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지역의 경제・생활권 광역화 현상

2.1. 사업체 증감 및 인구 유출입 현황

사례지역의 광역화 현상을 본격적으로 고찰하기 전에 먼저 세 지역의 사업체 변화 추이 및 인구이동 추이를 살펴본다. 사업체 입지 변화나 택지 개발로 인한 인구 유입 등은 지역 간 사람, 물자 등의 이동량 증가의 조건 이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 지역이 광역화 정도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본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사업체 및 종사자 수의 변화 추이를 비교해본 결과가 <표 4-2>이 다. 안성시는 증가 추세가 뚜렷하여 강진군 및 청송군과 대비되는 모습이 다. 표에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안성시는 최근 3년 이내 창업한 사업체 수 가 전체 사업체 중 40% 가량을 차지(2007년 기준)하고 있어 경제적 활력 이 높은 편임을 보여준다. 반면 강진군 및 청송군은 3년 이내 창업 사업체 비율이 각각 18% 및 22%로 안성시에 비해 낮은 비율을 기록하였다.18

18 사업체통계조사 원시자료를 재집계한 결과이다.

구 분 시・군 1996년 2005년 연평균

증가세가 두드러지는 업종도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표 4-3 참조). 안성 시는 다른 두 지역과 대조적으로 운수·창고업의 증가세가 두드러지며, 제 조업, 부동산·임대 및 사업서비스업 등도 상대적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제3장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수도권이라는 특성이 반영되어 대도시권 입지 경향이 높은 업종들이 안성시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택지 개발 등으로 대규모 인구 유입이 일어나고 그 결과 지역 간 이동량 이 증가하는 것도 광역화의 조건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인구 유출입 현황을 파악하고자 세 지역의 전입 및 전출 인구 변화 추이를 비교하였다. <표 4-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성시는 주변 지역으로의 전출과 전입 이동이 동시에 활발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순유입이 우세하여 최근 지속 적인 인구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그에 반해 강진군과 청송군은 전출이 지속적으로 우세한 양상이다.

안성시의 전입 인구 중에는 주변 시・군에서 이주해온 가구의 비율이 상 대적으로 높다. <표 4-5>의 주민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성 시의 주민 중에는 경기도 내 타 시・군에서 이주해온 주민의 비율이 약 10%로서 강진, 청송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성시 내에서 이주 한 경우도 약 9%인데, 이 역시 다른 두 지역보다 높은 수치이다. 안성시의 전출입은 특히 지역 내 또는 인근 지역 간에 두드러지게 일어나는 현상임 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안성시의 경우 사업체의 확산과 더불어 주거지로서 입지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주변 시・군들과 상대적으로 활발한 인구이동 이 일어나는 것이다. 시・도 내에서보다 타 시・도와의 인구이동 흐름이 더 우세한 강진군 및 청송군의 경우와 뚜렷이 구별되는 점이다.

지 역 구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연평균 증가율

안성시

전입 16,801 23,339 28,852 28,286 30,595 33,296 7.1 전출 16,066 19,830 24,260 27,834 30,470 28,521 5.9 순이동 735 3,509 4,592 452 125 4,775

강진군

전입 5,693 4,516 4,416 4,251 4,928 4,899 -1.5 전출 6,022 6,318 8,637 5,219 5,525 5,095 -1.7 순이동 -329 -1,802 -4,221 -968 -597 -196

청송군

전입 3,539 3,187 2,862 2,600 2,738 2,722 -2.6 전출 3,573 3,816 3,916 3,629 3,328 3,152 -1.2 순이동 -34 -629 -1,054 -1,029 -590 -430

2.2. 주변 지역과의 광역적인 연계권 형성 현황

시, 영천시, 군위군, 의성군, 영양군, 영덕군)과 접하고 있다.

<표 4-7>에 나타난 바와 같이 1990년 이후 안성시와 인접 시・군들 간에 집계된 이동량은 연평균 9%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그 절 대량에서 강진군 및 청송군의 인접 시・군 통행량을 크게 상회하는 모습을 보인다. 인접한 시・군들 간에 활발한 통행 이동이 나타나는 광역화 현상을 분명히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강진군의 경우 인접 시・군과의 유입・유출 통행량 모두 정체 또는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징적인 것은 청송군의 경우 인 접 시・군에서 유입하는 통근・통학 이동량이 연평균 7% 가까운 비율로 크 게 늘고 있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동시에서 유입하는 이동량이 대폭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주여건이 양호한 주 변의 도시에 거주지를 둔 채 경제활동만 청송군에서 수행하는 주민들이 늘 어나는 양상이다.20 이는 안성시의 경우와 구별되는 광역화의 또 다른 양 상인데, 이것이 농어촌 지역발전에 대해 갖는 의미에 대해서는 이후에 논 의한다.

19 안성시의 경우 실제로는 위 3개 시・군 외에 음성군, 진천군, 천안시와도 경계를 접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시・군의 경우 타 도로 분류되어 통근・통학 집계 자 료를 활용할 수 없는 까닭에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 점을 감안할 때, 안 성시의 실제 광역적인 통근・통학 유출입량은 본 연구에서 집계한 수치보다 더 욱 크리라 예상된다.

20 행정구역 경계를 접한 시・군들만을 대상으로 통근 유출입량 변화 추이를 분석 했을 경우는 강진군은 청송군과 다소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분석 대상을 인접 시・군에 한정하지 않고 집계해보면, 강진군의 경우에도 전체 통근인구 대 비 통근 유입인구의 비율이 늘어나는 양상이 유사하게 확인된다.

구 분 연도 안성시 강진군 청송군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송군의 경우는 일부 기초 서비스 분야를 제외하고는 지역 내에서 공 급 기반이 특히 취약한 편이다. 고가 제품인 가전가구의 경우 타 시・군에 서 구입하는 비율이 안성시 및 강진군에 비해 특히 높은 점이 눈에 띈다.

전문적인 진료는 70% 이상이 타 지역에서 이용하고 있어 의료시설이 열악 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서비스 이용의 광역화 현상은 사례지역 주민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차량 소유 여부에 따라 뚜렷이 구별되고 있다. <표 4-9>에는 앞 서 고찰한 6개 서비스 부문 중 타 시・군에서 이용하는 서비스 수가 몇 개 인지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차량을 보유한 주민과 그렇 지 않은 주민으로 구분하여 비교해보면 서비스 이용 양상에서 두 집단 간 에 분명한 차이가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청송군 주민들 중 차량을 보유한 집단의 경우 평균적으로 타 지역에서 이용하는 서비스 항목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청송군은 경 제활동권의 광역화 정도에서는 타 지역보다 두드러지지 않다는 것을 앞서 살펴본 바 있다. 그런데 서비스 이용권에서는 타 시・군에 비해 청송군에서 광역화가 더욱 진전된 양상을 보이는 점이 주목된다.

주민들의 주변 도시 방문 빈도가 과거 시점에 비해 최근 변화한 양상을 비교해보면 서비스 이용권의 광역화 진행 정도를 더욱 분명히 짐작할 수 있다. <표 4-10>은 1980년대와 비교해 현재 타 지역 중심지 방문 빈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주민 설문조사를 통해 집계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21 안성시에 비해 강진군 및 청송군 주민일수록 과거에 비해 타 지역 중심지 방문 빈도가 증가했다고 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역시 경제활동권의 광역화 현상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며, 이는 개인의 기동성 증대, 도로 교 통의 개선 등으로 인한 효과라 판단된다.

21 비교 목적상 20대 및 30대인 주민들은 제외하고 응답 결과를 집계하였다.

거주

첫째로, 직장 통근으로 대표되는 경제활동권역의 광역화가 일어나는 요

연구에서는 주거지 이전 사유로, 첫째, 농촌에 신규 개발된 저렴한 주택단 지 입주, 둘째, 쾌적한 전원 주거공간 마련, 셋째, 도시적 정주환경 추구 등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사유로 인한 주거 이동 또는 직 장의 이전 등 광역적 통행이 발생하는 몇 가지 요인들을 조합하여 광역화 의 여러 유형을 개념화한 결과가 <표 4-12>이다. 표에서는 출발지(주거지) 와 목적지(경제활동장소)를 농촌 및 주변 도시로 구분한 후 각각에 해당하 는 이동 사유들을 함께 제시하여 사례지역의 광역화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각종 통계자료나 주민 설문조사 결과 등을 근거로 판단할 때, 사례지역 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광역화 유형은 세 가지(표에 제시된 ①, ②, ③ 유 형)라고 할 수 있다. ①의 경우는 직장의 농촌 입지에 따라 주변 지역에서 사례지역으로 출퇴근하는 것으로 안성시에서 두드러지는 유형이다. 또한 안성시 주민들 중에는 직장이 다른 곳에 있어서 타 시・군으로 통근하는 주 민 비율이 높다(③ 유형).22 결국 안성시는 이웃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일하는 장소이면서 이웃 지역에서 일하는 주민들이 거주하는 장소로서의 성격도 동시에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강진군 및 청송군은 인접 시・군과의 이동량 자체가 매우 적으며, 증가 추세도 두드러지지 않는다. 즉 안성시와는 달리 광역화가 주된 추세라고 보기 힘들다. 다만, 청송군의 경우는 기존에 농어촌에서 수행하던 경제활 동은 그대로 유지한 채 다양한 정주 기반이 충족되는 인근 도시로 주거지 만 옮기는 사례가 상대적으로 우세하다.23 이는 ② 유형의 광역화 현상으 로 분류할 수 있다.24

22 이와 관련하여 주민 설문조사 집계 결과 확인한 주민들의 직업 구성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타 지역에서 새로 이주해온 주민들 중에는 사무직, 기능노무직, 자영업, 전문자유직 등의 직종에 종사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집 계된다. 이는 농림업에 주로 종사하는 기존 주민들의 직업 특성과 대비되는 점 이며, 새로운 사업체 입지와 광역화가 밀접히 관련되는 현상임을 말해준다.

22 이와 관련하여 주민 설문조사 집계 결과 확인한 주민들의 직업 구성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타 지역에서 새로 이주해온 주민들 중에는 사무직, 기능노무직, 자영업, 전문자유직 등의 직종에 종사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집 계된다. 이는 농림업에 주로 종사하는 기존 주민들의 직업 특성과 대비되는 점 이며, 새로운 사업체 입지와 광역화가 밀접히 관련되는 현상임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