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출유망품목(서비스)

Ⅲ. 진출전략

2. 수출유망품목(서비스)

- (UAE) Noon.com, Landmarkshops, namshi - (중국) Alibaba

첨부

- 스마트 헬스에 대한 신규 정책 수립 등으로 스마트폰・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원격 의료 시장 활성화 예상

- 서울대병원의 라스알카이마 왕립병원 위탁운영 계약 5년 연장(2019.8∼)

경쟁동향

- (한국) 서울대병원, 힘찬병원, 우리들병원 등 - (미국) Johns Hopkins 병원, Cleverland 병원 등 -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 의과대학 병원 등 - (태국) Bumrungrad 병원 등

진출방안

-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정보 수집 및 의료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등 신기술 관련 진출기회 모색

- 중동 최대 의료 전시회인 아랍헬스(Arab Health) 참가 및 KOTRA 무역사절단 등을 통한 서비스, 시스템 홍보 필요

품목명 4

한류 콘텐츠

선정사유 - 동영상 스트리밍 프로그램 현지 서버에서 한국 프로그램이 지속 증가하며 한국 콘텐츠에 대한 현지인의 관심 증가

시장동향

- UAE 인구 50% 이상이 20∼39세 젊은 인구로 전자기기에 대한 거부감이 적으며, 1인당 2대꼴로 휴대전화 보급률이 높음

- 현지 대학교 내 20여 개의 한류 팬클럽이 운영되고 있으며 가입 멤버 수 또한 상당함 - 유아 동요인 아기상어가 두바이 분수쇼에서 연주되며 한국 동요 콘텐츠 인기를 입증 경쟁동향 - 중국, 미국, 영국 TV 쇼 프로그램

진출방안

- 유선 TV보다 인터넷을 통한 영상 시청 선호도가 높은 현지 특성상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현지 인구가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으로 마케팅 필요

- 한국 아이돌 가수 비아이지(B.I.G)의 경우, 아랍어 노래 커버 영상을 유튜브를 통해 업로드, 아랍 국가에서 큰 인기를 얻고 UAE 최대 일간지에도 실리는 등 한국을 알리는 데 기여

품목명 5

인프라

선정사유 - 중동 지역 내 물류・교통(도로・항공・철도 등) 인프라 선도국으로 우리나라와의 협력도 많은 분야

시장동향

- 2019년 상반기 두바이 교역량이 전년 대비 31% 증가하며 두바이 물류 산업의 명실상부함을 보여줌

- 오만, UAE, 사우디, 쿠웨이트, 이라크 국경 지역을 잇는 GCC 철도망 건설로 걸프 지역 철도 인프라 확충 중

- 세계 최대 항공사인 에미레이츠 항공(Emirates Airlines)에서 해외 판로를 확장 하고자 지속 노력 중

경쟁동향 - 우리나라 S社, G社 등 유수 건설업체들도 수주를 하고 있지만, 중국기업의 저가 공세 지속

진출방안 - 우리기업들의 우수한 기술력과 A/S를 강조 -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장가격 동향 파악 필수

첨부 3 2020년도 KOTRA 주요 사업(잠정)

연번 구분 사업명 시기/장소

1 프로젝트

수주지원

ICT 융합 프로젝트 수주지원

- GITEX 2020 한국관 연계 2020.10/두바이 2 스타트업 투자유치 한-GCC 스타트업 투자협력 사업

- 2020 연례투자회의(AIM) 연계 2020.3/두바이

3 특별

전시상담회

두바이 EXPO 연계 한국 상품전 개최

(상담회, 온라인 유통망 입점 등 포함) 2020.11/두바이

5 유망품목

수출지원

2020 한-중동 ICT 파트너십 플라자

(세미나 및 비즈니스 상담회) 2020.2분기/두바이

ICT 융합(스마트팜, 5G 등) 프로젝트 수주지원

⚬ 사업 개요

- (목적) 융복합 전시・상담회 개최 통한 성과 창출 및 전략분야 밀착 진출 지원 - (시기/장소)

① GITEX 2020 한국관 연계 5G 융복합 체험관 : 2020년 10월, 두바이 World Trade Center

② 한국형 스마트팜 진출 맞춤형 지원 : 연중, UAE 전역(주로 아부다비) - (사업 내용)

① GITEX 2020 한국관 연계 5G 융복합 체험관 : 한국관(30개사 규모) 운영 외 별도로 한국기업 5G 기반 콘텐츠 체험 전시 특별관 조성

② 한국형 스마트팜 진출 맞춤형 지원 : 해외 한국형 스마트팜 데모온실 구축 마케팅・후속 현지법인 투자진출 및 R&D 개발, 프로젝트 수주 지원 등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파트너십 - (참가 규모)

① GITEX 2020 한국관 연계 5G 융복합 체험관 : (AR・VR 등) 10개사 ② 한국형 스마트팜 진출 맞춤형 지원 : 미정

2020 UAE 두바이 걸프정보기술 전시회(GITEX)

- (시기 및 장소) 2020.10.4(월)∼8(목), 두바이 World Trade Center - (규모) 140개국 4,500개사, 방문객 100,000명 이상(2019년도 예상)

- (분야) 이동통신(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광케이블, 4G), 뱅킹 시스템, 위성통신, 컴퓨터(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전자제품, 로봇 등 IT 산업 전반

- (한국관) KOTRA가 한국관(25개사 참가) 운영

첨부

⚬ 추진 방법

① GITEX 2020 한국관 연계 5G 융복합 체험관 : 한국전파진흥협회(RAPA)와 협력 ② 한국형 스마트팜 진출 맞춤형 지원 : 농업기술실용화재단(데모온실 구축), 농림수산식품

교육문화정보원(교육연수), KOTRA(조사, 마케팅) 수행

⚬ 기대 효과

① GITEX 2020 한국관 연계 5G 융복합 체험관 : 두바이 엑스포는 5G 관련 서비스에 최적화된 경연장으로서 두바이 엑스포 개최 직전 GITEX에 5G, 스마트시티 관련 콘텐츠 및 기술 체험관을 운영해 중동・아프리카 및 서남아 지역 내 국내 기술의 인지도 제고 및 파트너십 기회 확대

② 한국형 스마트팜 진출 맞춤형 지원 : 스마트팜 등 첨단 농업기술 도입 통해 식량 안보 우위 확보하려는 현지 정부의 강한 의지 및 지원정책에 따라 한국의 농업기술 및 관련 기업 현지 진출수요 활용한 실질적 협력 모델 구축

한-GCC 스타트업 투자협력 사업

⚬ 사업 개요

- (목적) 한국, GCC 스타트업 대상 투자유치 지원을 통해 스타트업 활성화 및 신규 일자리 창출 - (시기/장소) 2020년 3월(잠정)/두바이(AIM 2020 연계)

- (대상 국가) 중동 지역 주요 국가

- (참가 규모) 한국 유망 스타트업 및 VC 50개사, 중동 유망 스타트업 및 VC 30개사 등

⚬ 추진 방법

- (UAE 투자환경 설명회) 스타트업 지원이 가능한 현지 VC 및 액셀러레이터 등의 프로그램 소개 등 - (스타트업 피칭) 한국 스타트업은 GCC 소재 VC 및 CVC 대상, GCC 스타트업은 한국 소재

VC 및 CVC 대상으로 피칭 진행

- (투자상담회) 각 스타트업의 어젠다에 따라, 외투, 해외진출, JV 추진 등 관련하여 상담

⚬ 기대 효과

- 대(對)스타트업 투자유치 및 JV 지원을 통해 스타트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 한국의 기술력과 중동 자본의 결합으로 양국 및 제3국 진출 도모

두바이 EXPO 연계 한국 상품전 개최

⚬ 사업 개요

- (목적) 두바이 세계 엑스포 기회 통한 전 세계 대상 소비재 마케팅 확대

2020 두바이 엑스포 개요

○ 명칭 : 2020 두바이 세계 엑스포(World Exposition Dubai 2020, United Arab Emirates)

○ 기간 : 2020.10. 20 ∼ 2021.4.10(약 6개월)

○ 장소 : 두바이 남부 제벨알리(Jebel Ali) 인접 엑스포 부지

○ 참가 규모 : 200개국 2,500만 명

○ 주제 : “Connecting Minds, Creating the Future”

*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의 요구에 맞춰 미래세대에 영감을 주고 분야・조직・지역 간 파트너십 개발을 위한 범세계적인 협업 필요성 강조

- (시기/장소) 2020년 11월 중(잠정)/두바이

- (대상 기업) K-뷰티 등을 포함한 소비재, 혁신 콘텐츠 및 기술, 주요 수요품목 등 - (참석 규모) 100여 개사(소비재 최소 30개사 이상 포함)

⚬ 추진 방법 : 엑스포 개회와 연계, 대형 한국 소비재 전시 상담행사 추진

- (소비재 : 역직구몰, 현지 온라인 유통망 입점 준비) 중동 내 온라인 유통망 진출 위한 국내외 역직구몰 선입점 및 디지털 마케팅 지원(2019년 1∼3분기/한국)

- (전시회 및 상담회) 국내기업과 중동 바이어 간 상담 기회 마련(2020년 11월/두바이)

* 현지 인플루언서(Influencer) 활용 B2C 현장 마케팅 병행

- (O2O 팝업 스토어 운영) 엑스포 한국관에 UAE 현지 유통망 기입점 한국 소비재 제품 체험 및 온라인 주문이 가능한 판매코너 운영(2019년 11월∼2020년 4월)

⚬ 기대 효과

- 중동 주요 온・오프라인 유통망에 유망 소비재 기업 30개사 입점

- 두바이 EXPO 계기로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통합 마케팅의 효과적 수단으로 활용

2020 한-중동 ICT 파트너십 플라자(비즈니스 상담회)

⚬ 사업 개요

- (목적) ICT 중심의 혁신산업 분야 파트너십 수요 발굴 및 매칭 지원 - (시기/장소) 2019년 6월/서울

- (사업 내용) 5G 서비스, IoT, AR・VR, 보안 등 ICT 혁신산업 위주 한국과의 파트너십 수요 발굴 - (참가 규모) 국내 ICT 관련 기업 50개사, 중동 지역 협력 희망 기업 20개사

⚬ 추진 방법

- (포럼) 중동 지역 내 ICT 등 혁신산업 협력 수요 및 진출 환경 소개 - (상담회) 한국 참가기업 및 KOTRA 유치기업 간 1:1 상담 추진

⚬ 기대 효과

- 현지 정부 R&D 투자 이니셔티브와 연계, 우리기업의 체계적 진출 지원 도모 - 기술도입, 전략적 제휴, JV 설립 등 다양한 형태 가능

첨부

첨부 4 2020년도 주요 정치・경제 일정 및 유망 전시회 캘린더

주요 정치 일정

주요 행사 일시(잠정) 비고

라마단 2020.4.24 ∼ 5.23 종료일은 달 관측결과로 변경 가능성 존재

한-UAE 수교 40주년 2020.6.18

세계 정부 정상회의(World Government Summit) 2020.11.22 ∼ 11.25

주요 경제・통상 일정

주요 행사 일시(잠정) 비고

특별소비세 과세 대상 확대 적용 2020.1.1 ∼ 모든 형태의 당 첨가음료(50%), 전자담배 및 관련제품(100%)

유망 전시회 캘린더

주요 행사 일시(잠정) 비고

두바이 국제 플라스틱 산업전(ArabPlast) 2020.1.9 ∼ 12

아부다비 신재생에너지 전시회(WFES) 2020.1.13 ∼ 16

두바이 보안장비 전시회(Intersec) 2020.1.19 ∼ 21

두바이 아랍헬스 전시회(Arab Health) 2020.1.27 ∼ 30

두바이 의료기기 박람회 메드랩(Dubai Medlab) 2020.2.3 ∼ 6

두바이 치과기자재 박람회(AEEDC DUBAI) 2020.2.4 ∼ 6 치과기재산업협회와 공동주관(P2) 두바이 걸프 식품 전시회(Gulf Food) 2020.2.16 ∼ 20

두바이 교육기자재 박람회(GESS DUBAI) 2020.2.25 ∼ 27 과학기기협동조합과 공동주관(P2) 아부다비 농업 혁신 포럼 및 전시회 GIFA

(Global Forum for Innovations in Agriculture) 2020.3.9 ∼ 10 아부다비 축산 박람회(VIV MEA ABU DHABI) 2020.3.9 ∼ 11

두바이 더마, 미용 박람회(Dubai Derma) 2020.3.16 ∼ 18 두바이 실험기자재 박람회(Dubai ARAB LAB) 2020.3.16 ∼ 18

두바이 투자 전시회(Annual Investment Meeting) 2020.3.24 ∼ 26 두바이 방송통신 박람회(CABSAT) 2020.3.31 ∼ 4.2 두바이 뷰티월드(Beauty World Middle East) 2020.5.31 ∼ 6.2

두바이 자동차부품 전시회(Automechanika) 2020.9.8 ∼ 12 아인글로벌과 공동주관(P2)

두바이 정보통신 전시회(GITEX) 2020.10. 잠정 KOTRA 단독주관(P1)

아부다비 수전력 전시회(WETEX) 2020.10. 잠정

두바이 건축기자재전시회(Big 5) 2020.11. 잠정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 공동주관(P2)

아부다비 국제 석유박람회(ADIPEC) 2020.11. 잠정

두바이 국제 박람회(Expo 2020 Dubai) 2020.10.20 ∼ 2021.4.10 6개월간 지속

부록 對아랍에미리트 K패키지(양국 간 상생협력방안)

Ⅰ. 한-아랍에미리트 상생협력 필요성과 미래비전

가. 아랍에미리트의 협력 잠재력과 주요국 협력 현황

아랍에미리트의 잠재력

⚬ 중동 내 가장 안정된 정치 환경

- 최대 에미리트인 아부다비의 통치자 故자이드 대통령의 개인적 신망과 에미리트 간 원유 수익의 적절한 안배를 통해 전체 연방의 화합 유지

* 석유 수출로 재정이 풍부한 아부다비(전체 매장량의 94%)를 제외한 나머지 6개 에미리트는 아부다비의 지원에 의존

- 2011년 아랍의 봄(Arab Spring) 이래 중동정세의 격변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국내 정정불안 없이 안정적 정세 유지

* 2014년 대테러법 개정 및 테러자금 세탁방지법 제정 등 관련 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국내 알 이슬라 (Al-Islah) 등 무슬림 형제단 연계 급진 이슬람 세력에 대한 강력 단속 유지

* 상대적으로 낙후된 북부 에미리트에 대한 사회 인프라 및 복지지원 등으로 안정 유지

- 2014년 4월 칼리파 대통령의 건강 악화 및 공식 대외활동 중단으로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 제의 UAE 내 정책결정권자로서의 역할 확대

- 민주주의 확대와 여성의 정치・사회 분야 참여 독려

* 2019년 10월 연방평의회 선거 시, 선거인단 수를 지난 선거보다 50% 증가한 약 33만 명으로 확대해 UAE 내 참여 민주주의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추세, 40명의 의원 중 절반을 여성으로 선출하도록 지시해 여성들의 정치 참여 증진

⚬ 풍부한 부존자원, 지정학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발전

- 안정된 원유 수익을 기반으로 기간산업 개발 집중투자와 사회보장제도 확충 등을 통해, 1990년대 후반부터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의 무역・금융・통신・교통・관광 중심지로 부상

* UAE는 전 세계 원유 매장량의 4.2%, 가스 매장량의 3.1%를 차지하는 석유 부국

- 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을 연결하는 MENA 지역의 물류 허브로서, 역내에서 가장 우호적인 비즈니스 환경 및 인프라를 갖춰 차기 제조업 허브로의 면모를 보임

* 2018년 WEF 글로벌 경쟁력 지수 평가에서 거시경제 안정성 1위, ICT 수용도 6위, 인프라 부문 15위

* 2018년 WEF 글로벌 경쟁력 지수 평가에서 거시경제 안정성 1위, ICT 수용도 6위, 인프라 부문 15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