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진국에서 일어난 후진국형 사고인 스페인 프리스티지호 사례

문서에서 - 지역주민 생활여건 변화 평가 - (페이지 43-46)

1) 사고 개요

2002년 11월 13일 스페인 북부의 갈리시아 연안에서 7만 7천톤의 중유를 실은 유조선 프리스티지호가 좌초되었다. 이 사고로 프레스티지호는 두동강이 났으며, 사고가 발생한지 5일째되는 11월 19일 3천 5백미터 수심으로 가라앉았다.

37) 자료 : kr.yahoo.com. 2008.5.6.(BBC 2002/12/06)

36 태안지역 변화 모니터링 및 지역발전방안 I

<그림 Ⅲ-4> 두 동강이 난 프리스티지호

자료: kr.yahoo.com. 2008.5.6.

(BBC 2002/12/06)

프레스티지호는 가라앉을 때까지 1만 1천 2백 톤의 중유를 유출시켰고 매일 125톤이 선박에서 흘러나왔으며, 바다 속에 가라앉은 선체의 용기에서도 계속 유 출될 것으로 보인다.

2) 피해내역

□ 피해지역

이 배는 외해의 심한 파도에 의하여 두 동강이 나서 6일 후인 19일에 2마일 깊이 의 해저에 가라앉았다. 그러한 과정에서 무려 17,000톤의 기름이 유출되어 200여 개의 스페인 해변을 악취 나는 기름덩어 리로 덮어 버렸으며, 이제는 포르투갈 해 안까지 위협하고 있다. 피해는 스페인 연 안에 그치지 않고 인접국인 포르투갈과 프랑스 해안까지 확대됨으로써 대서양 연안이 유류 오염의 충격에 휩싸이게 되 었다. 프레스티지호가 가라앉기까지 유 출한 연료유는 갈리시아의 바위투성이 해안 200㎞ 일대를 오염시켰다.

□ 환경피해

이 사고로 다양한 종류의 바다 조류와 조개, 갑각류, 산호초 등이 서식하는 아 름다운 갈리시아 해변은 기름덩어리로 뒤덮였다. 100미터 길이가 넘는 거대한 기 름덩어리들이 200킬로미터에 이르는 갈라시아 해역 주변을 오염시켰으며, 피해 를 입은 해안의 길이는 무려 500킬로미터에 달하고, 20여종의 바다 새가 죽고 수 많은 어패류와 해초류 등 해양생태계가 큰 피해를 입었다.

제 3 장∙사례분석 37

□ 어민피해

이 사고로 인해 스페인 사고해역 부근에서는 최소한 6개월간 어업활동이 정지 되고 그에 따른 피해는 10억유로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프랑스의 경우 갈 리시아 연안에 인접한 아르카숑만에서 양식한 굴과 조개류가 시판 중지되었다.

정부에서 어로 작업 금지 명령을 내렸기 때문에 4,000명 이상의 어부들이 할 일을 잃게 되었고 정부로부터 일일 40달러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받고 생활하고 있다.

3) 방제작업

스페인 당국은 이 배를 130해리의 외해로 예인함으로써 스페인의 해안에 미칠 기름 유출에 의한 해안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프레스티지호에 선적되었던 중유는 선박 엔진과 발전소 연료로 사용되는 연료유로, 바닷물 속에서 끈적 끈적 한 기름덩어리로 변하기 때문에 오염을 방제하기가 훨씬 어려운 유류이다.

이러한 유류 방제 작업을 위해 7천명의 군인과 자원봉사자들이 동원되었다.

그간 8척의 특수 방제선이 바다에서 기름을 7,000톤 이상 건져내었고, 매일 3,000 명 이상의 자원 봉사자들이 해변에서 3,000톤 이상의 기름 덩어리를 거두었음에 도 영향을 입은 200여 해변은 처참한 모습이다. 이 유조선 좌초 사건은 1989년에 미국 알라스카 해안에서 발생하였던 “엑손 발데즈”호의 유출량보다 두 배에 달 한다.

4) 사고처리 및 시사점

□ 사고처리

이 배는 단일 선체(Single Hull) 선박이어서 해상의 폭풍에 취약하였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유럽 연합은 이미 정상들의 회의 안건으로서 이러한 단일 선체 유조선의 유럽 지역 항행을 금지하는 안을 준비하였다. 또한, 프랑스는 최근에 24년 선령의 단일 선체 유조선이 자국의 연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전투함으로 하여금 경계하도록 조치하였고, 스페인 역시 단일 선체 유조선인 “에날리오 타이

38 태안지역 변화 모니터링 및 지역발전방안 I

탄”호가 자국의 영해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전투함을 예상 항로상에 배치하였다.

□ 시사점

이 사고가 북대서양의 겨울 폭풍 상황에서 발생한 점을 참고로 하여 한반도 지역의 태풍 및 해상 폭풍에 관한 기상 자료를 참조하여 “유조선 항행 리스크 기간”을 설정하고 이 기간에는 가급적 유조선의 한국해역 진입을 통제하는 방안 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문서에서 - 지역주민 생활여건 변화 평가 - (페이지 43-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