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보건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6)

보육 분야의 정책은 중앙정부의 정책을 연결하는 전달체계로 중앙육아종합지원 센터-시도육아종합지원센터-시군구육아종합지원센터를 마련하고, 이 체계를 통해 보건복지부의 보육 관련 정책을 수요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각 시도와 시군 구 센터의 사업은 중앙사업 이행 외에도 지자체별 사업을 추가하여 자체적으로 시 행하게 된다. 특히, 보건복지부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지원과 같은 콘텐츠 관련 사업은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운영하므로, 본 장에서는 중앙육아종합 지원센터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사업의 2019년 실적과 2020년 계획을 중심으 로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어린이집 보육과정 운영 지원 사업은 앞서 살펴본 유치 원 교육과정 운영 지원 사업과는 다르게 교육 및 컨설팅 등 ‘교직원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은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진행하며, 교재교구 및 시설 개보수비 등 ‘예 산 및 행정 지원’은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체단체에서 직접 지원이 이루어지는 구조 로 나눠져있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예산 및 행정지원이 교육청으로 일괄되어 지원 되는 유치원과는 다른 구조적 특성이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의 「2019 개정 누리과정」 2019년 사업 실적과 2020년 계획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표 Ⅲ-2-1>과 같다. 2019년에는 수업참관 및 피드백, 누리과정 운영 컨설팅, 연수, 시범기관 선정 및 운영, 지원자료 개발 및 보급, 놀이매체 및 재료 지원 사업을 수행하였다. 2020년에는 전년과 동일하게 수업참관 및 피드백, 누리과정 운영 컨설팅, 연수, 지원자료 개발 및 보급 사업을 운영할 예정이며, 추가로 전문적 학습공동체, 우수사례 공모 및 공유 사업을 진행 하기로 계획하였다.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이 사업들은 모두 시도센터로 연결되며, 시 도센터에서는 이 사업들을 받아 이행하며 시군구센터를 지원하고, 시군구센터에서

6) 본 절의 내용은 ① 보건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안전공제회(2019). 2019개정누리과정 시범 어린이집 운영 사례집.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② 보건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2020). 2019 전국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③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2020).

전국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보고대회 자료집.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④ 우현경(2020. 5. 29). 전문가 자문 회의 내용. 육아정책연구소 내부자료의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함.

는 개별 어린이집 및 교사를 지원하도록 되어있다.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현장 안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2019년 3월부터 시범어린 이집을 선정하여 운영하였다(보건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안전공제 회, 2019). 해당 사업은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기금을 마련하여 전국 총 20개 어린이집을 시범어린이집으로 선정하여 운영하였고, 이 중에서 1개소를 중앙센터 에서 직접 담당하여 운영하고, 나머지는 시도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각각 관리하였 다(우현경, 전문가 자문회의. 2020. 5. 29)

본 시범사업의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 도입 이후 안착되기까지 20개소 시 범 어린이집에서 매우 공통된 과정과 방식을 경험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보 건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19). 개정된 누리과정을 처음 도입한 시기에는 유아 스스로 자유롭고 즐겁게 놀이하며 일과를 보낼 수 있도 록 하는 방법론에 대한 혼란으로 모두가 어려운 시기를 경험하였다(보건복지부․중 앙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19). 중간단계에서는 시범어린이집의 원장과 교사들은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을 위해 가장 먼저 우선되어야 할 가치는

‘유아의 자유’라고 공통적으로 인식하였고, 그동안 교육적인 지식의 전달, 유아 안 전에 대한 과도한 압박으로 오히려 유아의 권리가 충분히 보장받지 못했다는 점을 깨닫는 과정을 거쳤다(보건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19). 마지막 「2019 개정 누리과정」 안착시기에는 미리 짜여진 계획안을 그대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과 함께 계획을 세워가고, 유아-교사-부모 등 어린이 집의 구성원 간에 다양한 소통과 협력이 중요한 일상으로 자리 잡게 됨을 경험하였 다고 보고하였다(보건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19).

또한 당초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강한 우려와는 달리, 자유로운 놀이 상황에서 유 아와 함께 위험요소를 돌아보고 안전한 대책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보건 복지부․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19).

시범기관 선정 및 운영 사업의 세부사업 중 하나로 운영되었던 놀이매체 및 재 료 지원 사업의 경우는 시범어린이집 누리반을 대상으로 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으 로 진행되었고, 최종적으로 어린이집 20개소, 총 82개 누리반의 유아 약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약 8,700만원의 예산을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보건복지부․중앙 육아종합지원센터․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1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