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 지역의 주거환경 현황과 변화

1) 인구 및 주택 현황

사례 도시로 선정된 4개 지방도시 중 청주시는 80만 명이 넘는 대도시로서 현재 인 구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익산시, 목포시, 공주시는 인구 30만 명 이하로서 최근 5년 간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통계청, 각 년도, 주민등록인구현황).

주택유형은 청주, 익산, 목포시에서는 공동주택의 비중이 전체 주택의 50%이상 차 지하고 있다. 반면, 공주시의 경우 단독주택의 비중이 높아서 전체 주택의 67.5%가 단독주택으로 분류되고 있다(각 시군, 도시·군기본계획).

주택보급률의 경우, 익산시는 106.5%, 목포시는 100.0%를 보이고 있어 대체로 양 호한 편이다. 이와는 달리 청주시와 공주시는 110%를 넘기고 있어 과도한 주택공급으 로 인한 미분양 또는 지역침체로 인한 빈집 문제가 예상된다. 특히 공주시는 116.3%

로서 100호 중에서 15호가 빈집으로 방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국토교통부, 2019c).

주택의 평균 건축년도는 청주시가 지역에 따라 1982년에서 1991년 사이로서 비교적 양호한 주택 노후도를 보이고 있다. 전국의 주거용 건축물의 평균 건축년도가 1985년 이므로, 청주시는 전국의 평균값에 근접하고 있다. 목포시의 경우 평균 건축년도가 1981년으로서, 지방도시의 평균과 유사한 수준을 보인다. 반면 익산시는 건축년도가 평균 1977년, 공주시는 1978년으로서 40년 이상 된 주거용 건축물이 다수 포진한 것 으로 볼 수 있다.1)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서도 대단히 노후도가 심할 뿐 아니라, 지방 도시 평균에 비해서도 오래되었음을 의미한다.

1) 건축데이터개방 대용량제공서비스 - 건축물대장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진이 분석

지역 청주시 익산시 목포시 공주시

충청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충청남도

인구

2015.5 기준

인구(명) 830,735 303,141 238,389 112,348 2020.5 기준

인구(명) 841,540 284,746 228,587 105,611 증감 (2015-2020) 1.30% -6.07% -4.11% -6.00%

가구수 (호) 325,023 126,492 101,609 49,633

주택 현황

주택보급률 (2018년 기준)

112.2%

(2018)

106.5%

(2018)

100.0%2) (2018)

116.3%

(2018) 주택호수 (호) 364,570 134,753 101,080 57,709 단독주택 (호) 144,310 34,527 27,742 38,943 (다가구) (호) 94,651 21,681 4,859 7,273 아파트 (호) 204,683 72,793 64,360 15,545 연립주택 (호) 5,437 3,258 1,438 1,821

다세대주택

(호) 6,104 1,379 2,086 1,400 기타 (비주거용

건물 내 등) 4,036 1,115 5,454 -평균

건축년도

(흥덕구) 1991 (청원구) 1984 (서원구) 1987 (상당구) 1982

1977 1981 1978

자료: (인구 및 인구증감) 통계청, 주민등록인구 각 년도, (주택보급률) 국토교통부, 2019c, (주택호수) 각 시군의 도시·군기본계획,

(건축년도) 건축데이터개방 대용량제공서비스 - 건축물대장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진이 분석 표 4-5 | 4개 사례분석의 인구 및 주택 현황

2) 목포시 2019 통계연보에서는 2018년도 주택보급률을 99.5%로 제시

2) 도시 공간의 변화와 도심 주거지역의 침체

건축데이터 민간개방 시스템3)에서 제공하는 건축물 대장 정보를 활용하여 사례 도 시의 건축물 및 토지공간정보4)와 결합하여 분석하였다.5) 건축물 정보는 건축물의 인 허가 시점을 기준으로 시기별로 세분하였다. 그 결과, 4개 사례 도시에서는 1990년대 이전에는 대체로 도심을 중심으로 건축물이 입지하고 있었으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교외 지역에 대량의 신시가지 개발이 발생하였고, 이와 반대급부로 도심 지역의 건축 물 신축은 줄어드는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청주시의 경우, 2000년 이전에는 도심부 위주로 건축물이 입지하였으나, 2000년대 에 교외 지역에 신규 개발이 대량으로 발생하였으며, 2010년대에 들어서는 완화되는 모양새를 보인다. 목포시는 2000년대에 들어서 도심부를 벗어나 신시가지로 건축물 이 확산되며 현재까지도 도심부 내 신축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익산시는 타 시군에 비해서는 도심부내 건축물 신축이 많은 편이나 꾸준히 교외로도 동시에 개발 이 진행 중이다. 공주의 경우에도 1990년대 들어서 접근성이 좋은 도로를 따라 선형으 로 신축 건물이 확산되었으며, 2010년대에 들어서는 어느 정도 교외 개발이 완화되는 추세를 보인다. 이처럼 지역에 따라 시기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이러한 도시공 간 확산형의 도시발전 증가 양상은 4개 사례 도시의 시기별 건축물 입지 양상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3) 건축대이터 민간개방시스템 (건축데이터개방 대용량제공서비스) - 건축물대장 – 표제부 (2020.8기준) (http://open.eais.go.kr/opnsvc/opnSvcInqireView.do)

4) 국가공간정보포털, 국가중점데이터, http://openapi.nsdi.go.kr/nsdi/

5) 분석에는 통계패키지 R 4.0.3를 이용하여 건축물대장의 가공처리 및 집계표 작성하였으며, Qgis 3.4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음

1990년 이전 건축물

2010년 이후 건축물

자료: 건축물대장 정보(건축데이터개방 대용량제공서비스), 건물일반집합정보(국가공간정보포털), 정비사업 및 재생사업구역 (국가공간정보포털 및 연구진 작성)을 활용하여 연구진 작성

표 4-6 | 청주시 시기별 건축물 입지 변화

1990년 이전 건축물

2010년 이후 건축물

자료: 건축물대장 정보(건축데이터개방 대용량제공서비스), 건물일반집합정보(국가공간정보포털), 정비사업 및 재생사업구역 (국가공간정보포털 및 연구진 작성)을 활용하여 연구진 작성

표 4-7 | 목포시 시기별 건축물 입지 변화

1990년 이전 건축물

2010년 이후 건축물

표 4-8 | 익산시 시기별 건축물 입지 변화

자료: 건축물대장 정보(건축데 이터개방 대용량제공서 비스), 건물일반집합정보 (국가공간정보포털), 정비 사업 및 재생사업구역 (국가 공간정보포털 및 연구진 작성)을 활용하여 연구진 작성

1990년 이전 건축물

2010년 이후 건축물

표 4-9 | 공주시 시기별 건축물 입지 변화

자료: 건축물대장 정보(건축데이 터개방 대용량제공서비스), 건물일반집합정보(국가공 간정보포털), 정비사업 및 재생사업구역(국가공간정 보포털 및 연구진 작성)을 활용하여 연구진 작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