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각형의 성질

문서에서 문제기본서 22 (페이지 47-62)

0464

"%“∥#$“이므로 ∠%"$∠"$#± 엇각

"#“∥%$“이므로 ∠$"#∠"$%∠Z 엇각

따라서 △"#%에서 ± ∠Z ∠Y ±±이므로

∠Y ∠Z±

[별해] "%“∥#$“이므로 ∠%#$∠"%#± 엇각

∠"#$ ∠#$%±이므로



∴ ∠Y ∠Z±

0465

"%“∥#$“이므로 ∠%#$∠"%#± 엇각 따라서 △#$0에서 ∠#0$± ± ±± ③

0466

∠$ ∠%±이므로 ∠%±±±

따라서 △"&%에서

∠"&$∠%"& ∠"%&± ±± ②

0467

③ ∠"$#∠$"% ③

0468

④ 0$“

0469

㈎ ∠%$" ㈏ "$“

㈐ △$%" ㈑ ∠#∠%

0470

③ △0"#와 △0$%에서 "#“∥%$“이므로

∠0"#∠0$% 엇각,

∠0#"∠0%$ 엇각, "#“$%“ 

∴ △0"#f△0$% "4" 합동

⑤ ∠"#%∠$%#, ∠$#%∠"%# ⑤

0471

④ ∠"0#의 크기는 알 수 없다. ④

0472

"%“#$“이므로 YY , Y, Y

∠" ∠#±이므로 ± ∠#±, ∠#± Z

∴ Y Z 

0473

⑴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 므로 0$“0"“ DN, 즉 Y … ❶

⑵ ∠#"% ∠"%$±이므로

∠#"%±±±

∴ ∠%"$∠#"%∠#"$±±± … ❷ p.118~127

http://zuaki.tistory.com

∠&"%±@



 

±@ű

따라서 △"&%에서 ∠Y± ± ±±

0480

∠"%$∠"#&±이고,

∠"%&A:A∠&%$A:A이므로

∠"%&±@



 

±@±

따라서 ∠%&$∠"%&± 엇각이므로

∠Y± ± ±±

0481

"%“∥#$“이므로 ∠$&%∠"%& 엇각 이때 ∠$%&∠"%&이므로 ∠$%&∠$&%

즉, △$%&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DN

∴ #&“#$“$&“"%“$&“ DN ③

0482

"#“∥%$“이므로 ∠#'$∠'$% 엇각 이때 ∠#$'∠'$%이므로 ∠#$'∠#'$

즉, △#$'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DN

따라서 "'“#'“"#“ DN이므로 Y

또, ∠# ∠#$%±에서

∠#$%±±±이므로

∠%&$∠&$#Å∠#$%Å@±±, 즉 Z

∴ Y Z 

0483

∠"%$∠#±이므로

∠"%'Å∠"%$Å@±±

즉, △"'%에서 ∠'"%± ± ±±

또, ∠#"% ∠#±이므로 ∠#"%±±±

∴ ∠#"'∠#"%∠'"%±±± ⑤

0484

∠"'#±±±이므로

∠'#&∠"'#± 엇각

∴ ∠"#&∠'#&@±±

또, ∠#"% ∠"#$±이므로

∠#"%±±±

∴ ∠#"&Å∠#"%Å@±±

따라서 △"#&에서

∠Y∠#"& ∠"#&± ±± ② 이때 "%“∥#$“이므로

∠#$"∠%"$±, 즉 Z … ❸

⑶ Y, Z이므로 Y Z  … ❹

채점 기준 배점

Y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의 크기를 바르게 구한 경우 

Z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Y Z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0474

△#'&와 △$%&에서

#&“$&“이므로 △#'&f△$%& "4" 합동

∴ #'“$%“ DN

또, "#“$%“ DN이므로

"'“"#“ #'“  DN ③

0475

$%“"#“ DN이고, "%“#$“이므로

"#“ #$“ $%“ "%“에서

 #$“  #$“,  #$“

∴ #$“ DN ①

0476

% Y, 이라 하면

"%“Y, #$“  

이때 "%“#$“이므로 Y

∴ % ,  ④

0477

△"0'와 △%&'에서

∠"0'∠%&' 엇각, "0“0$“%&“,

∴ △"0'f△%&' "4" 합동 … ❶ 따라서 0'“&'“, 0&“$%“"#“ DN이므로

&'“Å@ DN … ❷

채점 기준 배점

△"0'와 △%&'가 합동임을 바르게 설명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478

∠" ∠#±이므로

∠#±@



 

±@





±

∴ ∠%∠#± ⑤

0479

∠" ∠%±이므로 ∠"±±±

이때 ∠#"&A:A∠&"%A:A이므로

http://zuaki.tistory.com

0490

㈎ ∠%$" ㈏ △$%" ㈐ 4"4

㈑ ∠%"$ ㈒ "%“

0491

④ 동위각

0492

㈎ ∠$0# ㈏ ∠0#$ ㈐ △0"#

㈑ ∠0"#

0493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아야 하므로

"%“#$“에서 Y Y , Y

"#“%$“에서 ZZ , Z, Z

∴ Y Z 

0494

두 쌍의 대변의 길이와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 아야 하므로

"%“#$“에서 Y, ∠"∠$에서 Z

∴ Y Z 

0495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아야 하므로

"%“#$“에서 YY , Y, Y

"%“∥#$“에서

∠" ∠#±, ± ∠#±, ∠#, Z

0496

① 그림의 "#$%는 "%“∥#$“, 60æ

120æ

A D

C B

∠"±, ∠#±이지만 평행 사변형이 아니다.

②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③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④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⑤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①

0497

①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②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③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④ 엇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다. 즉,

평행사변형이다. ⑤

0498

⑤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아야 평행사

변이 된다. ⑤

0499

ㄱ.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므로 평행사변형이다.

0485

⑴ "%“∥#$“이므로 ∠#&"∠%"& 엇각 이때 ∠#"&∠%"&이므로 ∠#&"∠#"&

… ❶ 즉, △#&"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DN … ❷ ∴ $&“#$“#&“"%“#&“ DN

… ❸

⑵ "%“∥#$“이므로 ∠$'%∠"%' 엇각

이때 ∠$%'∠"%'이므로 ∠$%'∠$'% … ❹ 즉, △$%'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DN … ❺

⑶ $&“ DN, $'“ DN이므로

&'“$'“$&“ DN … ❻

채점 기준 배점

∠#&"∠#"&임을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임을 바르게 설명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486

$%“"#“ DN 0"“0$“, 0#“0%“이므로 0$“Å"$“Å@ DN, 0%“Å#%“Å@ DN 따라서 △0$%의 둘레의 길이는

0$“ $%“ 0%“   DN ④

0487

△01"와 △02$에서

△01"f△02$ "4" 합동

∴ 01“02“ ②

④ ∠10%∠20#, ∠$0%∠"0# ④

0488

△0#'와 △0%&에서

∠0'#∠0&%±, 0#“0%“,

∠#0'∠%0& 맞꼭지각이므로

△0#'f△0%& 3)" 합동

따라서 '0“'$“#$“#'“"%“#'“ DN 이므로 △0%&△0#'Å@@ DN™A ④

0489

③ ∠$"% ③

http://zuaki.tistory.com

채점 기준 배점

14“∥23“임을 바르게 설명한 경우 

12“∥43“임을 바르게 설명한 경우 

1234가 평행사변형임을 바르게 설명한 경우 

0504

"%“∥#$“이므로 ∠#&"∠%"& 엇각 이때 ∠#"&∠%"&이므로 ∠#&"∠#"&

즉, △#&"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그런데 ∠#±이므로 △#&"는 정삼각형이다.

∴ "&“#&“"#“ DN,

 &$“#$“#&“"%“#&“ DN 한편, ∠"∠$이므로

∠&"'Å∠"Å∠$∠&$' UUA㉠

∠#&"∠%'$

∴ ∠"&$±∠#&"±∠%'$∠"'$ UUA㉡

㉠, ㉡에서 "&$'는 평행사변형이므로 "&“'$“, "'“&$“

따라서 "&$'의 둘레의 길이는

"&“ &$“ $'“ "'“    DN ④

0505

"%“∥#$“이므로 "/“∥.$“ UUA㉠

"/“Å"%“Å#$“.$“ UUA㉡

따라서 ㉠, ㉡에서 ".$/은 평행사변형이므로 옳은 것은 ④

이다. ④

0506

"#$%가 평행사변형이므로 0"“0$“ ① UUA㉠

#&“%'“이므로 0&“0#“#&“0%“%'“0'“ ② UUA㉡

㉠, ㉡에서 "&$'는 평행사변형이므로 "'“&$“ ③ 또, ∠$"'∠"$&± 엇각이므로

∠&"'∠&"$ ∠$"'± ±±

따라서 ∠&"' ∠"'$±이므로

∠"'$±±± ⑤

④ #&“Å#%“임은 알 수 없다. ④

0507

⑴ ∠#1$∠%2"±이므로 #1“∥%2“ UUA㉠

△"#1와 △$%2에서

∠"1#∠$2%±, "#“$%“,

∠#"1∠%$2 엇각이므로

△"#1f△$%2 3)" 합동

∴ #1“%2“ UUA㉡

㉠, ㉡에서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으 ㄴ. 그림의 "#$%는 0"“0#“, 0$“0%“이지

A O

D

C B

만 평행사변형이 아니다.

ㄷ.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ㄹ. 그림의 "#$%는 ∠"∠#, ∠$∠%이

A D

C B

지만 평행사변형이 아니다.

따라서 "#$%가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인 것 은 ㄱ, ㄷ이다.

0500

∠"%#∠$#%±이므로 "%“∥#$“이다.

①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② 그림의 "#$%는 ∠"%#∠$#%±, 50æ

50æ

A D

C B

"#“$%“이지만 평행사변형이 아니다.

③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므로 평행사변형 이다.

④ ∠"∠$이므로 ∠"#%∠$%#에서 "#“∥%$“이다.

즉,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⑤ ∠"#%∠$%#이므로 "#“∥%$“이다. 즉,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②

0501

△"&)와 △$('에서

"&“Å"#“Å$%“$(“, ∠"∠$,

")“Å"%“Å#$“$'“이므로

△"&)f△$(' 4"4 합동 ∴ &)“('“ UUA㉠

같은 방법으로 △#'&f△%)( 4"4 합동이므로

&'“()“ UUA㉡

㉠, ㉡에서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는

평행사변형이다. ②

0502

#'&%에서 #$“$&“, %$“$'“이므로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따라서 #'&%는 평행사변형이

된다. ②

0503

"#$%가 평행사변형이므로 &#“∥%(“, &#“%(“에 서 &#(%는 평행사변형이다. 즉, 14“∥23“ … ❶

"#$%가 평행사변형이므로 ")“∥'$“, ")“'$“에서

"'$)는 평행사변형이다. 즉, 12“∥43““ … ❷ 따라서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므로 1234는 평행사변형

이다. … ❸

http://zuaki.tistory.com

0512

△0&"와 △0'$에서

∠0"&∠0$' 엇각, 0"“0$“,

∠"0&∠$0' 맞꼭지각이므로

△0&"f△0'$ "4" 합동 … ❶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0&" △0#' △0'$ △0#'△0#$Å "#$%

△0&" △0#' Å@ DN™A … ❷

채점 기준 배점

△0&"와 △0'$가 합동임을 바르게 설명한 경우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513

△1"# △1$%Å "#$%이므로

0514

△1"# △1$%Å "#$%이므로

△1"# Å@, △1"# 

∴ △1"# DN™A ①

0515

△1"# △1$%△1%" △1#$이므로

 △1$% 

∴ △1$% DN™A ⑤

0516

"#$%@ DN™A 이때 △1%" △1#$Å "#$%이므로

△1%" Å@, △1%" 

∴ △1%" DN™A ⑤

0517

⑴ △1%" △1#$ Å "#$%

Å@ DN™A … ❶

⑵ △1%" △1#$ DN™A, △1%"A:A△1#$A:A이므 로 △1#$@



 

@





 DN™A … ❷

채점 기준 배점

△1%"와 △1#$의 넓이의 합을 바르게 구한 경우 

△1#$의 넓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므로 1#2%는 평행사변형이다. … ❶

⑵ ∠#1%∠#12 ∠%12± ±± … ❷ 따라서 ∠#1% ∠1#2±이므로

∠Y±±± … ❸

채점 기준 배점

1#2%가 평행사변형임을 바르게 설명한 경우 

∠#1%의 크기를 바르게 구한 경우 

∠Y의 크기를 바르게 구한 경우 

0508

평행사변형 "#$%의 넓이가 DN™A이므로

@ 높이에서 평행사변형 "#$%의 높이는 DN이다.

"%“∥#$“이므로 ∠&#'∠"&# 엇각 이때 ∠"#&∠&#'이므로 ∠"#&∠"&#

즉, △"#&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DN 한편, ∠#∠%이므로

∠&#'Å∠#Å∠%∠&%' UUA㉠

∠"&#∠%'$

∴ ∠#&%±∠"&#±∠%'$∠#'% UUA㉡

㉠, ㉡에서 &#'%는 평행사변형이다.

따라서 &%“"%“"&“#$“"&“ DN이고 평행사변형 &#'%의 높이는 평행사변형 "#$%의 높이와 같 으므로 &#'%의 넓이는 @ DN™A ②

0509

△0$%Å "#$%이므로

"#$%△0$%@ DN™A ③

0510

"&“∥#'“, "&“#'“이므로 "#'&는 평행사변형이 다.

또, &%“∥'$“, &%“'$“이므로 &'$%는 평행사변형이다.

∴ &1'2 △1'& △2&'Å "#'& Å &'$%

Å "#'& &'$%Å "#$%

Å@ DN™A ①

0511

#$“$&“, %$“$'“이므로 #'&%는 평행사변형이 다.

따라서 △#$%△0#$△0"#@ DN™A 이므로 #'&%△#$%@ DN™A ④

http://zuaki.tistory.com

④ △1%" △1#$Å "#$%

⑤ 점 1를 지나고 "%“와 평행한 선분을 그

B C

A D

Q P

어 "#“와 만나는 점을 2라 하면

"21%, 2#$1는 모두 평행사변형 이므로

△1%" △1#$ Å "21% 2#$1

Å "#$% ③

0524

그림과 같이 세 가지의 평행사변형을 만들 수 있다.

40æ 40æ 40æ

40æ

40æ 40æ 60æ 60æ60æ 60æ

60æ 60æ

80æ 80æ

80æ 80æ 80æ 80æ

따라서 크기가 가장 큰 내각의 크기는 두 번째 평행사변형에서

° °° ④

0525

'#“∥&$“이므로 ∠#'$∠'$&, ∠$&#∠'#&

즉, ∠#$'∠#'$, ∠$&#∠$#&이므로

#'“#$“ DN, $&“$#“ DN 따라서 '#“∥&$“, '#“&$“이므로

'#$&는 평행사변형이다.

이때 "#$%와 '#$&는 모두 평행사변형이고 밑변을 "#“와 '#“로 생각하면 높이는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의 비는 "#“A:A'#“와 같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비는 "#“A:A'#“A:AA:A ②

0526

"&“를 접는 선으로 하여 접었으므로

"1“"#“ DN

∠1"'∠#"& 접은 각 UUA㉠

"#“∥%'“이므로 ∠#"&∠1'" 엇각 UUA㉡

㉠, ㉡에서 ∠1"'∠1'"이므로 △1"'는 1"“1'“인 이등변삼각형이다.

∴ 1'“1"“ DN 또, %1“A:A1$“A:A이므로 1$“%$“@



 

"#“@Å@Å  DN

∴ $'“1'“1$“ 





DN ④

0527

△"#$와 △%#&에서

"#“%#“, ∠"#$±∠&#"∠%#& ③,

#$“#&“이므로 △"#$f△%#& 4"4 합동 UUA㉠

∴ "$“%&“ ①

0518

" Y, 이라 놓으면

"%“YY, #$“  

이때 "%“#$“이므로 Y, Y

∴ " ,  ②

0519

①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② 0"“0$“, 0#“0%“이므로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 등분한다. 즉, 평행사변형이다.

③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④ 그림의 "#$%는 ∠#±, ∠%±,

65æ115æ A

D C B

"%“#$“이지만 평행사변형이 아니다.

⑤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평 행사변형이다.

0520

△1"# △1$%△1%" △1#$이므로

 △1%" 

∴ △1%" DN™A ④

0521

∠" ∠"%$±이므로

± ∠"%$±, ∠"%$±

#&“%&“이므로 ∠&%#∠&#% UUA㉠

"%“∥#$“이므로 ∠"%#∠&#% UUA㉡

㉠, ㉡에서 ∠"%#∠&%#이므로

∠"%#∠&%#∠&%$

∴ ∠&%#Å∠"%$Å@±± ②

0522

$%“"#“ DN이고 △"#$△"$%이므로

Å@@Å@@"/“

∴ "/“





DN ③

0523

① △1"# △1$%Å "#$%

② 점 1를 지나고 "#“와 평행한 선분을 그

B C

A P D

Q

어 #$“와 만나는 점을 2라 하면 "#21, 12$%는 모두 평행사변형이므로

△1"# △1$%

Å "#21 12$%

Å "#$%

p.128~131

http://zuaki.tistory.com

△"#$와 △'&$에서

"$“'$“, ∠"$#±∠&$"∠'$&, #$“&$“

㉠, ㉡에서 △"#$f△%#&f△'&$이므로

"'“'$“%&“, %"“%#“'&“

따라서 "'&%는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

사변형이다. ⑤ ②

0528

"#$%가 평행사변형이므로 "1“∥$2“이다.

즉, "2“∥1$“가 되려면 "1$2가 평행사변형이어야 한다.

∴ "1“$2“

이때 점 2가 점 $를 출발한 지 U초 후에 두 점 1, 2가 움직인 거리는 각각   U DN, U DN이므로

"1“  U DN, $2“U DN

"1“$2“이어야 하므로

  UU,  UU, U, U

따라서 처음으로 "2“∥1$“가 되는 것은 점 2가 점 $를 출발한

지 초 후이다. ④

0529

△"#)와 △%')에서

이므로 △"#)f△%') "4" 합동

∴ ")“%)“Å"%“"#“

△"#(와 △&$(에서

이므로 △"#(f△&$( "4" 합동

∴ #(“$(“Å#$“"#“

따라서 ")“∥#(“, ")“#(“이므로 "#()는 평행사변형이다.

이때 △"#( DN™A이므로

△%')△&$( DN™A

)($% "#()△"#(@ DN™A

△1()Å△"#(Å? DN™A

∴ △1(' △1() )($% △%') △&$( 

    DN™A ③

0 530

⑴ ± ⑵ ± 

⑶ ± ⑷ ±

p.134~139

02

여러 가지 사각형

0 531

⑴  ⑵  

⑶  ⑷ 

0 532

±, ± ±

0 533

%$“ #$“ 444, ∠"%$,

∠%"#, ∠%"#, ∠"%$

0 534

⑴  ⑵  

⑶  ⑷ 

0 535

⑴ ± ⑵ ± 

⑶ ± ⑷ ±

0 536

⑴ %$“ ⑵ "%“

0 537

"0“, ∠"0%, 0#“ 4"4, "%“, %$“, "%“

0 538

⑴  ⑵  

⑶  ⑷ 

0 539

⑴ ± ⑵ ±

0 540

⑴ × ⑵  

⑶ × ⑷

0 541

⑴ × ⑵  

⑶  ⑷ ×

0 542

⑴ ± ⑵ ± 

⑶ ± ⑷ ±

0 543

⑴ ± ⑵ ± 

⑶ ± ⑷ ±

0 544

⑴  ⑵  

⑶  ⑷ 

0 545

⑴  ⑵  

⑶  ⑷ 

http://zuaki.tistory.com

0557

△"$%에서 ∠Y±±±이고, ∠Z±

∴ ∠Y ∠Z± ±±

0558

"&“&$“이므로 ∠&$"∠&"$

B E C

A D

△"#$에서 ∠&"$±이므로

∠&"$±

따라서 △&$"에서 ∠"&$±@±± ③

0559

#%“"$“ DN이므로 YÅ@

△0$%에서 0$“0%“이므로 ∠0%$∠0$%Z±

∴ Z

∴ Y Z 

0560

④ 4"4

0561

△0#$에서 0#“0$“이므로 ∠Y±

△#$%에서 ∠Z±±±

∴ ∠Z∠Y±±±

0562

⑴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Y Y, Y, Y … ❶

⑵ %0“@이므로 … ❷

 #%“%0“@ … ❸

채점 기준 배점

Y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0“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563

④ ∠"#$∠%$#± ④

0564

③ "0“%0“이면 "$“#%“이므로 "#$%는 직사각 형이다.

④ ∠"∠#이면 ∠" ∠#±에서 ∠"∠#±이므 로 "#$%는 직사각형이다.

⑤ 평행사변형의 성질이다. ⑤

0565

ㄴ. "$“#%“ DN이므로 "#$%는 직사각형이 다.

ㄷ. 평행사변형의 한 내각의 크기가 ±이므로 "#$%는 직 사각형이다.

따라서 평행사변형 "#$%가 직사각형이 되는 한 조건으로 옳

은 것은 ㄴ, ㄷ이다. ④

0556

#&“%&“이므로 ∠&#%∠&%#

△#$%에서 ∠&%#±이므로 ∠&%#±

따라서 △&%#에서 ∠Y∠&%#@±± ① p.140~155

0 546

⑴ × ⑵  

⑶ × ⑷

0 547

⑴ 직사각형 ⑵ 마름모 

⑶ 정사각형 ⑷ 정사각형

0 548

사각형 성질

평행

사변형 직사각형 마름모 정사각형 등변

사다리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 한다.

◯ ◯ ◯ ◯ ×

길이가

같다. × ◯ × ◯ ◯

수직으로

만난다. × × ◯ ◯ ×

0 549

⑴ 평행사변형 ⑵ 평행사변형 

⑶ 마름모 ⑷ 직사각형

⑸ 정사각형 ⑹ 마름모

0 550

⑴ △%#$ ⑵ △"$%

0 551

⑴  DN™A ⑵  DN™A

0 552

⑴  DN™A ⑵  DN™A

0 553

⑴  DN™A ⑵  DN™A 

⑶  : 

0 554

⑴  :  ⑵  DN™A 

⑶  DN™A

0 555

 DN™A

http://zuaki.tistory.com

0566

"#“∥$%“, "#“$%“이므로 "#$%는 평행사변형이 다.

이때 0#“0$“이므로 "$“#%“이다.

따라서 "#$%는 직사각형이다. 직사각형

0567

△$%#에서 $%“$#“이므로 ∠$#%∠$%#±

∴ ∠"∠$±@±± ③

0568

∠" ∠#±이므로

∠#±∠"±±±

이때 "#“#$“이므로 △"#$는 정삼각형이다.

∴ "$“"#“ DN ①

0569

△$%#에서 $%“$#“이므로

∠$%#Å@ ±±±

따라서 △1)%에서

∠"1#∠%1)± ± ±± ②

0570

△#$&는 정삼각형이므로 ∠&#$∠&$#±

∠"#$± ±±이고 ∠"#$ ∠#$%±이므로

∠#$%±∠"#$±±±

∴ ∠&$%∠#$%∠&$#±±± ④

0571

△"#0에서 ∠"0#±이므로 Y

%0“#0“이므로 Z

∴ Y Z 

0572

③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지만 길이

가 항상 서로 같은 것은 아니다. ③

0573

③ 444

0574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로

YY에서 Y … ❶

ZZ에서 Z, Z

… ❷

Y이므로 "0“@에서 "$“"0“@ … ❸ Z이므로 #0“에서 #%“#0“@

… ❹

∴ 마름모 "#$%의 넓이 Å?"$“@#%“ 

Å@@ … ❺

채점 기준 배점

Y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Z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마름모 "#$%의 넓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575

∠" : ∠# : 이므로

B

E C F A

∠#∠#"& D

∠" ∠#±이므로

∠#±, ∠#±

따라서 △"'%에서 ∠%"'±, ∠%∠#±이므로

∠"'$∠%"' ∠%± ±± ④

0576

② ∠#"0∠"#0이면 0"“0#“, 즉 "$“#%“이 므로 "#$%는 직사각형이다.

③ 한 내각의 크기가 ±인 평행사변형은 직사각형이다.

④ ∠0"#∠0"%이면 ∠0"#∠0"%∠0$#∠0$%

이므로 △"#$에서 "#“#$“

즉,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는 마름모이 다.

⑤ 0"“0%“이면 "$“#%“이므로 "#$%는 직사각형이다.

①, ④

0577

0"“0$“, 0#“0%“이므로 "#$%는 평행사변형이 다. 이때 "$“⊥#%“이므로 "#$%는 마름모이다.

∴ "%“"#“ DN ⑤

[별해] △0"#f△0"% 4"4 합동이므로

"%“"#“ DN

0578

① "#“"%“이므로 "#$%는 마름모이다.

②, ⑤ 평행사변형의 성질이다.

③ 평행사변형의 한 내각의 크기가 ±이므로 "#$%는 직사 각형이다.

④ "$“⊥#%“이므로 "#$%는 마름모이다. ①, ④

0579

△"%&와 △$%&에서

"%“$%“, ∠"%&∠$%&±, %&“는 공통이므로

△"%&f△$%& 4"4 합동

따라서 △$%&에서 ∠%$&∠%"&±, ∠$%&±이 므로 ∠Y∠%$& ∠$%&± ±±

0580

△"$&에서 "$“"&“이므로

∠"$&Å@ ±±±

http://zuaki.tistory.com

문서에서 문제기본서 22 (페이지 47-6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