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사점

문서에서 에너지 포커스 (페이지 46-50)

이슈진단

세계 석탄 규제의 현황과 영향 전망

요 증가할 것이다. 한국은 가스발전 관련 기술 노하우 를 축적해 복합화력발전의 수주를 늘리도록 노력하고, LNG선에 대한 수요 증가에도 대비해야 한다. 신재생에 너지 수요 증가로 풍력, 태양광 설치 및 개발 사업과 한 국 기업이 경쟁력이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사업 기회가 커질 것이다. 석탄 규제가 한국 기업에 기회가 되도록 민관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내 문헌>

김경훈,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석탄산업,” EU Brief, 연세-SERI EU센터, 2015

아시아경제, “147개국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공약 제 출,” 2015.11.03.

이미혜·박동완, “세계 전력산업의 주요Player 분석,”

한국수출입은행, 2014

외교부, “전세계 CO2 배출량 통계 (2014년 기준),”

2017

환경운동연합, “한국이 금융 지원한 석탄화력의 피해 비용 한해 10조 원,” 2014

황은주·최윤혁·김종대, “기후변화정책 우선순위 연 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5(4), 2016, 589~601.

<외국 문헌>

BP,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15, 2015

EIA, Short-term Energy Outlook (November), 2015

EIA, Analysis of the Impacts of the Clean Power Plan, 2015

EPA, Inventory of U.S.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Sinks:1990-2013, 2015 Financial Times, Rich nations assess plan to

slash billions from coal investment., 2015.11.9

Holland, M and Watkiss, P., Benefits Table Database: Estimates of Marginal External Cost of Air Pollution in Europe. Created for the European Commission DG Environment, 2002

IEA, World Energy Outlook 2015, 2015

McGlade, Christophe and Ekins, Paul,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ossil fuels unused when limiting global warming to 2

°C., Nature, 517, 2015, pp. 187~190 The Guardian, The rise and rise of the fossil fuel

divestment movement., 2015.5.19.

US Department of Energy, 2017 U.S. Energy and Employment Report, 2017

World Nuclear Association (2011). Comparison of Life cycle Greenhouse Gas Emissions of Various Electricity Generation Sources.

中國政府網, “<商品煤質量管理暫行办法> 明年1月1日 起施行,” 2014.9.16.(http://www.gov.cn/

xinwen/2014-09/16/content_2751170.

htm)

中國國務院, “能源發展戰略行動計劃(2014~2020年),”

2014.11.19

<웹사이트>

EIA, International Energy data and analysis (www.eia.gov/beta/international).

CEIC (중국 데이터 전용 DB)

Power-technology (http://www.power-technology.com/projects/yuhuancoal/

yuhuancoal6.html)

한국 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 연구개발센터 홈페이지 (www.kcrc.re.kr)

우즈베키스탄의 에너지 개발 계획과 시사점

1) 국정기획자문위원회(2017), 국정과제 목표 98번: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

2) 정상외교 경제활용포털, http://president.globalwindow.org/

3) 세계은행 홈페이지 http://data.worldbank.org 4) 코트라(2016)

1. 서론

올해 5월 새로이 출범한 정부는 구소련 국가들(신북 방정책) 그리고 인도와 아세안 국가들(신남방정책)과의 협력 확대를 주요 외교 목표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다.1) 종종 유라시아 지역 국가라고도 표현되는 구소련 국가 들, 특히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역사적으로도 동·

서방 간 교역의 통로로서 기능해왔을 뿐만 아니라, 최 근 중국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 정책 실행 에 있어서도 핵심적인 위치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그 전략적 가치가 더욱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중앙아시 아 지역 중에서도, 특히 우즈베키스탄은 최근 10여년의 기간 동안 총 4차례나 우리나라를 방문하여 정상회담을 가졌을 만큼 우리와의 협력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다.2) 현 경제 규모만을 고려한다면 협력 확대에 있어 큰 이점이 존재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미래의 가능 성, 특히 에너지 자원 부문에서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고려한다면 우즈베키스탄은 향후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 한 우리의 진출 거점으로서 유망한 국가라고 하겠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제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기준 으로 약 600억 달러, 1인당 2,000 달러를 조금 상회하 는 수준이지만, 전통적으로 역내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 였으며, 특히 중앙아시아 5개국 중 가장 많은 3,000만명 이상의 인구를 활용하여 경제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 고 있다.3) 또한 주변 국가들에 비하여 대외 의존도가 낮 기 때문에, 2008년 금융 위기와 2014년 러시아의 경기 침체 등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으며, 2000년대 초반부터 연평균 7% 정도의 견조한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고 있기 도 하다. 연간 무역 규모는 약 250억 달러를 상회하며,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등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우 즈베키스탄과 우리나라의 교역 규모는 연간 10억 달러 에서 20억 달러 정도이지만,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출이 대부분(2015년의 경우 88% 정도)을 구성하며 특히 자 동차 관련 부품 수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4)

우즈베키스탄의

에너지 개발 계획과 시사점

신 상 윤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sang@keei.re.kr)

또한 우리 기업들은 1992년부터 누적금액 기준 약 6억 7,000만 달러를 우즈베키스탄에 투자하고 있다.5) 그런 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무역과 직접 투자 이외에도, 우 즈베키스탄은 플랜트 수주 대상 지역으로서 의미가 있 다. 플랜트산업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우리 기업의 우즈베키스탄 내 프로젝트 수주 총액은 약 64억 달러에 달하는데, 그중 대부분은 석유, 가스, 전력을 포 괄하는 에너지 관련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였다.6) 따라 서 2000년대 후반의 경우 우리 기업이 자원 및 에너지 개발 협력에 초점을 두면서 중앙아시아 지역의 문을 두 드렸지만, 최근에는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주의 측면 에서도 우즈베키스탄을 필두로 하는 이 지역이 우리에 게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우즈베 키스탄의 에너지 분야 현황을 보이고, 향후 개발 계획 및 전략을 소개함으로써, 우리 기업의 진출 및 협력 확 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에너지 분야를 석유가스, 전력, 태양에너지로 구분하여, 각각의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개발 계획을 설명한 뒤, 이를 기 반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문서에서 에너지 포커스 (페이지 46-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