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도로 이용 여건과 정책 수요

농촌 대중교통 및 도로체계 이용의 문제와 정책 수요

2. 농촌 도로 이용 여건과 정책 수요

2.1. 마을 내 도로(A형 도로)의 이용 여건과 정책 수요

마을 내 도로(A형 도로)의 이용 여건을 농촌 주민 입장에서 평가하기 위해

<표 3-1>과 같이 9개의 관련 항목에 대해 10점 만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마을 내 도로의 이용 여건은 대부분의 조사 항목에서 보통(5점) 또는 보통 이하로 평가되고 있다. 전체 이용 여건의 평점은 10점 만점에 평균 5.202 점으로 나타났다. 이용 여건이 가장 좋게 평가된 항목은 ‘도로의 포장 정도(포 장률)’이지만 평가 점수가 10점 만점에 6.086점으로 높지 않은 편이다. 반면, 이용 여건이 가장 낮게 평가된 항목은 ‘마을 내 도로변의 주차공간 확보’로 나 타났다.

마을 내 도로의 여건 중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도로 폭 확장(19.7%)’과 ‘도로 포장 및 도로 표면 관리(19.4%)’라는 응답 비중이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이외 마을 내 주요 부분에 가로등 설치(17.4%)와 마을 내

도로변 주차공간 확보(13.5%)에 대한 수요 역시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과속방지 턱, 추락방지난간 등 사고방지시설 설치(9.6%)와 시야 확보를 위한 도로변 볼 록거울(반사경) 설치(7.1%)에 대한 수요는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을 내 도로의 여건 중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상항에 대한 응답은 농가 와 비농가 사이에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도로의 포장 정도 및 표면 관 리’(농가 28.0%, 비농가 24.5%)와 ‘도로 폭 확장’(농가 26.0%, 비농가 22.8%)에 대한 수요가 농가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농기계의 대형화에 따라 농 가 입장에서는 도로 폭의 확장과 도로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

‘과속 방지턱이나 추락방지 난간 등의 사고방지 시설 설치’(농가 15.0%, 비농 가 7.3%)에 대한 수요 역시 농가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비농가는 ‘별도 의 인도 설치’와 ‘마을 내 도로변 주차공간 확보’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났다.

2.2. 농도 리도 면도(B형 도로)의 이용 여건과 정책 수요

농도·리도·면도의 이용 여건은 10점 만점에 평균 4.980점으로, 보통 이하로 평가되었다. ‘도로의 포장 정도(포장률)’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지만 5.770점에 머물고 있고, 도로 표면 관리 정도(5.214), 과속방지턱 등 사고예방 시설(5.146), 도로의 폭(5.134)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반면, 전반적인 보행자의 안전 (4.528)이 가장 낮게 평가되고 있고, 두 차량의 안전한 교차통행 가능성(4.630), 농어촌 주민들의 이용이 많은 오토바이(사발이) 및 자전거 등의 이동 적합성·

안전성(4.714) 등에 대한 이용 여건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도·

리도·면도의 경우 농기계의 이동이 빈번한 도로임에도 불구하고 경운기·트랙 터 등 농기계 이동 적합성·안전성(4.858)에 대한 이용 여건이 좋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농도·리도·면도의 여건 중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도로 폭 확장(17.6%)’과 ‘두 차량의 교차통행을 위한 대기 공간(16.7%)’이라는 응답

농도·이도·면도(B형 도로)의 이용 여건 평가 점수 (10점 만점)

⑴ 도로의 포장 정도(도로 포장률) 5.770

⑵ 도로 표면 관리 정도(도로 유실, 파임, 토사 유출, 강우·강설 시 등) 5.214

⑶ 도로의 폭 5.134

⑷ (수로·하천 등으로)차량·사람의 추락 및 빠짐 방지 시설(예: 난간) 4.868

⑸ 과속방지턱 등 사고예방 시설 5.146

⑹ 주요 부분 가로등 설치 4.854

⑺ 전반적인 보행자의 안전 4.528

⑻ 오토바이(사발이), 자전거 등의 이동 적합성·안전성 4.714

⑼ 경운기, 트랙터 등 농기계 이동 적합성·안전성 4.858

⑽ 두 차량의 안전한 교차통행 가능성 4.630

⑾ 차량, 사람 등이 오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전방 시야의 확보 5.068

표 3-2. 농도·리도·면도의 이용 여건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도로 포장 및 도로 표면 관리(15.3%)와 주 요 부분 가로등 설치(14.4%), 별도의 인도 설치(13.7%)에 대한 수요 역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농가의 경우는 ‘도로의 포장 정도 및 표면 관리’에 대한 수요가, 비농가의 경우는 ‘별도의 인도 설치’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3. 시군도 지방도 일반국도(C형 도로)의 이용 여건과 정책 수요

시군도·지방도·일반국도의 이용 여건은 다른 두 유형의 농어촌 도로(A·B형 도로)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평균 5.724). 도로의 포장 정도, 도로의 폭, 도로 표면 관리 정도, 과속방지턱 등 사고예방 시설, (수로·하 천 등으로) 차량·사람의 추락 및 빠짐 방지 시설 등에 대한 이용 여건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운기·트랙터 등 농기계 이동 적합성·안전성, 오토바이(사발이)·자전거 등의 이동 적합성·안전성 등은 보통 이하로 낮게 평

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