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 ․ H ․ A ․ P ․ T ․ E ․ R ․ 1

서 론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그리고 선행연구의 검토와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고령화시대의 도래로 말미암아 노인의 생활보장을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요건 인 주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노인들의 경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은퇴 와 같은 신상의 변화나 노화에 따른 신체적인 문제 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회적 교류영역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물리적 활동공간이 줄어드는 대신 사회적 활동공간으로서 근린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 부분의 노인주거관련연구에서는 주거자체에 집중되어 노인들의 ‘사회생활공간’

의 의미에서보다 ‘개인생활공간’이 더 빈번하게 강조되어 왔다. 그리고 노인들은 친숙하지 못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인접한 주거환경이 중요하 다. 활동영역이 제한적인 대부분의 노인들에게 인접한 주거환경이 오히려 주택 보다 그들의 복지에 더 중요할 수 있다.1)

이 연구는 노인이 독립적이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외부공간인 주 거환경을 분석하고 주거생활의 편리성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 고 있다. 이를 위해서 현재 노인가구의 주거와 주거환경 실태 분석, 노인의 노후

1) Francis M.Carp and Abraham Carp, "A Complementary/Congruence Model of Well-being or Mental Health for the Community Elderly", 「Elderly People and the Environment」, Edited by Irwin Altman, M. Powell Lawto, Joachim F. Wohlwill, Plenum Press, 1984, p. 289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등을 통하여 고령층의 필요에 부응하는 주거환경 요소를 도출한다. 그리고 노인의 생활패턴을 시간과 공간측면에서 분석하되, 생 활조건이 서로 상이한 도시와 농촌을 구분하여 지역별로 노인의 생활패턴과 관 련된 주거환경을 시설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노인의 주거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주거환경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전국의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주거의 현황을 분석한다. 노인가구의 주거실태 및 주거환경에 대한 실태와 만족도, 노후생활에 대한 의식과 정책욕구 등을 분석한다. 특히 노인개인의 생활패턴분석에서는 특 성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는 도시와 농촌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분석한다. 성과 연 령에 따른 통행패턴 분석을 통해서 정책적인 시사점을 얻는다.

시간적으로는 노인개인의 일일생활, 주생활, 월생활 등 시간적인 활동영역을 고려한다.

2) 연구방법

기존 문헌 및 인터넷조사를 통해서 선행연구와 주거환경에 대한 이론을 파악 한다. 그리고 기존의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가구의 주거실태, 개인 및 가구 등 주거환경의 특성을 파악한다. 여기에 사용하는 조사자료는 ‘2005년 인구 주택총조사’, ‘2005년 주거실태조사’, 그리고 ‘2006년 주거실태 및 수요조사’를 이용한다. 그리고 지역의 특성별(도시, 농촌지역) 노인생활패턴과 활동영역, 시설 이용실태와 희망, 이동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그리고 읍면지 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노인의 통행에 대한 특성분석은 ‘2002 수

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를 이용한다. 그리고 각종 법령집과 인터넷 자료조사를 이용하여 시설 설치기준에 대하여 실태분석을 실시한다.

아울러 연구협의회와 자문회의 개최하여 연구의 방향과 방법, 구체적인 제도 및 사례에 대한 시사점 등에 대하여 합의점을 도출하고 자문을 얻는다. 고령화가 우리보다 일찍 시작되어 앞선 경험을 가지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우리 나라에의 적용가능성을 점검해 본다. 특히 일본과 영국의 경험을 토대로 지역별 노인주거환경의 차이와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및 제도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얻 기 위해 전문가와 협동연구를 실시한다.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3. 선행연구의 검토와 차별성 1) 선행연구 현황2)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접근과 연구가 이루어 져 왔다. 노인의 주거와 주거환경과 관련된 선행연구만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노 인의 욕구와 환경변화에 대하여 정경희 외(2005), 김철주․허윤정(2006)등이 있 고, 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에 대하여 장현숙 외(2005)가 있다. 노인주택공급과 관 련해서는 박신영외(1999), 노인주거의 형태에 대하여 권오정외(2002,), 노인주택의 공간구조에 대해서는 김명희․정기남(2005)이 있다. 그리고 노인주거정책에 대한 연구로는 곽인숙(2003), 박승(1997), 손경환․김혜승(2003), 윤주현 외(2004), 임춘 식 외(2005), 이정헌(2006), 조현․강인순(2004), 최항순․강팔문( 2005.6)의 연구 등이 있다. 현재에는 노인이 자립적으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주택의 개조기준을 마련(건설교통부․한국주거학회, 2005)하는 한편 재가중심의 자립생활을 지원하 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일환으로 종합대책(석재은 외, 2005)과 중장 기 계획수립 연구(건설교통부․주택도시연구원, 2006) 등이 이루어져 왔다.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노인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주거자체에 집중하여, 노인주거의 실태를 분석하거 나 주택개조기준 마련, 또는 고령화사회를 대비한 실버산업의 측면에서 노인주거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인들의 생활권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노인들 의 생활과 활동영역을 고려한 노인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 다. 본 연구는 노인이 나이가 들어가고 은퇴 등의 신상변화나 노화 등에 따른 신 체적인 문제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회적 교류영역이 축소되어가고, 따라서 사회 활동공간으로서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져가는 것에 주목하였다.

2) IKIS, 한국학술정보, DBPIA, 국회도서관 원문제공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들이 친숙하지 못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인접 한 주거환경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고 그에 따라 노인들의 관심도 주택 내부에서 외부환경으로 관심이 확대되어 감에 주목하여 노인이 살기에 적합한 주거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시간과 공간측면에서 연령별 생활패턴이 상이하므 로 노인의 생활패턴을 고려해서 노인의 활동영역을 분석하고 일반인들의 생활 패턴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노인이 편리하게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 거환경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이 연구의 목적과 내용은 주요 선행연구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 가 있다. 윤주현외 2인 (2004)의 선행연구는 2004년의 노인가구의 주거실태를 분 석하고 고령화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과제도출 및 단계별 접근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고령사회 주거지원 종합대책 (2006)은 노인가구의 주거문제와 안전사고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주택개조를 중심으로 개조기준과 개조가능성, 부담경감 방안마련에 중점을 둔 연구이다. 고령자주거지원 중장기계획 수립(2006)은 고령 자를 위한 주택공급과 관련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는데 촛점을 두고 있다. 고령 사회에 대비한 주거환경 개선방안 (2004)은 고령자의 풍요로운 주거생활을 위한 주거환경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정책제안과 법제도 개정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개조를 중심으로 하는 협의의 주거환경에 대한 분석이다.

<표 1-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요약

2

C ․ H ․ A ․ P ․ T ․ E ․ R ․ 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