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자본과 장애수용의 조절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8-116)

본 연구에서는 조절변수로 선정한 사회적 자본과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분석 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호작용항을 투입 한 조절회귀분석의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Y = a+b1X+b2Z+b3XZ+e

b는 회귀계수를 의미하며, X는 독립변수를, Z는 조절변수를 의미한다. 상호작 용항의 XZ인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할 경우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 단하며(Baron and Kenny, 1986: 1176), 동시에 R2 변화량(ΔR2)이 유의적인가 를 확인한다(배병렬, 2015: 60).

따라서 지체장애 근로자의 업무특성과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 계에서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참여)과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업무특성과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참여)간의 위계적 회귀분석 을 실시하였으며, 둘째, 업무특성과 장애수용 간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셋째, 근무환경(편의시설, 복리후생)과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참여)간 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넷째, 근무환경(편의시설, 복리후생)과 장 애수용 간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사회적 자본 조절효과

(1)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네트워크 조절효과

업무특성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네트워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 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표 4-2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업무특성(X)과 네트워크(Z)의 상호작용항(X×Z)을 투입한 2단계인 모형2에서 R2 변화량(ΔR2)이 .016, F값의 변화량이 16.298이며,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B=.226으로 유의수준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는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네트워크는 정(+)적으로 조절

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는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높여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네트워크는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 석되어 <가설 2-1> ‘지체장애 근로자의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네트워크가 조절할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

업무특성과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업무특성 및 네트워크의 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높음과 낮음으로 구분하고, 직무만족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림 4-1]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표 4-21>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네트워크 조절효과

모형 R R2 Adjusted R2

추정값의표준 오차

통계량 변화량

ΔR2 F

변화량 df1 df2 유의확률F변화량 1 .311 .097 .095 .53167 .003 2.731 1 904 .099 2 .336 .113 .110 .52722 .016 16.298 1 903 .000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B 표준오차 β t값

1

(상수) 1.968*** .161   12.207

업무특성 .437*** .046 .302 9.497

네트워크 .040 .024 .052 1.653

2

(상수) 4.715*** .699   6.747

업무특성 -.541* .246 -.373 -2.194

네트워크 -.597*** .160 -.779 -3.739 업무특성*네트워크 .226*** .056 1.128 4.037

*p<.05 **p<.01 ***p<.001

[그림 4-1]은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네트워크의 조절효과 를 나타내고 있다. 네트워크의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구분 없이 모두 업무특성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업무특성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선의 기울기가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가 높은 집단의 경우 업무특성 수준이 높 아지면서 직무만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네트워크가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업무특성 수준이 낮아지더라도 직무만족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 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업무특성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완충해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림 4-1] 직무만족에 대한 업무특성과 네트워크의 상호작용

(2)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신뢰 조절효과

업무특성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표 4-2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업무특성(X)과 신뢰(Z)의 상호작용항(X×Z)을 투입한 2단계인 모형2에서 R2 변화량(ΔR2)이 .000, F값의 변화량이 .331이며,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B=.059로 유의수준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이는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신뢰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신뢰는 업무특성 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2-2>

‘지체장애 근로자의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신뢰가 조절할 것 이다’는 기각 되었다.

<표 4-22>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신뢰 조절효과

모형 R R2 Adjusted R2

추정값의표준 오차

통계량 변화량

ΔR2 F

변화량 df1 df2 유의확률F변화량 1 .361 .131 .129 .52527 .028 29.944 1 926 .000 2 .362 .131 .128 .52546 .000 .331 1 925 .565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B 표준오차 β t값

1

(상수) 1.655*** .166   9.971

업무특성 .453*** .045 .313 10.134

신뢰 .143*** .037 .120 3.883

2

(상수) 2.172 .747   2.909

업무특성 .270 .261 .187 1.032

신뢰 -.025 .240 -.021 -.106

업무특성*신뢰 .059 .084 .196 .710

*p<.05 **p<.01 ***p<.001

(3)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참여 조절효과

업무특성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참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표 4-23>에 나타난 바 와 같다.

업무특성(X)과 참여(Z)의 상호작용항(X×Z)을 투입한 2단계인 모형2에서 R2 변화량(ΔR2)이 .000, F값의 변화량이 .486이며,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B=.039로 유의수준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참여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참여는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2-3>

‘지체장애 근로자의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참여가 조절할 것 이다’는 기각 되었다.

<표 4-23>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참여 조절효과

모형 R R2 Adjusted R2

추정값의표준 오차

통계량 변화량

ΔR2 F

변화량 df1 df2 유의확률F변화량 1 .382 .146 .144 .52078 .044 47.393 1 925 .000 2 .383 .147 .144 .52093 .000 .486 1 924 .486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B 표준오차 β t값

1

(상수) 1.772*** .133   13.294

업무특성 .409*** .045 .283 9.184

참여 .172*** .025 .212 6.884

2

(상수) 2.033*** .397   5.114

업무특성 .317* .139 .220 2.276

참여 .062 .160 .076 .387

업무특성*참여 .039 .055 .161 .697

*p<.05 **p<.01 ***p<.001

나.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장애수용 조절효과

업무특성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 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표 4-24>에 나타난 바와 같다.

업무특성(X)과 장애수용(Z)의 상호작용항(X×Z)을 투입한 2단계인 모형2에서 R2 변화량(ΔR2)이 .004, F값의 변화량이 4.704이며,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B=.162로 유의수준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장애수용은 정(+)적으로 조절적

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수용은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높여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장애수용은 업무특성과 직 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2-1> ‘지 체장애 근로자의 업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수용이 조절할 것이 다’는 지지 되었다.

업무특성과 장애수용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장애수용 및 업무특성의 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높음과 낮음으로 구분하고, 직무만족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림 4-2]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표 4-24>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장애수용 조절효과

모형 R R2 Adjusted R2

추정값의표준 오차

통계량 변화량

ΔR2 F

변화량 df1 df2 유의확률F변화량 1 .386 .149 .147 .51965 .047 50.758 1 926 .000 2 .392 .153 .151 .51861 .004 4.704 1 925 .030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B 표준오차 β t값

1

(상수) 1.451*** .153   9.514

업무특성 .444*** .044 .308 10.133

장애수용 .198*** .028 .216 7.124

2

(상수) 3.050*** .753   4.052

업무특성 -.111 .260 -.077 -.427

장애수용 -.270 .218 -.295 -1.242

업무특성*장애수용 .162*** .075 .661 2.169

*p<.05 **p<.01 ***p<.001

[그림 4-2]는 업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장애수용의 조절효과 를 나타내고 있다. 장애수용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모두 업무특성 수준이 높

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장애수용 수준이 높은 집단 의 경우에는 업무특성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선의 기울기가 더 커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장애수용이 높은 집단의 경우 업무특성 수준이 높아 지면서 직무만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장애수용이 낮은 집 단의 경우에는 업무특성 수준이 낮아지더라도 직무만족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 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수용이 업무특성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완충해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림 4-2] 직무만족에 대한 업무특성과 장애수용의 상호작용

다. 편의시설과 직무만족 간의 사회적 자본 조절효과

(1) 편의시설과 직무만족 간의 네트워크 조절효과

편의시설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네트워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 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표 4-25>에 나타난 바와 같다.

편의시설(X)과 네트워크(Z)의 상호작용항(X×Z)을 투입한 2단계인 모형2에서 R2 변화량(ΔR2)이 .003, F값의 변화량이 2.200이며,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B=-.043으로 유의수준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는 편의시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네트워크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네트워크 는 편의시설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2-5> ‘지체장애 근로자의 편의시설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네트워 크가 조절할 것이다’는 기각 되었다.

<표 4-25> 편의시설과 직무만족 간의 네트워크 조절효과

모형 R R2 Adjusted R2

추정값의표준 오차

통계량 변화량

ΔR2 F

변화량 df1 df2 유의확률F변화량 1 .303 .092 .090 .52255 .011 9.856 1 784 .002 2 .307c .094 .091 .52215 .003 2.200 1 783 .138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B 표준오차 β t값

1

(상수) 2.823*** .120   23.608

편의시설 .362*** .045 .271 7.995

네트워크 .147** .039 .128 3.783

2

(상수) 2.769 .169   16.371

편의시설 .495 .295 .370 1.678

네트워크 .165 .055 .144 2.977

편의시설*네트워크 -.043 .094 -.103 -.455

*p<.05 **p<.01 ***p<.001

(2) 편의시설과 직무만족 간의 신뢰 조절효과

편의시설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 적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표 4-26>에 나타난 바와 같다.

편의시설(X)과 신뢰(Z)의 상호작용항(X×Z)을 투입한 2단계인 모형2에서 R2 변화량(ΔR2)이 .000, F값의 변화량이 .207이며,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B=-.043으로 유의수준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는 편의시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신뢰가 조절적인 역할 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인인 신뢰는 편의시 설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2-6> ‘지체장애 근로자의 편의시설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신뢰가 조절할 것이다’는 기각 되었다.

<표 4-26> 편의시설과 직무만족 간의 신뢰 조절효과

모형 R R2 Adjusted R2

추정값의표준 오차

통계량 변화량

ΔR2 F

변화량 df1 df2 유의확률F변화량 1 .314 .099 .096 .52534 .016 14.312 1 801 .000 2 .314 .099 .095 .52560 .000 .207 1 800 .649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B 표준오차 β t값

1

(상수) 2.823*** .120   23.608

편의시설 .362*** .045 .271 7.995

신뢰 .147*** .039 .128 3.783

2

(상수) 2.769*** .169   16.371

편의시설 .495 .295 .370 1.678

신뢰 .165** .055 .144 2.977

편의시설*신뢰 -.043 .094 -.103 -.455

*p<.05 **p<.01 ***p<.00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8-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