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해외 사례

6. 시사점

덴마크의 사례에서 함의를 찾아볼 수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을 연령별로 구분된 집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연령 을 하나의 집단으로 구성하여 모두 소위 연령혼합반으로 운영한다. 덴마크 교사 들은 연령 혼합 집단 속에서 아동들이 사회성, 배려, 양보, 보호 등 필요한 사회 적 기술을 익힐 수 있다고 믿는다. 특히 이러한 혼합반 형태는 낮은 연령에 기 준한 교사 배치가 될 수밖에 없으므로 교사 대 아동 비율을 낮추는 역할을 한

해외 사례 69

다. 결국 만 2세 반까지 연령집단에도 4명당 1명의 교사(성인)가 배치되게 된다.

둘째, 대학학위를 갖고 자격을 갖춘 교사와 고졸 학력의 보조교사를 같이 활 용하고 있다. 28명으로 구성된 유아 그룹에 1:7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4명의 교사가 투입되나 이 중 2명만 자격 교사이고 나머지 2명은 보조교사에 지나지 않는다. 교사 대 아동이 아니라 성인 대 아동으로 그 비율을 맞추고 있다.

셋째, 자격이 다른 정규교사와 보조교사 간에 아이를 돌보는 업무의 측면에 서는 차이를 두고 있지 않다. 전문성이 필요한 교무 업무나 부모 상담 등 대외 업무는 마땅히 자격 소지 정규교사가 담당하지만 아동들과 함께 하는 교육 보 육 활동에 있어서는 주 업무를 4명이서 순환적으로 맡음으로써 역할에 있어 차 등을 두고 있지 않는 점은 매우 인상적이다. 이러한 교사 간 관계를 봄으로써 아동들 또한 누가 보조이고 정규인지 차별적으로 교사를 대하지 않을 것이고 위계적 관계로 인한 교사 간 갈등도 줄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인 정규 교사가 계속 지켜보고 멘토링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할 것이고 장래에 정규교사를 목표로 하는 보조교사 또한 훌륭한 교육 기회를 얻는 효과가 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교사 대 아동 비율이 적정한지, 조정한다면 어떠한 방식의 변화가 필요한지에 대해 학계, 행정직, 현장 등 다양한 전문가를 대상으 로 의견을 조사하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를 각각 제시 하고자 한다.

1. 유치원의 교사 대 아동 비율 기준

유치원 관련 의견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는 총 130명으로, 교수가 33.1%, 장학 사 등 전문직 공무원이 12.3%, 현장 전문가인 유치원 원장과 유아교육진흥원장 이 각각 45.4%와 9.2%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88.5%)이 대학원 이상 졸업의 학력을 가졌고 89%이상이 유아교육 전공, 77.7%는 경력이 20년 이상인 것으로 응답하여, 상당히 학력과 경력이 높은 전문가 집단임을 알 수 있다.

〈표 Ⅳ-1-1〉유치원 조사 참여 전문가 특성

단위: 명, %

사례수 계 사례수 계

전체 130 100.0 전체 130 100.0

지역 전문가 유형

서울 21 16.2 교수 43 33.1

부산 11 8.5 공무원(전문직) 16 12.3

대구 5 3.8 유치원 원장 59 45.4

인천 7 5.4 유아교육진흥원장 12 9.2

광주 7 5.4 학력

대전 6 4.6 2~3년제 대학 졸업 3 2.3

울산 1 0.8 4년제 대학 졸업 10 7.7

세종 1 0.8 대학원 졸업 이상 115 88.5

경기 14 10.8 전공

강원 8 6.2 유아교육 116 89.2

충북 7 5.4 아동학 5 3.8

충남 15 11.5 교육학 3 2.3

전북 8 6.2 보육학 4 3.1

전문가 의견 조사 분석 71

(표 Ⅳ-1-1 계속)

사례수 계 사례수 계

전남 3 2.3 경력

경북 4 3.1 5~10년 미만 3 2.3

경남 11 8.5 10~20년 미만 25 19.2

제주 1 0.8 20년 이상 101 77.7

가. 아동 수 규정

1) 현행 규정의 적절성

유치원의 교사 또는 학급당 유아 수 규정은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시 도마 다 다르게 정해져있다. 연령에 따라 3세의 경우 학급당 최소 15명(충북, 충남, 전남 등)부터 30명(울산)까지 규정이 달라 지역에 따라 학급 규모에 차이가 있 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현행 규정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물어본 결과 현 행 규정에 대해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현재 규정이 적절하므로 조정이 필 요 없다는 의견으로 나뉘어졌다. 그러나 90%가 조정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였 고 10%의 전문가는 현행 유지를 선택하였다.

〈표 Ⅳ-1-2〉현행 규정 개정 필요에 대한 의견과 이유

단위: 명, %

의견 이유 빈도(%)

개정 필요함

교사와의 상호작용 상향 28(21.5)

적절한 교육과정 운영 개선 20(15.4)

개별화 교육 질 높은 교육 가능 18(13.9)

유아 발달 특징 파악에 용이 11( 8.5)

물리적 공간이 좁음 8( 6.2)

또래관계 형성에 용이 8( 6.2)

질 높은 교육 7( 5.4)

기타 의견 24(18.5)

계 117(90.0)

현재 규정 적절함

또래관계 형성에 적절 7(5.4)

유치원 운영에 적절 4(3.1)

유아 발달에 적절 1(0.8)

질 높은 교육을 하기에 적절 1(0.8)

계 13(10.0)

전체 130(100.0)

규정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전문가들은 주로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하기 에는 유아 수가 너무 많다고 지적하였으며, 적절한 교육과정 운영을 하는데 있 어 유아 수가 너무 많으므로 조절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유아들의 발달적 특징 을 파악하고 개별화 교육이나 질 높은 교육을 운영을 하는 데 있어 유아 수가 많으므로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다음으로는 유아 수가 많은 데 비 해 물리적 공간이 좁으므로 공간에 맞추어 최대 유아 수를 줄여야 한다는 의견, 또래 관계 형성에 있어서도 너무 많은 유아보다 적정한 수가 있어야 한다는 의 견 등이 있었다(<표 Ⅳ-1-2> 참조).

현재 규정이 적절하다고 생각한 전문가들은 주로 또래 관계 형성에 있어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으며, 유치원 운영에 있어서 현 유아 수 규정 이 적절하다는 의견과 현재 규정으로도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 아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있었다(<표 Ⅳ-1-2> 참조).

2) 학급 당 아동 수와 교사 대 아동 수

현행 규정은 시도 교육청별로 연령별 최대 학급 규모(학급당 유아 수)를 제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학급당 최대 유아 수 규정 외에 교사 대 아동 수 규정을 만드는 편이 좋은지를 질문하였다. 이는 한 학급에 교사가 1명 이상 투입될 수 있음을 가정해서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자 함이었다.

이에 대해 학급당 최대 인원 규정을 그대로 두고 추가로 교사 대 유아 수를 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48.8%(6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행 규정인 학급 규 모 규정을 폐지하고 교사 대 유아 수 규정으로 전환하는 방안에도 전체의 26.4%(34명)이 응답하였다. 그러므로 전체의 75.2%가 ‘교사 대 아동’ 규정이 필 요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행 학급 규모 규정만으로 적절하므로 교사 대 유아 수 규정을 따로 규정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 또한 16.3%(21명)로 나타났다.

교수집단이나 유아교육진흥원장의 경우 추가로 ‘교사 대 아동’ 수 기준을 규 정해야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유치원원장들은 현행의 학급규모 규정 만으로 충분하다는 의견이 비교적 많은 편이었다. 이는 유치원의 운영과 직접적 인 연관이 있는 사항이므로 이러한 의견이 유치원 원장에게서 많이 나온 것으 로 추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전문가 의견 조사 분석 73

전체 26.4 48.8 16.3 8.5 100.0(129)

전문가 유형

유아교육 26.1 47.8 16.5 9.6 100.0(115)

아동학 20.0 60.0 20.0 0.0 100.0(5) 10~20년 미만 32.0 44.0 16.0 8.0 100.0(25)

20년 이상 25.0 50.0 17.0 8.0 100.0(100)

도 전국 공통의 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 시도가 규정이 다른 것은 형평상

전문가 의견 조사 분석 75

하면서도 한 학급에 교사가 2인인 경우 1명의 교사만 인정 되어 필요한 혜택을 한명만 수혜 받고 나머지 한 명은 받지 못하는 비현실적인 정책이 개선될 필요 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현행 학급 규모 규정만으로 적절하므로 교사 대 유아 수 규정이 필요하지 않 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선택이유를 살펴보면, 제도를 자주 바꾸면 교사 수급 등의 혼란이 야기되며, 현행 규정만으로도 별 문제가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6 명). 또한 운영비 지원 등 제정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예산상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현행 규정을 유지하고 각 시도교육청, 유치원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것 이 좋다는 의견이 있었다.

기타 의견을 살펴보면, 현재 교사대 유아 비율이 높은 것을 하향 조절하고 학급당 2인 교사 체제로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 유치원 재량에 맡기게 하는 방 안, 지역특성을 고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저 출산으로 과밀학급은 저절 로 조절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3) 적정한 학급 당 유아 수

가장 적절한 학급당 유아 수에 대해 질문한 결과 다음과 같이 응답했다. 3세의 경우, 학급당 적정 유아 수는 평균 14.8명이었으며 직업으로 나누어 보 면, 장학사가 13.7명으로 가장 적은 수를 응답했으며 유치원 원장의 경우 17.1명 으로 가장 많은 수를 응답했다. 또한 아동학 전공자의 경우 16.8명으로 가장 많 은 수를 적정하다고 보았으며, 유아교육학 전공자의 경우 15.6명을 적정하다고 보았다. 경력에 따라 살펴보면, 경력이 많을수록 더 많은 유아 수를 적정하다고 응답했음을 알 수 있다.

4세의 경우, 학급당 적정 평균 유아 수는 19.4명이었으며, 3세와 마찬가지로 장학사가 18.0명으로 가장 작은 수를 응답했으며, 유치원 원장의 평균 적정 유 아 수는 21.0명 이었다. 교육학과 보육학 전공자보다 유아교육과 아동학 전공자 가 더 많은 수를 적정하다고 보았으며, 경력이 많을수록 더 많은 유아 수를 적 정하다고 응답하였다.

5세의 학급당 적정 평균 유아 수는 22.9명으로 응답하였다. 3,4세와 마찬가지 로 장학사들은 21.3명으로 가장 작은 유아 수를 적정하다고 응답하였고, 유치원 원장은 24.7명을 적정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육학, 보육학 전공자보다 유아교육, 아동학 전공자가 더 많은 수를 적정하다고 보았으며, 경력이 많을수록 더 많은

유아를 적정하다고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Ⅳ-1-5〉연령별 학급당 적정 유아 수

단위: 명

이 중 3세를 기준으로 응답분포를 살펴보면, 한 학급당 유아 수가 15명 미만

이 중 3세를 기준으로 응답분포를 살펴보면, 한 학급당 유아 수가 15명 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