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3. 선행연구

거짓말 개념의 발달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Stern(1922)은 7-8세까지는 의도와 의식이 없이 거짓말을 한다고 하였다. Gesell(1946)은 거짓말 개념 형성 의 전환기는 7세라고 주장했다. Roiphe(1985)는 3세부터 5세 아동의 거짓말은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행동으로 간주하였다(김 신옥, 1986).

우리 나라에서 거짓말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김신옥(1986), 김희주(1987), 권향숙(1989), 김동복(1991), 조성희(1998), 강봉희(1999), 이근옥(2000), 손은경 (2001) 등을 들 수 있으나 그리 많지 않다. 내용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연구가 Piaget(1965)의 거짓말 개념 및 발달에 관한 연구, 거짓말 행동과 정서와의 관 계, 거짓말과 참말에 대한 아동들의 도덕적 판단 능력에 관한 발달 등의 주제 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한편 ‘속이기 행동’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김수정(1995), 이수미(1997), 강근화 (1999), 유인옥(2001), 이윤경(1999), 이윤진(2000)의 연구를 들 수 있으나 거의 정신 표상 능력의 발달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였다. 이들은 대부분 3, 4세 유아 의 마음 이론이 어떻게 형성되어져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속임수’라는 실 험을 도구로 사용한 연구였다. 그러나 어떤 조건에 따라 속이기 행동특성이 가 장 잘 나타나는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최근의 몇몇 연구자들은 유아의 집행 조절기능 발달연구를 위하여 각 연령

수준에 알맞은 적절한 실험과제를 개발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Diamond, Prevor, Callender & Druin, 1997; Hughes, 1998; Kochanska, Murray, Jacques, Koenig & Vandegeest, 1996; Welsh, Pennington &

Groisser, 1991; Zelazo, Carter, Reznick & Frye, 1997). 이러한 노력의 결과 3 세와 6세 사이에서 상당한 수준의 집행 조절기능이 발달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 다. 이 발달상의 연령대는 많은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유아의 마음 이론이 출현 하는 것과 같은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또 몇몇 연구들은 3세 유아가 실패하는 정신적 과업들이 유아들에게 아직 발달하지 않은 집행기능을 요구하는 과제들 임을 밝혔다(Moorebet al., 1995; Russel, 1996, 1997; Rusell, Saltmarsh & Hill, 1999). 이 결과는 과도한 집행기능을 요구하지 않는 과제를 개발한다면, 정신적 과업들에 대한 3세 유아들의 실패를 줄일 수도 있을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Hala와 Russell (2001)은 마음의 이론에 관한 실험과제와 유아들의 집행 기능 사이에 상호관련성이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주목했다(Calson, 1997;

calson & Moses, Pennington, 1999; Frye, Zelazo & Palfai, 1995; Hughes, 1998; & Hala, 1999; Ozonoff, Pennington & Rogers, 1991). 그들은 속이기 과 제에서 집행 요구를 감소시켰을 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이 효과를 검 증하기 위하여 창문과제를 사용하였다. 이 과제는 유아가 속이는 행동의 효용 을 추론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비언어적인 과제로 고안되었다. 창문과 제는 원래 전략적 속이기 실험용으로 개발된 것이지만 유아들이 필요한 대상을 지적하는 데 있어서 강하게 이끌리는 응답을 억제하고, 마음 속으로는 빈 상자 를 지적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이 과제는 또한 명확한 집행 요구를 만

들어 낼 수도 있다.

창문과제에 대한 3세 유아들의 좋지 않은 성과는 사회적 불안에 기인한 것일 수도 있다. 즉 유아들이 어른들 앞에서 속이는 행동을 하는 것을 그냥 꺼리는 것일 수 있으며, 놀이에서 속인다고 혼내지 않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데서 나온 문제일 수도 있다. 이러한 해석은 속이기 과제에서의 나쁜 성과를 사회적 우려 라는 관점을 통해 설명하려는 것이다(LaFreniere, 1988). LaFreniere는 유아에게 수행해야 할 과제를 분명히 지시한다고 해도 유아가 대상물의 위치에 대한 거 짓말을 꺼리는 것은 책망에 대한 우려가 작용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Lewis, Stranger, Sullivan(1989) 등도 많은 유아들이 자기들의 거짓 행동을 실 험자에게 공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도 소수의 유아들만이 거짓말을 할 수 있었다고 밝히고 있다.

연구자들은 속이기 과제에 대한 유아들의 사회적 불안을 줄이는 방안을 두 가지 측면에서 강구했다. 첫째는 실험자와 피험 유아가 ‘동맹관계’를 맺어서 실 험을 하는 방법이다. 3세 유아들은 실험과제를 수행하고 받는 상품을 다른 사 람과 쉽게 나누어 가진다는 것이 몇몇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다(Hay, 1994;

Hay, Caplan, Castle & Stimson, 1991; Moore et al., 1998; Spatz & Cassidy, 1999; Thompson, Barrest & Moore, 1977). 이 결과를 이용하여 연구자들은 유 아가 속이기 과제를 수행할 때 실험자와 같은 편이 되어 공동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 받게 되는 상품을 실험자와 나누어 가지는 조건을 고안했다. 이 경우에 속이는 행동에 대한 책임은 유아 혼자에게 있는 것이 아니며, 실험자에게도 있 게 됨으로써 속이기 과제 수행에 따르는 유아의 사회적 불안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속이기 과제에서 유아들이 직접 손으로 가리키지 않고 상자들 사이에 있는 마분지로 만든 손을 이용하여 빈 상자를 지적하게 하는 방안이다. 이것은 최근에 Calson, Moses과 Hix(1998)의 연구 결과 즉 화살표나 그림 종류의 도 구를 이용하면 3세 유아들이 종종 보조 연구자를 속일 수 있었다는 것을 이용 한 것이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유아가 대상물(공)을 숨기고 공의 위치를 표 시하는 상황을 두 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하나는 공을 숨기고 공을 찾을 사람이 보지 않는 상황에서 공의 위치를 공 그림으로 표시하는 그림조건과 다 른 하나는 공을 숨기고 공을 찾을 사람이 보고 있는 상황에서 공의 위치를 가 리키는 지시조건이 있다. 그들의 연구에서 3세 유아의 경우 직접 공의 위치를 가리키는 것보다 그림조건에서 종종 더 잘 속인다고 하였다(유인옥, 2000).

Hala와 Rusell(2001)은 새로운 실험과제를 가지고 유아들의 전략적 속이기 행 동을 관찰한 결과 과제유형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기준조 건, 실험자-게임 참가자 조건, 동맹조건, 지시손 조건을 설정해서 어떤 조건에 서 가장 거짓말을 하는 빈도가 증가하는지 연구한 결과 동맹조건 및 지시손 조 건에서 거짓말하는 빈도가 늘어났다. 이것은 전략적 속이기가 유아들의 인지능 력뿐만이 아니라 다른 요인 즉 사회적 불안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이 사용한 도구를 한국의 유아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한 국의 유아들에게서도 동일한 결과가 발견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