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 론

0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2 연구내용

03 연구방법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누리과정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3~5세 유아에게 공히 적용되는 교육과정이며 보 육과정이다. 정부는 2011년 만 5세 공통과정 제도를 도입하여 2012년 3월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교육・보육과정을 통합한 「5세 누리과정」

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2013년부터는 만 3~4세까지 누리과정을 확대한다는 ‘3~4 세 누리과정 도입계획’을 발표하고, 2012년 7월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고 시하였다.

2013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8년 간 전국 유치원과 어린이집 3~5세에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적용되었다. 누리과정이 적용되면서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누리과정의 성과와 함께 몇 가지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교육・보육과 정 문서로서도 누리과정이 개정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고, 이러한 맥락에서 육아정책연구소에서는 2015년과 2017년 2차례에 걸쳐 누리과정 개정을 위한 기 초연구를 수행하였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정과제에 ‘학생 중심 교육과정 개정’

을 명시하였고,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2017년 12월 ‘유아교육혁신 방안’에 ‘유 아 중심, 놀이 중심’ 누리과정 개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방향에 따라 2018년 누리과정 개정 정책연구를 통해 누리과정(안)을 마련하였고, 2019년 5월 공청회와 교육과정 심의회를 거쳐 2019년 7월 24일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서 동시에 고시되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2020년 3월부터 유 치원과 어린이집 현장에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2020년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처음으로 적용되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유아가 중심이 되는 교육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유아교육 혁신 방안에 맞추어 개정 된 「2019 개정 누리과정」이 현장에 제대로 안착되어 유아들에게 놀이권과 행복권 을 다시 찾아줄 필요가 있다. 유아 중심, 놀이 중심, 교사의 자율성 확대라는 방향

에 맞추어 개정된 누리과정이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으로 현장 에 제대로 안착되어 유아의 놀이와 쉼을 보장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 는 방향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주도해 갈 유아의 건강 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최선의 방향이기도 하다.

개정 누리과정이 제대로 안착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더불어 교육과정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대상 특성별로 이를 구체 화하여 지원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이다. 교육과정 모니터링은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원활한 시행을 위한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은 무엇인지, 교육과 정의 안착을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과 개선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 여 그 변화를 분석하는 활동이다(김혜숙・이미경・양윤정・배주경・이영미・김종윤・박 일수・이승은, 2018; 문무경・이규림・김희수, 2016; 이종수, 2000; Patton, Sawicki, & Clark, 2016). 따라서 교육과정 모니터링을 통해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장에서 개정 누리과정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과정, 이로 인한 현장의 변화와 영 향, 개정 누리과정 적용 방법, 개정 누리과정 실행 시 어려움과 지원에 대한 요구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정 누리과정 안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지원방안 연구는 최소한 3년 간 지속하 여 개정 누리과정 시행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장의 변화와 함께 유아교육 혁신 방안에 의거한 정책의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과제 를 3년차로 기획하였다. 개정 누리과정 적용 1년차인 2020년에는 정부와 지자체 의 지원 실태와 함께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에서 시작 하여 이를 받아들이는 과정, 현장에 적용하면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분석하여 지 원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의 첫 해인 만큼 초기에 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최근 COVID-19로 인 하여 유치원 개학과 어린이집 등원이 무기한 연기되고 개정 누리과정을 제대로 적 용하지 못한 경우가 다수 발생했던 상황을 감안하여 예상치 못한 일상적이지 않은 상황에서의 누리과정 운영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개정 누리과정 적용 2년 차인 2021년에는 1년차 조사내용에 대한 반복 조사를 통해 현장의 변화를 살펴보 고자 한다. 또한 교사에 보다 초점을 두어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실제를 구체적으 로 들여다봄으로써 교사가 전문성을 발달시켜 나가는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지원

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개정 누리과정 적용 3년차인 2022년에는

개정 누리과정이 3년차 적용되는 시점으로 누리과정의 개정 방향인 유아 중심, 놀 이 중심, 교사의 자율성 확대가 어느 정도로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특히 유아 에게 초점을 두어 유아 권리 측면에서 개정 누리과정 시행의 영향력과 효과를 중심 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 안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지원방안 연구의 1년차 연구 로 「2019 개정 누리과정」 안착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지원 실태를 파악 하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장 교원의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적용과정 및 학부모의 인식을 모니터링 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개정 누리과정 안착에 걸림돌 이 되는 요소를 분석하고, 최근 COVID-19로 인해 개정 누리과정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지 못한 상황과 향후 이러한 상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될 경우를 포함하여 개 정 누리과정이 제대로 안착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로 누리과정 개정의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동안 추진된 누리과정 모니터링 관련 선행연구 내용을 정리하였다. 또 한 교육과정 모니터링의 개념과 기능 및 단계를 알아보았다.

둘째, 개정 누리과정 안착을 위한 지원 실태를 파악하였다. 유치원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개정 누리과정 관련 지원 사업을 분석하고, 어린이집은 중앙육아종 합지원센터와 시도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개정 누리과정 관련 지원 사업을 분석하였다.

셋째, 개정 누리과정 적용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개정 누리 과정 적용과정을 통해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고민,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 적용 과정, 개정 누리과정 적용 후의 변화, 개정 누리과정 안착을 위한 현장의 지원 요구 등을 분석하였다.

넷째,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내용을 분석하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와 원장, 학부모를 통해 누리과정 변화에 대한 인식,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수

용 정도 및 현장 적용 과정,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 적용의 애로점과 지원 요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개정 누리과정 안착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책 지원의 방향 을 제시하고, 법과 제도 측면에서의 개정 의견과 함께 행정 및 재정 측면에서의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3. 연구방법

본 연구 수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 정」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사례조사와 전달체계 담당관 대상 설문조사, 교원과 학 부모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