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음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종합지수 개발

소음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종합지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소음지도(도로소음)를 제 작하여 활용하였다. 우선적으로 국가공간정보포털 자료를 활용하여 각종 공간 정보를 획득 하였으며, DSM(Digital Surface Model),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높이 및 지형 정보를 입력하였다.

자료: ㈜엔브이티(2017), p.34.

<그림 3-2> 소음지도 작성 데이터(좌: DEM 자료, 우: DSM 자료)

교통망의 경우에도 국가공간정보포털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관련한 도로 교통량 및 조사 지점의 정보는 국토교통부 교통량정보제공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제3장 소음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종합지수 ∣ 27

자료: ㈜엔브이티(2017), pp.38-39.

<그림 3-3> 소음지도 작성 데이터(좌: 도로교통량, 우: 도로망 및 도로교통 조사지점)

그 외에도 방음벽의 설치 현황 및 관련 용도지역 정보를 입력하여 소음지도 제작에 활용 하였다.

자료: ㈜엔브이티(2017), p.47.

<그림 3-4> 방음벽 설치 및 용도지역 현황

소음노출 인구 산정에 있어서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도시별 도로교통 소음노출 인구 산정 (I)’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건축물의 정보는 주거 및 비주거 지역으로 나누어 노출 인구가 과다하게 산정되지 않도록 하였다.

28 ∣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소음지도를 활용한 지역(도시)별 환경용량평가

자료: 국립환경과학원(2010), p.10.

<그림 3-5> 노출 인구 산정 방법

소음의 건강영향의 경우 WHO 및 EU의 자료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도로소음, 철도소음, 항공기소음에 대한 영향 정도를 산정하였다. 산정에 사용된 모델은 영국 DEFRA의 모델이 며, 최종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료: 영국 정부 홈페이지, “Transport Noise Modelling Tool”, 검색일: 2020.11.2.

<그림 3-6> 영국 DEFRA의 건강영향 비용 추정 모형

제3장 소음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종합지수 ∣ 29

모델에 사용된 소음으로 인한 건강요인은 크게 수면 방해·성가심처럼 인간의 정신적 반 응 및 이를 통한 생활환경의 장애율로 표현되는 분야가 있으며, 고혈압·허혈성 심질환·급성 심근경색·소음성 치매·뇌졸중과 같이 사망과 유병 후 장애가 발생하는 질병이 있다.

각각의 소음원별 소음에 의한 %HA(성가심 반응)는 다음과 같다.

항공기: %HA = -50.9693 + 1.0168Lden + 0.0072Lden2

도로교통: %HA = 78.9270 - 3.1162Lden + 0.0342Lden2

철도: %HA = 38.1596 – 2.05538Lden + 0.0285Lden2

또한 각각의 소음원별, 소음에 의한 %HSD(수면방해)는 <표 3-1>과 같다. 그 외의 질병에 대한 소음과의 관계는 Environment Noise Guidelines(WHO, 2018)의 자료에 준하여 산정하였다.

<표 3-1> 환경 소음도별(야간 소음) %HSD

자료: WHO(2018), p.41, p.56, p.70.

앞서 산정된 소음도, 노출 인구, 소음도별 건강 위해성 정보를 모두 합산하여 소음으로 인한 건강영향의 종합적 지수로 표현되는 소음지도를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동 단위 혹은 건물 단위의 소음 저감 정책 수립이 용이하도록 최소 단위의 경우 건물 중심으로 3차원 표출을 하였으며, 건축물의 높이 및 색으로 종합지수를 표출하였다.

즉 건축물의 높이가 높고 색이 붉을수록 노출 인구와 높은 소음도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며, 이러한 지역은 특히 가장 많은 소음 저감 대책이 수립되어야 하는 곳으로 판단할 수 있다.

30 ∣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소음지도를 활용한 지역(도시)별 환경용량평가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7> 소음종합지수를 고려한 건물 단위별 소음지도(도로소음)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8> 소음종합지수를 고려한 건물 단위별 소음지도(도로소음)

제3장 소음의 건강영향을 고려한 종합지수 ∣ 3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