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사점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28-138)

구분 내용

사업 대상지 ∙ 바탐방(Battambang), 푸르삿(Pursat), 캄퐁치낭(Kampong Chhnang), 캄퐁스푸(Kampong Speu)

기대효과

∙ 산림관리제도의 분권화 및 지속할 수 있는 토지관리를 위한 정부 정책 및 관련 제도개선

∙ 도, , 마을 단위에서 지역사회 산림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역량 강화

∙ 비즈니스 접근법을 통한 목재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지역사회 소득 창출

∙ 에너지 효율적인 요리용 난로의 수요 및 공급체인 강화

∙ 지역사회의 목재 연료 시장으로의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마을 단위에서의 임산물 수집처 구축

∙ 국경 산악지대의 생물 다양성 보존

공여 기관

∙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 지구환경금융(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 덴마크 국제개발청(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DANIDA)

∙ 환경, 재생에너지 및 연대그룹(Group for the Environment, Renewable Energy and Solidarity, GERES)

자료: UNDP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필자 작성(검색일: 2018. 10. 12.).

또한 국제산림협력사업으로 전문가파견사업

,

개발도상국 공무원 초청 연수사업 등을 실시 하고 있다

.

아울러

2012

년 출범한 아시아산림협력기구

(Asian Forest Cooperation Organization,

AFOCO)

를 통해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

생물 다양성 보전과 생태관광

,

비목재 임산물

개발 및 재생 가능 바이오매스 에너지

,

인적 역량 강화를 지원해오고 있다

.

캄보디아의 임업 부문 개발전략과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현황으로 미루어 볼 때

,

향후 한국의 대캄보디아 임업분야 개발협력 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

첫째

,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업에 대한 지역 주민의 참여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

이를 위해서는 조림 및 황폐지 복구 활동에서 나아가 지역사회에 귀속되는 사회적

,

경제적

,

환경적 이익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사업의 발굴 및 수행과정에서 캄보디아 정부 및 지역주민과 적극적으로 소통함으 로써 각 이해관계자 간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한 공유 및 합의가 필요하다

.

이는 사업의 영향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사업 활동에 대한 수혜자의 참여와 주인의식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이 일환으로 공동체 산림

(CF)

접근법을 통해 수혜자와의 협력 창구를 마련할 경우 캄보디아의 임업분야 개발 전략에 부합함과 동시에 사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

둘째

,

임업분야

ODA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림 관리 기술 전수뿐만 아니라 캄보디아의 산림관리능력 배양을 위한 관련 제도개선

,

산촌 지역주민의 역량 강화 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

현재까지 한국의 임업분야

ODA

사업은 산림녹화

,

숲 조성

,

양묘장 건설

,

황폐지 복구와 같은 하드웨어 중심의 기반 조성 사업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

향후 사업은 주민의 참여 강화

,

인적 역량 강화

,

산촌주민의 소득증대 사업과 같은 소프트웨어개 발 중심의 역량강화 사업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이대섭

2018).

산림 개발협력 분야에서 한국의 비교우위인 산림녹화 및 황폐지 복구 등의 전문적인 기술 전수 역량은 살리되 산촌 지역개발

,

공동체 산림

(Community Forestry, CF),

산림의 자원화

,

산촌 지역주민의 소득 창출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경험이 부족한 분야에서는 국내 개발협력 사업들 간에 연계방안 을 마련하고

,

노르웨이

,

핀란드 등 산림분야 주요 공여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이와 더불어 산림청 주도로 설립된 한

-

메콩강 산림협력센터를 통해 캄보디아를 포함한 메콩 강 유역 국가들과의 산림분야 연구 및 기술교류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생태계 보호

,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

,

사막화 및 황폐화 방지

,

생물 다양성 촉진 등 지속가능 개발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와 캄보디아 자체의 임업분야 성과지표에 부합한 방향으로 적절한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기초선

,

중간평가

,

종료평가 등을 통한 충실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업의 중장기적 영향력

,

지속가능성 등에 대해 데이터에 기반한 객관적인 평가를 하고

,

이에 기초한 사후 관리와 신규 사업 발굴에 기여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송민경·윤소진·배재수. 2014. 『캄보디아의 REDD+ 정책 및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 국립산림과학원. 유병일·윤보은. 2015. 『한국의 산림분야 개발협력 발전 방안』. 국립산림과학원.

이대섭·허장·최정만·원지은. 2018. SDGs 달성을 위한 농림분야 ODA 중장기 전략』.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한국임업진흥원. 2017. 『해외산림투자 실무가이드 –캄보디아(개정판)-.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수출입은행. 2019.『세계국가편람 』.한국수출입은행.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Cambodia Forest Cover. Kingdom of Cambodia.

Royal Government of Cambodia. 2014.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2014-2018.

Kingdom of Cambodia.

참고사이트

KOTRA 해외시장뉴스 캄보디아 국가정보.

FAO 한국협회. (http://www.fao.or.kr/) (검색일: 2018.10.11.)

OECD DAC CRS. (https://www.oecd.org/dac/stats/agriculture.htm) (검색일: 2019.8.9.)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https://www.kh.undp.org/content/cambodia/en/

home/operations/projects/environment_and_energy/sustainable-forest-management.

html) (검색일: 2018.10.12.)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5년

1월 이스라엘‧ 파라과이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및 시사점

3월

볼리비아・대만‧ 카자흐스탄 볼리비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대만 농업 현황

카자흐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4월 노르웨이‧ 뉴질랜드노르웨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뉴질랜드 농업 현황과 시사점

5월 루마니아‧ 콜롬비아루마니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콜롬비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6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키르기스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7월

핀란드‧ 쿠바‧ 르완다 핀란드 농업과 농정의 특성 쿠바의 지속가능한 농업과 정책 르완다의 농업발전정책

8월 스웨덴‧ 덴마크스웨덴의 농업혁명과 지속가능한 농업 덴마크 농업 현황과 시사점

9월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타지키스탄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10월 방글라데시‧ 캐나다방글라데시의 농업현황과 농업정책 캐나다의 농업 및 농식품산업 현황

11월 우간다‧ 르완다우간다 농업협동조합

르완다 농업 현황과 시사점

12월 엘살바도르‧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아르헨티나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6년

1월 과테말라‧ 에콰도르과테말라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에콰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니카라과니카라과 농업현황과 시사점

3월 브라질브라질의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미얀마미얀마의 농업현황과 정책

5월 스리랑카스리랑카의 농업현황과 정책

6월 파키스탄파키스탄의 농업현황과 정책

7월 쿠바쿠바농업의 이해와 협력가능성

8월 네팔네팔의 농업 현황과 정책

9월 불가리아불가리아의 농업현황 및 정책

10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프리카공화국의 농업현황과 정책

11월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의 농업현황

12월 이집트이집트의 농업 현황과 정책

2017년

1월 가나가나의 농업 현황 2월 필리핀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7년

4월 일본일본의 농업현황

5월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6월 세네갈세네갈의 농업 현황 7월 러시아러시아의 농업 정책과 전망

8월 온두라스온두라스의 농업현황

9월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의 농업 및 농업정책

10월 폴란드폴란드의 농업현황

11월 미국미국의 농업 현황과 농업 정책

12월 모로코모로코의 농업현황

2018년

1월 영국영국 농업과 브렉시트 영향

3월 벨기에벨기에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EUEU의 농업 생산 동향

5월 EUEU 농업·농촌 및 공동농업정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6월 싱가포르싱가포르 농업과 식량안보 전략

7월 스페인스페인의 농업 현황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8년

8월 EUU의 농가 및 농가경제 동향

9월 나미비아나미비아의 농축산업

10월 미얀마미얀마의 물이용 현황과 농업용수 관리정책

11월 대만대만의 농업 현황과 정책 동향

12월 스위스스위스 농업과 직접지불제도

2019년

1월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의 농업현황과 정책

2월 인도인도의 농업·농정 현황 및 과제

3월 라트비아라트비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4월 일본일본의 산림·임업과 정책동향

5월 2019년 EU 농식품 정책 전망

6월 스웨덴의 농업 현황과 정책

7월 프랑스프랑스 농축산업과 유기농 시장

8월 미국2019년 미국 주요 농식품정책 변화와 전망

9월 미국미국의 농지보전지역권 매입제도의 성과와 시사점

세계농업 「국가별 농업자료」 원문자료 (https://www.krei.re.kr/wldagr/index.do)

(계속)

국제기구・연구 동향

UNCTAD의 농산물 시장과 무역정책 및 식량안보 논의 | 임송수

UNCTAD의 농산물 시장과 무역정책 및 식량안보 논의

임 송 수 *

24)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28-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