(잠정)

2020년 추진계획

○ (프로젝트) 발주처 및 벤더 초청 설명회/상담회 및 현지 상담회 개최 - 초청대상 : 정부 부처 관계자, 발주처, 프라임 벤더 20명 내외 - 협업대상 : 산업부, 국토부, 해외건설협회, 중동 소재 무역관 등 - 이라크 전후 재건 프로젝트 설명회 및 상담회(서울, 4월) - 이라크 수처리 프로젝트 기자재 사절단(바그다드, 6월)

○ (소비재) 이라크 소비재시장 진출전략 설명회 및 상담회

- 초청대상 : 이라크 대형유통망, 소비재 전문 수입바이어 등 20명 - 협업대상 : 산업부, 국내 대형유통망 등

- 자동차부품 등 현지 유망 소비재의 유통바이어 및 네트워크 조사

- 소비재수출대전에서 이라크 소비재 시장 설명회 및 상담회 개최(서울/6월) - GTT에서 이라크 자동차 부품시장 설명회 및 상담회 개최(인천/10월) - 오송 뷰티엑스포(청주/10월), 대한민국 우수산업대전(수원/10월) 상담회 개최 - 바그다드 엑스포(BIF) 한국관 연계 사이버 상담회 개최(바그다드/11월)

○ (기자재수출) 발주처 벤더 등록 설명회 및 상담회 개최 - 이라크 전후 재건 프로젝트 설명회 및 상담회(서울, 4월) - 석유부 벤더등록 설명회 및 상담회(서울/울산, 9월)

- 초청대상 : 정부부처 관계자, 발주처, 프라임벤더 20명 내외 - 협업대상 : 산업부, 국토부, 해외건설협회, 중동 소재 무역관 등

○ (KSP) 이라크 공무원 초청 연수 실시(잠정)

- 이라크 정부 수요에 기반 한 공무원 연수사업 추진(서울/9월)

- 초청대상 : 기획부(MOP), 건설주택부(MOCH), 국가투자청(NIC) 공무원 10명 - 협업대상 : 기재부, 산업부 등

2020년 주요 사업계획

연번 구분 사업계획(안) 시기/장소

1 소비재, 기자재 한국상품 상설전시장 연계 토털마케팅 사업 연중/바그다드

2 프로젝트 이라크 전후재건 프로젝트 설명회, 상담회 4월/서울

3 소비재 현지 한류 행사 연계 소비재 바이어 상담회 6월/바그다드

4 수처리기자재 대구 물사절단 7월/바그다드

5 KSP 기획부(MOP), 산업부(MOI) 공무원 초청 연수사업 9월/서울

6 석유가스, 기자재 이라크 석유부 벤더 등록 설명회/상담회 9월/서울, 울산

7 자동차 부품 GTT 수출상담회 연계 시장진출 설명회 개최 10월/서울

8 소비재 오송 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 연계 바이어 상담회 10월/청주

9 소비재 대한민국우수상품전시회(G 페어) 연계 바이어 상담회 10월/수원

10 소비재 두바이 한류 박람회 한국관 10월/두바이

11 지사화 바그다드 엑스포(BIF) 한국관 개최 11월/바그다드

첨부

첨부 4 2020년도 주요 정치・경제 일정 및 유망 전시회 캘린더

주요 정치 일정

주요 행사 일자 비고

지방선거 2020.4.1 잠정

주요 경제・통상 일정

주요 행사 일자(잠정) 비고

2020년 예산법 확정 발표 2020.2월

유망 컨퍼런스 및 전시회 일정

주요 행사 일자 비고

Iraq Finance 2020(컨퍼런스) 2020.1.25 ~ 27 바그다드

이라크 국제 방산박람회(IQDEX) 2020.3.7 ~ 10 바그다드

Iraq Petroleum 2020(컨퍼런스) 2020.6.9 ~ 12 런던

바그다드 국제박람회(BIF) 2020.11.1 ~ 10 바그다드

종교 기념일 일정

주요 행사 일자 비고

Eid Al Fiter 2020.5.24 ~ 25 Eid Al Adha 2020.7.31 ~ 8.3 Islamic new year 2020.8.20

Ashura 2020.8.29

Prophet Muhammad’s Birthday 2020.10.29

부록 對이라크 K패키지(양국 간 상생협력방안)

Ⅰ. 한-이라크 상생협력 필요성과 미래비전

가. 이라크의 협력 잠재력과 주요국 협력 현황

이라크의 잠재력

○ 지정학적 요충지 → 아라비아반도 북동부, 초승달 벨트의 중심에 위치

* 사우디, 시리아, 요르단, 이란, 쿠웨이트, 터키 등 6개국과 3,800km 국경 접경

○ 풍부한 천연자원 → 원유매장량 세계 4위,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10위

* 2030년까지 원유생산 600만 배럴/일 목표, 원유 시설 확충을 위한 Mega Deal 추진

○ 치안회복 및 유가회복에 힘입어 2019년 경제성장률 4.8% 시현

* 2020년 유가가 65달러/배럴을 유지할 경우, 경제성장 가속화 전망

○ ISIS 테러 불구, 24세 이하 소비인구가 전체인구의 58.4%

* 이라크 출산율 세계 36위 : 4.4(2018년 기준, CIA)

○ 현 총리,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 등 친서민정책 본격 추진 전망

* 저소득층에 주택 10만 호 보급, 중소기업 법인세 10년간 면제, 공장 5만 개 재가동 등

주요국의 대(對)이라크 경제협력 현황

○ 이라크 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중국 등 주요국은 다양한 분야와 방법 으로 이라크와의 협력 확대 노력

주요국의 대(對)이라크 협력 현황

주요국 경제협력 전략 및 진행 사항

중국

∙ 이라크와 아시아 국가 최초로 외교관계 수립(’58.8)

중국기업의 프로젝트 관련 5,000억 달러 자금 지원 등 8개 분야 합의(’19.9)

∙ 이라크 총리, 9월 방중 시 중국의 ‘일대일로’ 참가 발언

* 중국기업 진출 현황 : 중국전력건설, Fao 정유공장건설계획 발표(2018년), 해륙석유공사, Majnoon 유정 80곳 시추 (2019년), 중국석유엔지니어링, Halfaya 천연가스 가공시설 건설

일본

∙ 이라크 원조공여 회의에서 50억 달러(보조금 15억, ODA 35억) 재정지원안 발표(’03.4)

항만, 교량, 도로, 석유가스, 전력 등 31개 프로젝트에 77억 달러 차관 제공(’19.7)

∙ 무역협정(1964년), 경제기술협력협정(1974년), 항공협정(1979년), 투자보장협정(2014년) 체결

미국

∙ EXIM Bank, 이라크 재무부와 50억 달러 차관 제공 MOU 체결(’19.10)

GE, 14GW 전력생산 증대와 관련 전력부(MOE)와 MOU 체결(’18.10)

∙ Exxon Mobile, 30년간 석유가스 분야 개발 및 성능개선 관련 메가딜 협의

∙ 대(對)이란 경제제재 관련 이라크의 이란산 가스 및 전력수입에 대한 유예 연장(’19.10)

∙ 반 ISIS 국제연대와 이라크 정부군의 협력 아래 모술・하위자・카임 탈환으로 협력관계 공고화

부록

나. 한-이라크 상생협력 미래비전 도출

자료 : Vision 2030(https://planipolis.iiep.unesco.org/en/2019/iraq-vision-2030-6751)

이라크의 권역별 협력 수요

부록 우리나라는 중동 지역 지정학적 중요성을 가진 이라크와 경협 노력

* 정부, 기관, 기업 단계로 이어지는 국가 차원의 구체적인 G2G, B2G, B2B 협력전략 부재

(최근 양국 G2G 레벨 회담에서의 주요 협력 논의 분야) 방산협력, 보건의료, 에너지 인프라, 교역투자, 교통, 환경, 전자정부, 문화교류 등

이라크 수요 대비 우리나라의 역량

산업 구체적인 수요(협력방향)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 제조기술・생산능력 전 세계 최상위국

- Bloomberg Innovation Index 2018, 5년 연속 1위

◈ 경제발전 경험 및 공유, 전파 역량보유 - KSP, 한류를 활용한 문화 전화 등

◈ 해외 투자진출을 통한 글로벌화 전 세계 상위권

◈ 전통적 ICT 강국

- IT/정보통신 국가기술력 세계 11위(Biz Insider, 2017)

◈ ECP 기업의 현지 정부 부처의 높은 평판 - 각종 프로젝트 안정적 이행 및 높은 품질 인정 보건의료

플랜트 기자재

에너지/인프라

양국 경제협력을 통해 2020년 교역액 150억 달러 달성 목표설정

교역액 목표설정 근거

◈ 2020년 양국 교역 150억 달러 달성(세계 교역규모 18위)

- ’18년 교역액 114억 달러 대비 36억 달러, % 증가치(세계 교역규모 24위)

<대(對)이라크 교역 추이 및 목표>

CAGR(수출) 9.31%, CAGR(수입) 9.64%

→ CAGR(교역) : 9.58%

<대(對)이라크 교역 순위 목표>

주1 : 10년 치 연평균 성장률(2009~2018년), 단위 USD 백만

주2 : 한국 100위권 교역국가의 2009~2018년 연평균 성장률을 적용, 2020년 예상치 적용 후 순위 추정

한-이라크 미래비전 및 실현 전략으로서의 K패키지

경제협력 대상국을 확대하기 위해 세계 최대 성장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와의 경제협력 다변화를 추구하는 이라크와 전략적 협력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 국가들과의 협력 대상뿐만 아니라 그 분야와 방식의 다양화를 모색하고 있는 한국 간 경제협력을 통한 미래 공동 지향점 설정

* 경제적 관점에서의 접근으로 외교, 안보, 정치 및 문화 등 분야는 추가적으로 반영 필요

부록

Ⅱ. 주체별 상생협력 과제와 실행방안

가. [G2G] 산업・정책 한류로 친기업 제도/문화 구축

문화한류와 경제 한류를 넘어 산업 및 정책 한류로

󰊱 KSP/ODA를 활용한 산업・정책 한류 확산

○ (정책 수요) 이라크는 한국 정부에 민간 부문의 민영화와 중앙과 지방간의 균형 발전, 중소기업 육성 등에 대한 KSP 지원 요청

- 이와 함께 개발협력 차원의 ODA 실행

국가 경제의 석유 의존도가 90% 이상인 관계로 민간 부분 육성, 공기업 민영화는 이라크의 산업 정책 우선순위가 되고 있으며, 비전 2030을 달성하기 위해 제조업 역량 배양 특히 중요

그 간의 대(對)이라크 KSP 및 ODA 추진 실적

연도 사업유형 세부내용

2010 ~ 2015 ODA 프로젝트 ∙ 북부 아르빌/카스나잔 초등학교 건립사업(340만 달러) 2013 ~ 2015 ODA 개발컨설팅 ∙ 의료정보 시스템 구축(199만 달러)

2011 ~ 2016 ODA 프로젝트 남부 4개주 직업훈련원 지원사업(800만 달러)

2013 ~ 2016 ODA 프로젝트 ∙ 이라크 국립대학 및 정부기관 어학실습실 구축사업(698만 달러) 매년 연수생 초청 ∙ 4,373명(2,774만 달러)

2016 KSP ∙ 이라크 국영기업 민영화 및 민간부문 개발방안 국내연수

자료 : 무역관 자료 및 KOICA

○ (향후 제안) K패키지 실행력 제고를 위한 주요 아젠다별 KSP/ODA 실행

󰋼 보건・의료분야 역량 강화 → 중환자병원, 심장병어린이병원 건설

󰋼 이라크 전자정부 구축 → 전자정부 진행 경과(정책 및 시스템), 정부기관의 거버넌스, 향후 도전과제 등 이라크 전자정부 관련 종합적인 현황 평가 및 개선 목적

󰋼 산업단지 협력, 산학연계 제조업 역량 확대 → ① 이라크가 관심을 갖고 있는 로컬 기업 기술이전과, ② 한국이 관심을 갖고 있는 우리 중소기업 해외 진출 및 글로벌 파트너링을 함께 담는 win-win 형태 협력 가능

󰋼 양국 정부 관심사업인 에너지 분야(석유/가스, 송배전, 신재생) 협력(PPP 연계)

나. [B2B] 양국 기업 간 산업 협력

󰊱 제조업(자동차, 자동차 부품, 기계장비) 협력

○ (시장 수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현지 시장점유율 1위 기록

- ISIS 테러로 인해 수출에 영향을 받기도 했으나, UAE를 통해 우회 수출되는 물량을 포함 이라크 수입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 차지

* 2018년 자동차 수출실력 508.6백만 달러 기록하며 전년 대비 94.8% 증가

* SUV 판매 급증 : 스포티지(2,000대 → 5,000대), 소렌토(3,000대 → 8,000대)

○ (정책 수요) 중고차 수입은 연식을 2년 이내로 제한해 신차 수요가 높으며, 농업활동 지원을 위해 이라크 정부 농업용 차량 구입 시 자금 지원으로 소형 트럭에 대한 수요 급증

- 정부나 지자체의 대중교통 서비스 부재로 민간업자가 일정 구간을 정기 운행하며 대중교통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수송용 차량 수요 증가

* 화물차량(HS 8704) 수출액 : 150백만 달러(’18년, 26%↑)

* 기타 수송 차량(HS 8703) 수출액 : 339백만 달러(’18년, 157.1%↑)

○ (현지 역량) 산업광물부(MOIM) 산하에 자동차 제조 관련 국영기업 3개사가 2016년 이라크 국영 자동차 산업 회사(SCAI : State Company of Automotive&Equipment Industry)로 통합되어 자동차 생산

- 공장은 총 4개로 바그다드 남쪽 50km에 위치한 바빌주에 소재하며, 2018년 기준 인력은 5,585명에 달하나 생산 중단 중에 있음

자동차 생산공장 현황

구분 트럭 및 승용차 조립 트럭차체 및 중장비 기계장비 생산 배터리 생산

설립연도 1976년 1969년 1969년 1975년

생산라인(능력) 트럭 3대/일, 상용차 25대/일

농업용 트렉터 및 농업용 장비 제작

25~150마력 농업용 트렉터 및 장비생산

아연-마그네슘 고체 배터리 생산

○ (협력 체계) 투자진출 기반 양국 주력 기업 중심 협업 기반 조성

- 현지 치안상황이 열악한 관계로 치안 관련 공장설립 또는 현지 생산 시 정부군 또는 경찰의 현지 치안유지 사전 협조 필요

부록 자동차 생산공장 현황

단계별 방안 자동차 분야 기계장비(공작기계, 농기계)

협력 프레임

현대, 기아차 등 대기업 중심으로 이라크 시장점유율 확대 → 부품, 보수 등 중소업체 진출 분야로 확대

기계장비 분야 이라크 투자진출 활성화 → 생산단가 절감 및 이라크 일자리 창출 효과 제고

1단계 (G2G) 공장증설, 생산 확대 등에 관한 규제완화 등

합의, 투자보장 협정추진 (G2G) 기계장비 분야 투자방안 합의

2단계 (B2B) 현대, 기아차 시장점유 확대 차량 국내 주요 기계장비 업체의 현지 투자

3단계 중소 부품업체 진출, 유지・보수 지속 기계장비 분야 시장 확대

추가 방안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 자동차 분야 전 과정 협력 프로세스 구축

이라크 공장 생산 기계의 이라크 내수 판매 및 타 국가 수출

󰊲 소비재 협력

○ (시장 수요) 유가 상승에 따른 소득증가와 치안상황 개선으로 대형 쇼핑몰이 신규 건설 및 ISIS로 중단되었던 건설이 재개되고 있으며, 각종 소비재 수입이 증가

○ (시장 수요) 유가 상승에 따른 소득증가와 치안상황 개선으로 대형 쇼핑몰이 신규 건설 및 ISIS로 중단되었던 건설이 재개되고 있으며, 각종 소비재 수입이 증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