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사점

문서에서 브라질, 대두생산 확대 (페이지 71-76)

표 7 표고버섯의 월별 가격추이(2003년 기준)

단위 : 엔/kg

구분 건표고 생표고

일본산(A) 수입산(B) 비율(A/B) 일본산(A) 수입산(B) 비율(A/B)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3,148 3,393 3,890 4,094 4,129 3,943 4,336 4,476 4,206 3,913 3,653 3,830

858 912 853 883 892 897 918 914 944 879 852 831

3.7 3.7 4.6 4.6 4.6 4.4 4.7 4.9 4.5 4.5 4.3 4.6

792 676 669 683 804 864 838 894 942 764 681 743

239 212 213 221 247 249 245 248 244 238 199 206

3.3 3.2 3.1 3.1 3.3 3.5 3.4 3.6 3.9 3.2 3.4 3.6 자료 : 동경도매시장

많은 재배자를 확보하고 있는 표고버섯의 경우 생표고 생산방식을 기존의 원목재배에서 급속히 균상재배로 전환하고 있다. 그 결과 10년전에 18.6%

에 불과하였던 균상재배의 생표고 생산량 비율은 2002년에 60.6%로 급증 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표고 주산지가 새롭게 변화는 등의 구조적 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전적으로 원목재배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표고버섯 재배방 식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균상재배는 주요 표고버섯 생산국인 중국과 대 만에서 대부분의 재배자들이 채택하고 있는 재배방법으로서 90년대 초반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시범적으로 시도를 했었지만 실패로 끝나고 최근 일 부 재배자들이 기술개발을 통해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균상재배의 경우 원목자원의 소요량이나 활용도 측면과 작업의 난이도 등을 고려할 때 원목재배에 비하여 효율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 라는 그동안 건표고 수출중심의 재배구조로 인하여 고유의 향을 구현할 수 있는 원목재배 방식을 추구하여 왔지만 최근 표고버섯의 내수확대와 생표고 버섯에 대한 선호도 급증, 소비자의 표고 향에 대한 관심 저하, 원 목 공급의 어려움 등을 고려할 때 균상재배에 대한 본격적인 시행을 강구 할 시점에 놓여있다.

다만, 균상재배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종균의 문제, 균상배지의 공급시스 템 확보, 시설자금 지원 등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균 상재배의 경우 원목재배와는 전혀 다른 종균을 이용하고 있어 종균의 개 발이 미약한 우리나라로서는 균상재배용 종균의 개발과 확보가 시급한 과 제라 할 수 있다. 한편, 균상배재용 배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 급시시템을 구축하는 것도 요구된다.

셋째로 자국의 생산자 보호를 위한 노력을 들 수 있다. 일본의 경우 중국 산 생표고의 수입급증으로 재배자의 불만이 높아지자 2001년 4월 23일에

긴급수입제한((SG) 잠정조치를 발동하였으며, 중국과의 무역마찰을 고려하 여 한시적으로 실시하였으나 그 이후로도 수입산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중국산 생표고의 일본시장내 점유율은 긴급수입제 한 잠정조치 발동 전에 38.5%를 차지하였지만 점차 낮아져 2002년에는 27.6%로 하락하였다.

넷째로 자국산과 수입산의 가격 차이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본산과 중국산 간의 생표고 버섯 품질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 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자본주의 시장구조 하에서 가격 차이를 일정수준 으로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이는 유통업자와 최종소비자의 상 호적인 인식과 노력 하에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수입산에 대한 유 통의 투명화나 원산지 표시 강화 등으로 제품의 차별화를 철저히 유지하 고, 저가의 중국산을 고가의 일본산과 혼합하여 판매하는 등의 유통질서 교란으로 인한 가격 혼란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국내에 수입되어 유통되는 중국산 건표고나 조제표고의 물량 이 국내 생산량에 버금가는데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중국산을 찾아보기 힘 든 현실은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할 때,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 다. 즉, 국내 표고 재배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긴급수입제한조치와 같은 무역상의 부담이 큰 직접적인 조치보다는 우선적으로 원산지 표시의 강화 등을 통한 제품의 차별화가 가능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손철호 shon9@krei.re.kr 02-3299-419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중국, 2004년도 상반기 농산물무역 동향

중국, 2004년도 상반기 농산물무역 동향

2004년 상반기 중국의 농산물 수출입액은 모두 증가하였으며, 수입 증가 폭이 수출 증가폭을 앞질러 농산물 수출입은 전년 동기에는 무역흑자였으 나 금년 상반기에는 적자로 돌아섰다.

또, 농산물 수출입총액은 249.7억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35.5% 증가하였 다. 그중 수출액은 106.2억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0.7% 증가하였으며, 수 입액은 143.5억달러로 무려 62.5%나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농산물무역수 지는 전년동기 7.6억달러 흑자에서 37.3억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금년 6월 중국의 농산물 수출입상황을 살펴보면, 농산물 수출입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수입증가폭이 수출증가폭을 크게 앞질러 무역적자는 지난 달에 비해 확대되었다. 6월 수출액은 18.8억달러로 전월대비 5.1% 증가하 였으며, 수입액은 27.5억달러로 63.7%나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농산물무 역적자는 지난달의 4.3억달러에서 8.7억달러로 확대되었다. 금년 상반기 농산물 무역동향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 중국의 농산물 수출입 현황, 2004년 상반기

단위 : 억달러

수 출 입 수 출 수 입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증감량 증감률(%) 무역적자

249.7 35.5 106.2 10.7 143.5 62.5 37.3

주:전년 상반기에는 7.6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였음.

문서에서 브라질, 대두생산 확대 (페이지 7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