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연구원(2011)의 연구(1년차 연구)에서는 축산물 중 생산 및 소비규모가 큰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중심으로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분 석한 바 있다. 비교군으로는 도시주부가 일상생활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공요

금 성격의 도시가스, 도로운송, 전화를 포함시켰다. 분석결과, 도시주부들은 가 격이 같은 비율로 인상될 경우 축산물보다는 공공요금의 물가파급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축산물 중에서는 돼지고기의 물가파급 영향이 가 장 크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 중 소비자들의 구입빈 도와 지출액 비중이 큰 달걀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켰으며, 비교군으로 공공요금 대신 소비자물가지수 구성 품목 중 소비지출액의 비중이 큰 쌀, 사과, 감귤, 통 배추, 고춧가루를 포함시켰다.33)

3.1. 조사설계 개요

설문조사는 2012년 7월 10~20일까지 조사대행기관인 (주)엠브레인의 소비 자 패널 5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대도시 및 수도권을 중심으 로(서울, 인천, 부산, 대전, 대구, 광주, 경기도) 농축산물 구매경험이 많을 것으 로 예상되는 20세 이상의 주부들로 제한하였다. 지역별 연령별 조사 인원은 행 정안전부의 지역별 연령별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배분하였다.

조사품목은 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달걀, 사과, 감귤, 통배추, 고춧가 루로 총 9개 품목을 포함시켰다. 품목별 물가파급영향의 순위는 두 가지 관점 에서 조사되었다. 첫째, 최근 3년간의 구매경험을 토대로 체감물가에 미친 영 향을 조사하였다. 둘째, 모든 품목의 가격이 동일하게 30%씩 상승할 경우 체감 물가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조사하였다. 품목별 물가파급영향의 순위에 대한 조 사는 응답자의 답변 편의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품목별 짝비교(paired com-parison)형태로 이루어졌다. 각각의 질문에 대해 36개의 짝비교가 이루어졌다.

기타 물가파급영향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품목별 구매 빈도와 지출액, 그리고 인구통계학적인 요인들을 설문에 포함시켰다.

33) 박문수 외(2011)의 연구(1년차 연구)에서 비교군으로 공공요금 대신 주요 농축산물에 대한 소비지출액을 포함시키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된 바 있다.

3.2. 분석 모형

34)

소비자 조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품목별 물가파급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Bradley-Terry 모형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품목별 물가파급영향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설명이 될 수 있는지 로지스틱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2.1. Bradley-Terry 모형

Bradley-Terry 모형은 일반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의 특별한 경우 로서 짝을 이루는 범주형자료의 분석에 이용된다. 이 모형은 짝 비교를 통해 대안을 선택하는 과정을 분석하며, 주로 심리적인 의사결정의 분석에 이용된다 (Springall, 1973; Usami, 2010).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독일월드컵의 결과 예 측(김도현·이상인·김용대, 2007)과 한국 프로야구 경기결과 예측(최영근·김형 문, 2011)에서 이 모형이 이용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품목에 대한 선 호도 또는 물가파급의 영향의 순위를 짝비교를 통해 조사하고 Bradley-Terry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Bradley-Terry 모형의 분석에는 로짓모형(logit model)을 이용하였다(Bradley and Terry, 1952).

개의 품목별 순위에 대한 모수를 (  

)라 할 때, 번째 품목이 번 째 품목과 비교하여 선택(선호)될 확률  는 다음과 같다.

 exp  exp exp

≡   exp  exp 

(4)

만약 두 개의 품목 중 하나가 선택되어야 한다고 가정하면, 번째 품목이 

34) 1년차 연구와 연구방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1년차 연구에서 이용되었던 연구방법론 을 인용하되, 일부 선행연구와 품목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켰다.

번째 품목에 대해 선택(선호)될 확률은     가 된다. 번째 품목이 번

가설

  은 두 추정값의 점근적 표준오차  를 이용하는 왈드

위 식을 확률

 에 대해 정리하면 로지스틱 반응함수(logistic re-sponse function)를 얻게 된다.

     exp 

   

 exp 

   



   exp′

exp′

 ′

(10)

위 식에서 ′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3.29≈ 인 로지스틱분포함수 이다.

로지스틱회귀모형에서는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여 회귀계수를 추정한다. 이 때 우도함수(likelihood function)는 개별 관측치의 결합확률함수(joint proba-bility function)로 표시된다. 모형전개의 편의를 위해

   라 하자. 종속변수 가 두 가지의 값을 가질 때, 독립변수 의 수준에서 확률함 수 

와 결합확률함수 



는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최대우도법에서는 식(11)의 결합확률함수를 극대화하는 모수를 추정하게 된 다. 그러나 추정의 편의를 위해서 식(11)에 자연대수를 취하여 모수를 추정하 는 방법이 자주 이용된다. 식(11)과 식(10)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은 자연대수우 도함수를 얻게 된다.

log



 

표 5-4.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n=550)

51.6%에서 56.9%로 증가하였으며, 월평균 가구 소득은 200만 원대의 비중이 23.6%에서 18.9%로 줄고 400만 원대의 비중이 20.7%에서 25.1%로 증가하였 다. 이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응답자의 연령구성 중 20대의 비중이 감소 하고 40대의 비중이 증가한 데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표 5-5>는 설문 응답자의 농축산물에 대한 연평균 구입횟수와 지출현황을 보여주고 있다.35) 연평균 구입횟수는 돼지고기 > 달걀 > 쇠고기 > 닭고기 >

사과 > 감귤 > 쌀 > 통배추 > 고춧가루의 순서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축산물의 구입횟수가 많았으며, 월 평균 1회 이상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념 채소류인 고춧가루는 연간 1.6회 정도로 구입횟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 다. 구입횟수의 변동성(변이계수)은 고춧가루와 통배추가 컸으며, 달걀, 쌀, 돼 지고기에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회 평균 구입금액은 실제 구매경험이 있는 경우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 며, 고춧가루 > 쌀 > 쇠고기 > 통배추 > 돼지고기 > 사과 > 감귤 > 닭고기 >

달걀의 순서를 보였다. 1회 평균 구입금액은 구입횟수가 적은 고춧가루와 쌀에 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물 중 단가가 낮은 닭고기와 달걀에서 작은 것 으로 나타났다. 1회 평균 구입금액의 변동성은 통배추에서 컸으며, 쌀, 달걀, 돼 지고기에서 작았다.

연평균 총 지출금액은 쇠고기 > 돼지고기 > 쌀 > 사과 > 닭고기 > 달걀 >

감귤 > 고춧가루 > 통배추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지출금액의 변동성은 통 배추, 고춧가루에서 컸으며, 쌀과 달걀에서 작았다.

35) 1년차 연구에서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의 소비가 연중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 하여 월평균 소비지출액을 조사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부 품목의 소비가 계절 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연간 소비지출액을 조사하였다.

표 5-5. 응답자의 농축산물 연평균 구매 빈도 및 지출현황

3.4. 분석결과

3.4.1. Bradley-Terry 모형 추정 결과

<표 5-6>은 소비자가 최근 3년간 자신의 구매경험에 기초해서 판단했을 때, 두 품목 중 물가파급영향이 컸다고 생각하는 품목을 선택한 빈도수를 보여준 다. 예를 들어, 쇠고기-돼지고기의 짝비교에서 선택빈도는 155회이다. 이는 소 비자 550명 중 155명이 쇠고기가 돼지고기보다 물가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컸 다고 선택하였음을 나타낸다. 반면, <표 5-7>은 모든 품목의 가격이 동일하게 30%씩 상승한다고 가정할 경우, 소비자가 두 품목 중 물가파급영향이 클 것으 로 예상하는 품목을 선택한 빈도수를 보여준다. 선택빈도수에 대한 설명은 <표 5-6>과 동일하다.

표 5-6. 물가파급영향이 큰 품목에 대한 선택빈도 (최근 3년간 구매경험에 기초할 경우)

  쇠고기 돼지

고기 닭고기 달걀 사과 감귤 통배추 고추

가루

쇠고기 . 155 264 197 149 158 141 80 352 돼지고기 317 . 382 291 215 233 210 134 422

닭고기 145 61 . 113 67 99 86 56 208

달걀 214 154 266 . 168 149 124 73 294 사과 266 209 345 289 . 257 203 96 381 감귤 202 156 252 224 120 . 166 90 306 통배추 207 163 265 249 195 234 . 66 287 고춧가루 340 298 378 374 354 354 344 . 402

62 40 99 78 54 54 60 26 .

단위: 회

표 5-7. 물가파급영향이 큰 품목에 대한 선택빈도 (모든 품목의 가격이 30%씩 상승할 경우)

  쇠고기 돼지

고기 닭고기 달걀 사과 감귤 통배추 고추

가루

쇠고기 . 157 227 170 178 201 183 115 260 돼지고기 326 . 350 256 269 285 240 162 304 닭고기 219 100 . 115 157 174 154 92 208 달걀 280 190 303 . 273 271 211 150 247 사과 242 168 259 184 . 225 179 114 243 감귤 196 143 207 161 142 . 154 93 196 통배추 228 186 233 210 233 258 . 75 213 고춧가루 324 292 335 307 337 352 318 . 313 217 175 232 193 200 227 197 139 . 단위: 회

<표 5-8>은 품목별 가격변동이 소비자의 체감물가에 미친 영향을 소비자의 최근 3년간 구매경험에 기초하여 Bradley-Terry 모형으로 추정한 결과이다. 모 형의 추정을 위해서 <표 5-6>에서 선택빈도가 가장 낮았던 쌀을 참고품목으로 설정하였다. 추정결과, 모든 품목이 참고품목인 쌀에 비해 물가파급영향이 컸 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승산(odds)으로 볼 때, 고춧가루의 물가파급영향이 쌀보 다 21.69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돼지고기 8.80배, 사과 7.85배, 통배추 6.53 배, 감귤 5.18배, 쇠고기 4.29배, 달걀 4.15배, 닭고기 1.98배로 나타났다.

표 5-8. Bradley-Terry 모형 추정 결과(최근 3년간 구매경험에 기초할 경우) Parameter DF Estimate Standard

Error Chi-Square Pr > ChiSq Odds Ratio

쇠고기 1 1.4560 0.0604 580.1 <.0001 4.29

돼지고기 1 2.1748 0.0616 1245.2 <.0001 8.80

닭고기 1 0.6832 0.0624 119.8 <.0001 1.98

달걀 1 1.4235 0.0607 549.6 <.0001 4.15

사과 1 2.0605 0.0615 1122.0 <.0001 7.85

감귤 1 1.6445 0.0618 708.8 <.0001 5.18

통배추 1 1.8766 0.0625 901.7 <.0001 6.53

고춧가루 1 3.0770 0.0672 2097.3 <.0001 21.69

0 0 . . .

<표 5-9>는 품목별 가격변동이 소비자의 체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모든 품 목의 가격이 동일하게 30%씩 상승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Bradley-Terry 모형으 로 추정한 결과이다. 추정결과, 쇠고기를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통계적 유의성 이 있었다. 물가파급영향을 승산(odds)으로 판단해 볼 때, 고춧가루의 물가파급 영향이 쌀보다 3.08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돼지고기 1.84배, 달걀 1.47배, 통 배추 1.23배, 사과 1.13배로 나타났다. 반면, 쌀 대비 감귤은 0.84배, 닭고기는 0.73배로 낮게 나타났다. 쇠고기도 0.93배로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표 5-9. Bradley-Terry 모형 추정 결과(모든 품목의 가격이 30%씩 상승할 경우) Parameter DF Estimate Standard

Error Chi-Square Pr > ChiSq Odds Ratio

쇠고기 1 -0.0741 0.0458 2.6 0.1059 0.93

돼지고기 1 0.2117 0.0461 175.9 <.0001 1.84

닭고기 1 -0.3088 0.0471 43.0 <.0001 0.73

달걀 1 0.3861 0.0461 70.2 <.0001 1.47

사과 1 0.1254 0.0462 7.3 0.0067 1.13

감귤 1 -0.1778 0.0471 14.2 0.0002 0.84

통배추 1 0.2064 0.0468 19.4 <.0001 1.23

고춧가루 1 1.1263 0.0490 528.0 <.0001 3.08

0 0 . . .

<표 5-10>은 소비자의 최근 3년간 구매경험에 기초하여 추정한 품목별 물가

<표 5-10>은 소비자의 최근 3년간 구매경험에 기초하여 추정한 품목별 물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