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인 생활패턴 분석 및 편리성을 고려한 주거환경 모형

C ․ H ․ A ․ P ․ T ․ E ․ R ․ 4

노인 생활패턴 분석 및 편리성을 고려한 주거환경 모형

4장에서는 본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한 ‘노인의 주거 및 주거환경 실태조사’, 통계청의

‘‘노인생활시간에 관한 조사’, 그리고 수도권의 ‘통행패턴조사’자료를 이용해서 노인들 의 시․공간측면에서 생활 패턴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도시와 농촌으로 구 분하여 노인주거환경 모형을 제시한다. 노인생활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생 활편의시설의 접근성에 대한 비교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 노인의 시설희망거리를 지 역별로 분석한다.

1. 실태조사 및 분석자료의 개요 1) 실태조사

노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고 지역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대도시와 중소도 시, 그리고 농촌지역으로 나누어서 「노인의 주거 및 주거환경 실태조사」를 실 시하였다. 65세 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이 조사의 유효표본수는 311개이 다. 설문대상지역은 대도시의 경우에는 서울의 은평구와 송파구, 중소도시는 경 남 진주시와 전북 김제시의 동부지역, 그리고 면지역은 경남 함안군과 전북 부안 군의 면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의 경우 강북과 강남지역 각각의 특징을 비교 적 고르게 보여줄 수 있는 지역으로서 강북에서는 단독․다가구․다세대 주택이 상당수 입지하며 아파트도 일부 있는 지역으로 은평구를 선정하였고, 강남에서 는 강남지역의 고급주택지 특징을 지니면서도 일부 단독․다가구․다세대 주거 지가 있는 송파구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중소도시의 경우에는 인구 규모와 지역에 따라 생활편의시설의 배치와 생활패턴이 다를 수 있으리라고 보

고 인구 30만 규모이며 서부경남지역의 중심도시인 진주시와 인구 10만 이하의 도시인 김제시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농촌은 전형적인 농업지역인 경남 함안 군과 전북 부안군의 면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공간적 범위

대도시 서울시 은평구, 송파구

중소도시 경남 진주시, 전북 김제시

농촌(면)지역 경남 함안군, 전북 부안군의 면지역

조사내용

- 가구일반현황(주택종류 및 규모, 주택소유형태, 가구의 월평균소득 등) - 시설이용거리(약국, 병의원, 보건소, 동/면사무소 등)

- 희망시설이용거리(약국, 병의원, 보건소, 동/면사무소 등) - 시설이용주기(일, 주, 월, 년단위 시설이용 주기)

<표 4-1> 노인의 주거 및 주거환경 실태조사 개요

이 표본의 특성은 <표 4-2>와 같다. 우선 응답자의 성별분포를 보면 남자가 38.9%, 여자가 61.1%를 차지한다. 연령별 분포는 65~74세가 52.7%, 75세 이상이 47.3%로 65~74세인 노인의 비율이 높으나, 대도시의 경우에는 75세 이상이 57.8%로 더 높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전체 응답자의 64.6%, 아파트가 28.0%이며, 특히 읍면지역의 경우에는 단독주택 비율이 100%이다. 점유형태별 로는 자가점유가 응답자의 76.5%, 전세점유가 12.9%, 월세․사글세 점유비율이 7.1%이고, 지역별로 대도시 응답자의 62.8%, 중소도시 응답자의 74.3% 그리고 면 지역 응답자의 92.3%가 자가점유로 나타났다. 소득계층별 분포는 가구소득 40만 원 미만인 저소득계층이 응답자의 35.1%, 40~150만원 미만인 중소득층이 48.6%, 150만원 이상이 16.3%로 나타났다. 특히 건강하다고 응답한 노인이 99%로 거의 대부분이 건강하다고 응답하였다.

<표 4-2> 표본 특성

공간적 범위

서울시 25개 구 , 522개 동 경기도 31개 시․군, 489개 동 인천시 10개 시․군, 136개 동 시간적 범위 2002년 4월 16일~18일 중 하루의 통행

조사내용

- 가구현황(가족수, 미취학아동수, 차량소유여부 및 종류, 주택종류 및 규모, 주택소유형태, 가구의 월평균소득)

- 가구원특성(세대주와 관계, 충생년도, 성별, 운전면허, 장애자여부, 직업, 고 용형태, 직장.학교위치)

- 개인별통행특성(통행의 출발․도착지, 출발․도착시간, 통행목적, 통행수단, 대중교통요금, 승용차 재차인원 및 주차요금)

2) 분석자료

통행과 관련된 고령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2002년 서울시가 수도권 에서 실시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중 개인별 통행특성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는 약 22만가구를 조사대상으로 수도권가구의 약 3.3% 표본조사이다.

2. 노인의 생활패턴 분석

1) 노인의 생활시간 패턴

사람들의 일상적 생활은 성, 연령, 그리고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다. 전통시대에도 성, 연령 등에 따라 시간의 쓰임새가 상이하였지만 현대에 들 어서 집단 간 시간사용이 더욱 다양해지면서20) 평균적인 시간사용 패턴을 이용 해서 개별 집단의 특징을 알아내는 것이 더욱 어려워졌다.

노인들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는 노인주거환경 정책을 위해서는 노인들의 생 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노인들의 생활은 일반인과 차이가 있으므로 일반인들의 평균적인 시간사용 패턴만 기준으로 노인의 생활을 분석하는 것은 부정확하다. 노인의 생활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가활동, 일 등으로 구

20) 이기봉. 2005. “시간과 지리: 시간에 대한 인식의 역사와 시간지리학의 탄생”. 「문화역사지리」제17 권제3호. pp.101~112.

성된 노인생활시간의 패턴을 파악함으로써 일반인들과 구분되는 노인의 일상생 활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노인주거환경과 관련된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기서는 노인의 생활시간패턴에 대하여 알아보 기로 한다.

(1) 생활시간의 개념과 분류

생활시간은 개인이 매 시간, 하루, 월, 년 등의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나 타내는 것으로 경제학에서는 시간배분, 사회학에서는 시간사용이라는 용어로 쓰 이고 있다. 이는 연구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어 왔는데, 가장 일반적인 분류는 유급노동, 무급노동, 개인유지, 그리고 자유시간의 네가지로 나누는 것이 다.21)22) 여기서 유급노동은 금전적 수입을 목적으로 하는 노동을 말하며, 무급노 동은 청소, 빨래, 요리 등 주로 가사와 관련된 노동을 말한다. 개인유지는 생리적 활동을 포함하는 개인을 돌보는 시간이며, 자유시간은 여가․종교활동 등이 포 함된다.23) 따라서 본 절에서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일반적인 생활시간분류를 기본으로 하되, 유급노동과 무급노동 구분을 일과 가족으로 분류하고, ‘일’은 보 수가 수반되는 유급노동과 무급가족종사 및 자가소비를 포함하는 무급노동, ‘가 족’은 의식주와 관련된 전통적인 가사노동과 가족을 보살피는 노동으로 구분하 였다.

(2) 노인의 생활시간

노인의 생활시간을 살펴보면, 먼저 노인들은 다른 연령층과 비교해서 유급노 동시간이 매우 적으며, ‘가족’, ‘사회참여 및 여가’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40~59세까지의 생활시간을 기준으로 50%이상 시간사용 총량이 변 한 항목을 살펴보면, 남녀 모두 건강관리와 기타 여가활동시간이 크게 늘었고 유

21) 김진욱. 2006. 한국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 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32호. pp.149-177

22) 박수미 외. 2005. 「한국여성의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3) 박수미 외. 2005. 한국여성의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급노동시간이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무급노동시 개인유지 619.2 622.7 655.4 143.17***,①,②-③ 620.8 607.7 664.0 280.83***,①-②-③ 수면 462.0 455.3 488.3 90.57***,①-②-③ 458.9 440.3 490.8 316.64***,①-②-③ 건강관리 2.1 5.4 19.1

151.86***,①-②-③ 3.0 7.9 27.8 332.36***,①-②-③ 373.9 374.7 196.1 547.14***,①,②-③ 214.1 223.2 126.6 208.31***,①,②-③ 유급노동 365.0 363.8 175.3 595.10***,①,②-③ 197.6 175.9 71.8 354.83***,①-②-③ 무급노동 5.4 7.4 19.3 57.59***,①,②-③ 15.3 45.4 53.6 146.57***,①-②-③ 가족 30.0 31.1 54.8 122.94***,①,②-③ 241.8 230.2 201.2 58.39***,①-②-③

전통적 가사노동 16.3 23.8 44.8

236.04***,①-②-③ 152.4 202.7 182.8 221.84***,①-②-③ 가족보살피기 13.7 7.4 10.1 34.32***,①-②-③ 89.5 27.5 18.4 879.13***,①-②-③ 사회참여 및 여가 284.9 286.5 421.5 448.01***,①,②-③ 256.6 273.3 361.0 415.82***,①-②-③ 참여 및 봉사활동 9.6 3.0 3.7 30.76***,①-②,③ 1.9 4.2 5.4 17.30***,①-②,③

교제활동 58.2 57.3 62.1 3.04*,②-③ 58.1 56.8 66.4 20.87***,①,②-③ TV 등

대중매체이용 116.4 144.4 229.3

630.07***,①-②-③ 119.0 130.9 178.1 300.64***,①-②-③ 종교활동 2.9 4.9 6.2 11.52***,①-②,③ 7.9 18.2 23.3 83.24***,①-②-③ 문화․스포츠․

취미 59.8 50.1 79.1 75.92***,①-②-③ 42.2 40.0 45.1 5.71**,②-③ 기타 여가활동 38.0 26.8 41.0 42.22***,②-①,③ 27.5 23.2 42.7 101.08***,①-②-③ 총 재택 시간 726.4 750.8 975.2

783.05***,①-②-③ 958.3 948.6 1077.5 241.74***,①,②-③ 주1 : 사후검정은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p<.05)하면 ‘-’로 표시되었음. 예를 들어, ① ②-③은 세 집단이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실이 2가지 있다. 첫째, 노인들의 경우 건강관리, 문화․

스포츠․취미, 기타 여가활동의 사용시간이 크게 늘어난다는 사실이다. 이는 노 인들의 이러한 활동과 관련된 시설들의 중요성이 타 연령층에 비해 더 커지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에 사용하는 시간이 40~59세에 비해 354%가 늘어났는데, 이는 병원․약국․보건소의 이용횟수와 시간이 그만큼 증 가하며 이러한 시설의 배치와 접근성은 타 연령층에 비해 노인들에게 더욱 중요 해짐을 의미한다.

둘째, 노인의 전체여가시간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여가의 질은 높지 않다 는 사실이다. 특히 남성의 경우 여가시간이 하루 평균 135분 늘었으나 이중 85분, 즉 늘어난 여가시간의 63%를 TV시청과 같은 수동적인 활동에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현재 노인들의 여가시간 활용의 질이 높지 않다는 사실과 함께, 앞으로 자 산이 많고 연금 등 노후자금이 풍부한 새로운 노인계층이 늘어날 경우 노인의 여가활동과 관련된 시설이용이 크게 늘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24).

2) 노인들의 생활편의시설 이용주기

노인들은 성과 거주지역, 연령 뿐 아니라 생활편의시설의 특징에 따라 각기 다 른 생활편의시설 사용주기를 가지고 일상생활을 영위해 나간다. 시설이용주기가 하루나 1주일 단위로 이루어진다면 이는 그만큼 해당시설의 이용 빈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그 시설이 노인들의 생활에 중요도가 높거나 밀착되어 있음 을 뜻한다. 여기서는 노인들의 생활편리성 측면에서 생활편의시설의 접근도가 지역별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대도시지역과 면지역으로 구분 하여 생활편의시설의 사용주기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노인들은 성과 거주지역, 연령 뿐 아니라 생활편의시설의 특징에 따라 각기 다 른 생활편의시설 사용주기를 가지고 일상생활을 영위해 나간다. 시설이용주기가 하루나 1주일 단위로 이루어진다면 이는 그만큼 해당시설의 이용 빈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그 시설이 노인들의 생활에 중요도가 높거나 밀착되어 있음 을 뜻한다. 여기서는 노인들의 생활편리성 측면에서 생활편의시설의 접근도가 지역별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대도시지역과 면지역으로 구분 하여 생활편의시설의 사용주기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