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매출 규모

전통식품 품목별로 매출 규모가 가장 큰 품목은 장류로 7,204억 원 규 표 2-8. 품목별 매출 현황

단위: 억 원, %

구 분 전체(A) 농림부지원(B) B/A

떡류 1,443 13 0.9

한과류 677 296 43.8

두부류 3,128 188 6.0

묵류 307 89 29.0

김치류 6,643 1,338 20.1

절임류 1,728 703 40.7

기름류 1,190 71 5.9

장류 7,204 726 10.1

차류 3,843 627 16.3

발효음료류 407 22 5.3

민속주류 6,137 437 7.1

1) 농림부 지원 업체는 가동 중인 관리 대상 업체와 관리해제 업체 대상이며, 가동 중단 된 업체와 퇴출․폐업․휴업 중인 업체는 제외했다.

2) 전체는 식품의약품안전청(2004) 자료이며, 농림부 지원은 농수산물유통공사(2005) 자 료이다.

3) 민속주류는 국세청의 민속주류별 과세표준액을 환산한 것이다.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청.「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2005, 국세청.「국세통계연 보」. 2005, 농수산물유통공사.「’05 농산물가공업체 운영 실태 조사 결과」. 2006

20 전통식품시장의 현황과 특성

전통식품시장의 현황과 특성 21

22 전통식품시장의 현황과 특성

별 업체 수 분포를 살펴보면 종업원 수 1~4인인 업체가 전체 시장에서 차 지하는 비중이 김치절임업체의 경우 49.4%로 절반을 점유하며, 다른 품목 은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9>. 농림부 지원 업 체의 업체 수와 매출액 분포를 살펴보면 이러한 특징이 보다 분명하게 나 타난다. 김치절임류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에서 5억 원 미만 규모의 업체 수가 50~6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업체의 매출액이 차지 하는 비중은 10% 전후에 불과하였다. 김치절임류는 상대적으로 규모화가 진전되어 매출액이 10억 원 이상인 업체 수가 48.2%에 달하며, 이들 업체 의 매출액이 92.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10>.

표 2-11. 품목별 시장집중도 비교

구 분 전 체 농림부 지원업체

CR3 CR10 CR3 CR10

한과류 16.5 39.4 39.8 84.7

김치절임류 18.3 28.3 19.6 54.6

장류 30.2 53.2 30.7 65.0

차류 25.2 59.1 38.4 69.0

발효음료류 45.7 67.2 53.8 86.1

민속주 - - 47.7 71.1

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농수산물유통공사 내부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

표 2-12. 정부 지원 전통식품업체의 지역별 매출액 분포, 2005

단위: %

구 분 강원 경기 충청 전라 경상 제주 계

한과류 12.5 19.5 18.4 29.0 20.5 - 100.0

김치절임류 4.7 36.1 11.4 27.3 20.5 - 100.0

장류 34.9 6.3 3.6 24.5 30.6 - 100.0

차류 7.1 2.0 20.6 43.3 23.9 3.0 100.0

발효음료류 3.6 2.9 9.7 27.8 56.0 - 100.0

민속주 3.7 3.2 20.5 60.0 11.1 1.5 100.0

기타 11.5 9.0 35.3 20.3 23.2 0.7 100.0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2006.「’05 농산물가공업체 운영 실태 조사 결과」.

전통식품시장의 현황과 특성 23

품목별로 시장집중도(concentration ratio; CR)를 비교하기 위해 매출액 기준 상위 3개 업체와 10개 업체의 ‘상위 기업 집중도 지수(CR3, CR10)’

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전체 업체 기준 시 CR3는 발효음료류를 제외하 면 30% 전후로 독과점 성격이 나타나지는 않으나, 농림부 지원 업체의 경 우 전체 업체에 비해 집중도가 높으며 특히 발효음료류(CR3 53.8%), 민속 주(CR3 47.7%), 한과류(CR3 39.8%)가 높은 수준이었다<표 2-11>.

전체 식품의 지역별 매출액 분포는 경기․충청 지역 집중도가 높은 반 면, 농림부 지원 업체는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의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부 지원 김치업체는 경기 지역이 36.1%로 가장 높았다<표 2-12>.

4.3. 용도별, 판매처별 매출 현황

매출액 중에서 선물용 비중은 한과의 경우 60%를 차지하고 있었다. 반 면 장류와 김치는 대부분 소비용으로 판매되고 매출액 중에서 선물 세트의 비중은 각각 12.9%, 3.7%에 불과하였다<표 2-13>.

전통식품의 선물 수요가 명절 시기에 집중되었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평상시 매출액 중에서 선물 세트 비중을 조사하였다. 김치는 평상시 와 명절 시기 선물 세트 비중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장류와 한과는 명절 시기 선물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6 한과의 선물 수요가 상당 부분 명절 시기에 집중되어 있어 한과류 업체의 일용 직 비중이 72.7%에 달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표 2-13. 품목별 선물 세트 판매 현황

단위: %

구 분 김치 장류 한과

매출액 중 선물 세트 비중 3.7 12.9 60.4

평상시 선물 세트 비중 3.1 4.9 16.6

자료: 121개 업체 방문조사 결과

24 전통식품시장의 현황과 특성

전통식품의 수출액은 김치절임류가 1,200억 원 규모로 대부분이며, 다 음으로 인삼류와 차류가 200억∼300억 원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과, 발효음료류의 수출은 매우 미약한 수준이다<그림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