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능연계교재의 VOCA 1800

문서에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페이지 46-56)

다른 풀이

회전하여 일치하는 것은 같은 것으로 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그림 의 맨 위에 위치한 의자를 비워두고 양 옆의 두 개의 의자와 아래 하나 의 의자에 학생들이 앉는 경우의 수와 같다. 이때 3명의 학생 A, B, C 가 3개의 의자에 앉는 경우의 수는

3!=6

경우의 수

07

01 02 03 04 72 05 10 06 07 106 08 09 10 11 21 12 13 14 840 15 16 17 129 18 19 20 21 22 81 23 24 25 26 27 28 29 30 31 20 32 284 33 34 35 151

정답 본문 88~97쪽

02

각 학년별 학생들이 서로 이웃해야 하므로 1학년 학생들 2명의 묶음을 A, 2학년 학생들 2명의 묶음을 B, 3학년 학생들 3명의 묶음을 C라 하 자. A, B, C가 원탁에 둘러앉는 경우의 수는

(3-1)!=2

1학년 묶음 내에서 1학년 학생 2명이 앉는 경우의 수는 2!=2 2학년 묶음 내에서 2학년 학생 2명이 앉는 경우의 수는 2!=2 3학년 묶음 내에서 3학년 학생 3명이 앉는 경우의 수는 3!=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2_2_2_6=48

 ④ 다른 풀이

1학년 학생 1명을 선택하여 미리 앉히고 시작한다.

남은 1학년 학생 1명이 앞서 앉은 학생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앉는 경 우의 수는 2

=;3$;{;2!;}n+:ª3¼:{;2!;}n

=8{;2!;}n`(n=1, 2, 3, y, 10)

따라서 10개의 점 PÁ, Pª, P£, y, P10이 움직인 거리의 합은 sÁ+sª+s£+y+s10

=8{;2!;}1+8{;2!;}2+8{;2!;}3+y+8{;2!;}10

=8[;2!;+{;2!;}2+{;2!;}3+y+{;2!;}10]

=8_;2!;[1-{;2!;}10] 1-;2!;

=8[1-{;2!;}10]

=8-{;2!;}7

 ④

수능연계완성 3/4주 특강

고난도·신유형 수능의 7대 함정

FINAL 실전모의고사

고난도 시크릿X 봉투모의고사

EBS 수능기출의 미래

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수능연계교재의 VOCA 1800

46

EBS 수능완성 수학영역 나형

0 3

의자를 모두 치우고 자녀 3명을 그림과 같이 원탁에 둘러앉히는 경우의 수는

(3-1)!=2

위의 그림에서 두 자녀의 사이사이인 3개의 위치 중 2개를 선택하여 부 모가 앉으면 모든 자녀들이 아버지 또는 어머니와 이웃하게 되므로 부 모가 앉는 경우의 수는

£Pª=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2_6=12

 ③ 다른 풀이 1

아버지가 그림의 가장 윗부분의 자리에 앉고 어머니와 세 자녀를 앉힌다.

아버지 좌우에 세 자녀 중 두 자녀가 앉아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Pª=6

아래 두 자리에 남은 자녀 한 명과 어머니가 위치에 관계없이 앉으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2!=2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6_2=12

다른 풀이 2

부모 2명이 서로 이웃하여 앉는 경우 부모 중 누구와도 이웃하여 앉지 못하는 자녀가 생기므로 가족 5명이 원형으로 앉는 모든 경우의 수에서 부모 2명이 서로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수를 빼서 구한다.

가족 5명이 원형으로 앉는 경우의 수는 (5-1)!=24

부모 2명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자녀 3명과 함께 원형으로 앉는 경우 의 수는

(4-1)!=6

부모가 앉는 경우의 수는 2!=2

따라서 부모 2명이 서로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6_2=12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4-12=12

Ú 1학년 학생이 앉은 자리의 시계방향으로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이 앉는 경우의 수는

2!_3!=12

Û 1학년 학생이 앉은 자리의 시계방향으로 3학년과 2학년 학생들이 앉는 경우의 수는

3!_2!=12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에 의하여 2_(12+12)=48

05

그림과 같이 8개의 영역의 일부에 번호를 부여하자.

빨간색과 파란색을 서로 이웃하지 않게 칠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나 누어 생각할 수 있다.

Ú 빨간색을 ①번 영역에 칠하는 경우

파란색은 ①번, ②번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칠할 수 있으므로 파 란색을 칠하는 경우의 수는 6

나머지 6개의 색을 칠하는 경우의 수는 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_6!

Û 빨간색을 ②번 영역에 칠하는 경우

파란색은 ①번, ②번, ③번, ④번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칠 할 수 있으므로 파란색을 칠하는 경우의 수는 4

나머지 6개의 색을 칠하는 경우의 수는 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_6!

Ú, Û에서 빨간색과 파란색이 서로 이웃하지 않게 칠하는 경우의 수는 6_6!+4_6!=10_6!

이므로 k=10

 10 다른 풀이

전체 경우의 수에서 빨간색과 파란색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의 수를 빼 서 구하자.

8개의 색 중 4가지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8C4

선택한 4가지 색을 내부의 4개의 영역에 칠하는 경우의 수는 (4-1)!

나머지 4가지 색을 외부의 4개의 영역에 칠하는 경우의 수는 4!

따라서 구하는 전체 경우의 수는

8C4_3!_4!

04

1, 2, 3, 4, 5, 6의 자연수 중 소수는 2, 3, 5이다.

3개의 소수 중 2개의 수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Cª=3

택한 두 소수를 작은 원의 두 개의 반원의 영역에 붙이는 경우의 수는 (2-1)!=1

나머지 4개의 스티커를 나머지 4개의 영역에 붙이는 경우의 수는 4!=24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3_1_24=72

 72 참고

이와 같은 도형의 경우 작은 원의 내부의 두 반원 영역에 의하여 180ù 로 회전시켜야 일치하는 것이 나타난다.

0 6

각 학생은 최소 1개의 사탕부터 최대 4개의 사탕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각 학생이 받는 사탕의 수는 1, 2, 3, 4 중 하나이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 2, 3, 4 중 중복을 허락하여 3개를 택해 나열하는 중복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P£=4Ü`=64

 ①

0 7

조건 (가)에서 aÁ=1 또는 aÁ=2 또는 aÁ=4이다.

이때 조건 (나)에서 aª<aÁ이고 aª는 1 이상 6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aÁ=1이면 aª<aÁ인 자연수 aª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aÁ=2 또는 aÁ=4이다.

Ú aÁ=2일 때

조건 (나)에서 aª<2Éa£이고 조건 (다)에서 a¢<2Éa°이므로 aª=a¢=1이고 a£과 a°의 값은 2, 3, 4, 5, 6 중 하나이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 3, 4, 5, 6 중 중복을 허락하여 2개를 택해 나열하는 중복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Pª=5Û`=25 Û aÁ=4일 때

조건 (나)에서 aª<4Éa£이고 조건 (다)에서 a¢<4Éa°이므로 그림과 같이 8개의 영역의 일부에 번호를 부여하자.

빨간색과 파란색을 서로 이웃하게 칠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Ú 빨간색을 ①번 영역에 칠하는 경우

파란색을 ②번 영역에 칠해야 서로 이웃하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빨간색과 파란색을 제외한 나머지 6가지 색을 6개의 영역에 칠하는 경우의 수인 6!

Û 빨간색을 ②번 영역에 칠하는 경우

파란색을 ①번 또는 ③번 또는 ④번 영역에 칠해야 서로 이웃하므로 파란색을 칠하는 경우의 수는 3

나머지 6가지 색을 6개의 영역에 칠하는 경우의 수는 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3_6!

Ú, Û에서 빨간색과 파란색이 서로 이웃하게 칠하는 경우의 수는 6!+3_6!=4_6!

따라서 빨간색과 파란색이 서로 이웃하지 않도록 칠하는 경우의 수는

¥C¢_3!_4!-4_6!= 8!

(8-4)!4! _3!_4!-4_6!

= 8!4 -4_6!

=2_7_6!-4_6!

=10_6!

따라서 k=10

08

조건 (가)에서 f(1)=4 또는 f(1)=5이다.

Ú f(1)=4일 때 1_f(1)=1_4=4

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1이 아닌 정의역의 원소가 있어야 한다. 즉, 2, 3, 4, 5 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 a에 대하여 a_f(a)의 값이 홀수이어야 한다. 이 경우의 수는 f(1)=4를 만족시키는 모 든 함수 f 의 개수에서 f(1)=4이고 모든 정의역의 원소 x에 대하 여 x_f(x)의 값이 짝수인 함수 f 의 개수를 뺀 것과 같다. 정의역 의 원소 2, 3, 4, 5를 공역의 원소 1, 2, 3, 4, 5 중 하나에 대응시키 는 경우의 수는 5개의 수 1, 2, 3, 4, 5 중 중복을 허락하여 4개를 택해 나열하는 중복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5P4=54=625

한편, f(1)=4이고 모든 정의역의 원소 x에 대하여 x_f(x)의 값 이 짝수인 함수 f 의 개수는 정의역의 원소 2, 4는 공역의 원소 1, 2, 3, 4, 5 중 하나에 대응시키고 정의역의 원소 3, 5는 공역의 원 소 중 짝수인 2 또는 4에 대응시키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5P2_2P2=5Û`_2Û`=10Û`=100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625-100=525 Û f(1)=5일 때

1_f(1)=1_5=5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정의역의 원소 1이 존재한다. 따라서 정의역의 원소 2, 3, 4, 5를 공역의 원소 1, 2, 3, 4, 5 중 하나에 대응시킬 수 있으므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 는 5개의 수 1, 2, 3, 4, 5 중 중복을 허락하여 4개를 택해 나열하는 중복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5P4=54=625

Ú, Û에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525+625=1150

 ⑤ 다른 풀이

Ú f(1)=4일 때 1_f(1)=1_4=4

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1이 아닌 정의역의 원소가 있어야 한다. 즉, 2, 3, 4, 5 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 a에 대하여 a_f(a)의 값이 홀수이어야 하므로 a와 f(a)의 값이 모두 홀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개수는 f(3)의 값이 홀수인 함 수 f 의 개수와 f(5)의 값이 홀수인 함수 f 의 개수의 합에서 f(3) 의 값과 f(5)의 값이 모두 홀수인 함수 f 의 개수를 뺀 것과 같다.

f(3)의 값이 홀수이려면 f(3)=1 또는 f(3)=3 또는 f(3)=5이 어야 하므로 f(3)의 값이 홀수인 함수 f 의 개수는

aª와 a¢의 값은 1, 2, 3 중 하나이고 a£과 a°의 값은 4, 5, 6 중 하나 이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3개 중 중복을 허락하여 2개 를 택해 나열하는 중복순열의 수의 제곱과 같으므로

(3Pª)Û`=(3Û`)Û`=3Ý`=81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25+81=106

 106

0 9

5개의 문자 b, b, c, c, c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2!_3! =105!

이 각각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 표시된 곳 중 두 곳에 a를 넣으면 되 므로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6개에서 2개를 택하는 조합의 수와 같다.

즉, 6Cª=15

∨ b ∨ b ∨ c ∨ c ∨ c ∨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10_15=150

 ④ 다른 풀이

7개의 문자 a, a, b, b, c, c, c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2!_2!_3! =210 7!

a끼리 이웃하도록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2개의 a를 한 묶음()으로 생각하고 , b, b, c, c, c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2!_3! =60 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10-60=150

10

상품의 종류를 각각 A, B, C라 하면 A가 3개, B가 3개, C가 3개 있 고, 다음과 같이 나누어 구할 수 있다.

Ú A, B, C 중 두 종류의 상품으로 3개씩 나누어 주는 경우 A, B, C 중 두 종류의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Cª=3

위에서 선택한 상품을 6명의 참가자에게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3!_3! =20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하여 3_20=60

5P3_3=53_3=375

f(5)의 값이 홀수인 함수 f 의 개수도 위와 마찬가지로

5P3_3=53_3=375

f(3)의 값과 f(5)의 값이 모두 홀수인 함수 f 의 개수는

5P2_3P2=52_32=225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375+375-225=525 Û f(1)=5일 때

1_f(1)=1_5=5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정의역의 원소 1이 존재한다. 따라서 정의역의 원소 2, 3, 4, 5를 공역의 원소 1, 2, 3, 4, 5 중 하나에 대응시킬 수 있으므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 는 5개의 수 1, 2, 3, 4, 5 중 중복을 허락하여 4개를 택해 나열하는 중복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5P4=54=625

Ú, Û에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525+625=1150

11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Ú aÁ+aª+a£+a¢=4인 경우 (1, 1, 1, 1)로 경우의 수는 1이다.

Û aÁ+aª+a£+a¢=8인 경우 2+2+2+2=8인 경우 (2, 2, 2, 2)로 경우의 수는 1 1+2+2+3=8인 경우

1, 2, 2, 3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4!2! =12

1+1+3+3=8인 경우

1, 1, 3, 3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2!_2! =64!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1+12+6=19

Ü aÁ+aª+a£+a¢=12인 경우 (3, 3, 3, 3)으로 경우의 수는 1이다.

Ú, Û,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합의 법칙에 의하여 1+19+1=21

 21

12

홀수가 적힌 카드는 1, 3, 5가 적힌 카드 3장이고 짝수가 적힌 카드는 2, 4, 6이 적힌 카드 3장이다.

짝수가 적힌 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장 오른쪽에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PÁ=3

홀수가 적힌 카드를 놓을 자리를 a라 하고 나머지 두 개의 짝수를 b, c 라 하면 a, a, a, b, c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5!3! =20

이때 홀수는 a에 작은 수부터 크기순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홀수는 a에 작은 수부터 크기순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문서에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페이지 46-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