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진국 정책 및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선진국의 농촌 대중교통 정책과 국내외 지역 사례

3. 선진국 정책 및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제4장에서는 농촌 대중교통체계와 관련된 주요 선진국의 정책과 국내외 지 역사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농촌 대중교통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 다양 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공통된 정책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선진국에서는 농촌 주민의 수요에 기반한 농촌 대중교통 운영을 확대

해가고 있다. 이른바 수요 응답형 대중교통이 바로 그것인데, 노선과 운행시간 이 고정된 기존의 노선 대중교통과 혼합하여 수요 응답형 대중교통을 함께 활 성화함으로써 농촌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증대하고 있다. 특히 수요 응답형 대 중교통은 고정 노선 대중교통이 운행되지 않거나, 운행되더라도 공휴일 및 필 요한 시간대에 교통서비스가 부족한 오지 농촌의 주민들에게 교통서비스를 제 공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농촌지역에서 수요 응답형 대중교통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농촌 대중 교통 수단의 형태가 일반버스에서 미니버스, 승합차, 승용차 등 상대적으로 소 형인 교통수단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즉, 농촌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서는 노선이나 운행시간만 탄력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대중교통 수단까지도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농촌 주민들이 원하는 대중교통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농촌 의 다양한 지역적 차별성을 반영한 대중교통체계가 구축‧운영될 수 있어야 한 다. 아일랜드 케리 카운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케리 카운티는 기존의 지역 운송업자들 간 협력을 통해 지역 실정에 맞는 지역통합 대중교통 서비스를 구 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넷째, 아무리 농촌지역에 적합한 대안적 대중교통체계를 마련하였다 하더라 도 주민들의 이용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소 오랜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즉 정책의 성공 또는 실패를 섣부르게 단정하기보다는 해당 지역의 농촌 대중 교통체계가 지역 내에 정착되고 이에 대한 농촌 주민들의 인식이 증대하는 것 을 기다릴 필요가 있다. 아일랜드 케리 카운티의 KCT 커뮤니티버스 사례에 비 추어 볼 때, 농촌 수요 응답형 대중교통의 국내 사례라 할 수 있는 아산시의 농촌형 순환버스 역시 운행 초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주민 이용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몇 년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