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세계적인 인권 운동가 마틴 루터킹은 “우리는 아침에 일어나 탁자에 앉아 남아 프리카 공화국 사람들이 만든 커피를 마시거나 중국 사람들이 재배한 차를 마시 거나 서아프리카 사람들이 재배한 코코아를 마신다. 우리는 일터로 나가기 전에 벌써 세계의 절반이 되는 사람들에게 신세를 지고 있다.”라고 했다(박희영‧윤연 정, 2017). 이는 세계화에 따라 우리가 세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 을 보여주는 말이다. 생활 속 음식, 의류, 각종 생활용품과 가전제품 등을 봐도 우리가 세계와 연결되어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된다.

세계화에 따라 심화되는 상호의존성과 상호연결성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환 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세계 문제 또한 우리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치 고 있다. 그러나 세계 문제를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선은 어떠할까? 보통 세계 문제를 남의 나라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세계에서 발생한 문 제는 우리의 대처방법에 따라 문제가 심화되기도 하고 해결되기도 하면서 우리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기에 방관해서는 안 되는 주제이다.

이처럼 전 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는 우리 삶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이 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시민의식(global citizenship)이 필요하다. 우리가 로컬 적‧국가적 시민성을 초월하여 전 세계가 상호의존관계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전 지구적인 차원의 생각과 행동을 한다면 세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 다. 즉, 우리가 포함되어 있는 세계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여 세계 문제가 발생 했는지, 우리의 행동이 세계 시스템을 작동시키는데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등 우 리와 세계의 관계를 파악하고 행동한다면 우리는 세계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 을 것이다.

이렇듯 세계화 시대에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세계시민의식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교육해야 한다는 세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세계시민의식 함 양을 목표로 하는 세계시민교육은 2012년 9월 유엔 총회 당시 ‘세계 교육 우선 구 상’(Global Education First Initiative: GEFI)을 통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또한 2015년 5월 유네스코 세계교육 포럼(World Education Forum)에서 세계 시민교육 내용이 포함된 ‘인천 선언’이 채택됨으로써 2030년까지 전 세계 유네스 코 회원국들이 추진해야 할 범세계적인 교육 정책 목표의 하나가 되기도 하였다(경 기도교육청, 2017, p.9).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 상을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 있는 사람,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 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이라고 제시하며 세계시민교육을 강 조하고 있다(교육부, 2016, pp.37-39).

이러한 배경에서 세계화 시대에 살아가는 학생들이 세계시민으로서 나와 세계 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세 계의 불공정한 시스템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인 아동 노동 문제를 기반으로 세계의 불공정한 시스템 속에 노동을 하는 아동과 우리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지 파악하고,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세계시민으로서 어떤 행동 을 해야 하는 지를 깨달을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여 고안해 보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아동 노동 문제를 기반으로 글로벌 관계 수업을 실행하였다. 수 업 실행 전에는 학생들이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고 있는지 파악 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을 계획하였고, 수업 실행 및 성찰 단계에서는 학생들 의 발화, 활동 결과물, 수업 소감문 등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다음 수업을 수정‧보 완하였다. 수업 종료 후에는 글로벌 관계 수업의 의미와 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수업 주제 인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수업 계획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 고 있는지 파악한 후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셋째, 수업 실행 및 성찰 단계에서는 수업 중 연구자의 발문과 학생들의 발화,

활동 결과물, 수업 소감문 등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다음 수업을 개선하였다.

넷째, 수업 실행 후 수업 소감문, 면담 등을 통하여 학생들이 글로벌 관계에서 아동 노동 문제를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는지 확인하였고, 글로벌 관계 수업의 의 미 및 난점을 파악하였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실행연구의 방법을 채택하여 아동 노동 문제를 기반으로 글로벌 관계 수업을 실행하고자 한다. 실행연구는 일반적으로 ‘계획-실행-성찰’이라는 나 선형적 순환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순환적 과정에 따라 글로벌 관계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연구자는 수업 성찰을 통하여 더 나은 수업 실천을 추구하였다.

글로벌 관계 수업은 3차에 걸쳐 총 7차시로 구성되었다. 수업 실행 전 학생들 이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여 수업을 계획하였 다. 1차 수업 주제는 ‘아동 노동의 실태 파악하기’, 2차 수업 주제는 ‘아동 노동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파악하기’, 3차 수업 주제는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가. 연구 참여자 구성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21명의 1개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 노동 문제를 기반으로 글로벌 관계 수업을 실시 하였다. 글로벌 관계 및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이해를 위해 고학년 학생을 선정 하였으며 남녀의 구성은 남학생 11명, 여학생 10명이다.

평소 교과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을 살펴보면, 학업성취 도가 높은 학생은 4~5명 정도이고, 낮은 학생은 3~4명 정도이다. 이 중 글을 읽고, 해석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학생도 있다. 탐구 및 조사 학습의 경우 대부분 의 여학생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편이며, 남학생들은 3~4명의 정도가 적극적 으로 참여한다. 글쓰기의 경우 대부분의 여학생은 길게 쓰려고 노력하지만 진부 한 표현을 하는 편이고, 남학생들 중에는 글쓰기 자체를 싫어하는 학생이 다소

있다. 학생들은 발표하는 것을 싫어하지만, 수업 중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한 질 문에는 적극적으로 대답하면서 참여한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 중 질문 을 자유롭게 하는 편이다.

나. 자료 수집 및 분석

수업은 계획-실행-성찰의 순환적 과정으로 실행되었으며 수업 상황에 대한 깊 은 이해를 수업 중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 전 과정을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수업 내용을 전사한 후 연구자의 발문, 학생들의 반응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학생들의 생각을 해석하였을 뿐만 아 니라 면담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둘째, 수업 일지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수업 중 의도대로 수업이 진행되지 않거나 학생들이 특이한 반응을 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연구자 가 느낀 어려움이나 생각 등을 기록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평소 특성을 기록한 각종 일지와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 수업 소감문을 수집하였다. 학생들의 평소 특성을 기록해둔 자료는 수업 전 과정에서 학생들의 반응을 이해하는데 활용하였고, 활동 결과물은 학생들의 수업 이해 정 도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하였다. 수업 소감문은 다음 수업을 계획할 때 활용하였 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글로벌 관계에 대한 이해, 아동 노동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하였다.

넷째, 학생과의 면담을 하였다.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 수업 소감문 등을 바탕 으로 학생들에게 글로벌 관계에 대한 이해, 자신과 노동을 하는 아동들과의 관 계,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등에 대해 질문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