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형의 닮음

문서에서 문제기본서 22 (페이지 62-85)

http://zuaki.tistory.com

0 669

⑵ × 

⑶  ⑷ ×

⑸ × ⑹

0 670

⑴  :  ⑵  :  

⑶  :  ⑷  : 

0 671

⑴  :  ⑵  DN 

⑶ ±

0 672

⑴  :  ⑵  DN 

⑶ ±

0 673

⑴  :  ⑵  DN 

⑶  DN

0 674

⑴  :  ⑵  DN 

⑶ ±

0 675

⑴  :  ⑵  DN 

⑶  DN

0 676

⑴  :  ⑵ 

0 677

, &'“ , "$“ , 444

0 678

, #$“ , ∠&, 4"4

0 679

∠%, ± ∠$, ± ""

0 680

△"#$v△./0 444 닮음

△%&'v△123 "" 닮음 

△()*v△+,- 4"4 닮음

0 681

⑴ ∠#)", ∠#, "", #$“ #$“ BY

⑵ ∠")$, ∠$, "" "$“ BZ 

⑶ ∠#)", ∠)"$, "", $)“ $)“ YZ

0 682

⑴  ⑵  

⑶  ⑷ 

⑸  ⑹ 

0683

"#$%v &'()이므로 #$“의 대응변은 '(“, ∠)

의 대응각은 ∠%이다. ③

0684

⑤ 면 %&'에 대응하는 면은 면 %&'이다. ⑤

0685

⑤ 그림의 두 직육면체는 닮은 도형이 아니다. ⑤

4cm 6cm

2cm 4cm

3cm 3cm

0686

그림의 두 도형은 닮은 도형이 아니다.

3cm 2cm

30æ

5cm 4cm

2cm 2cm

60æ 45æ

따라서 항상 닮은 도형인 것의 개수는 ㈎, ㈒, ㈓의 개이다.

0687

그림의 두 도형은 닮은 도형이 아니다.

40æ

40æ

60æ

πcm πcm

6cm

3cm 3cm

5cm

3cm 2cm

4cm 6cm

0688

① #$“ : '(“ :  : 이므로

 : &'“ : , &'“ ∴ &'“ DN

② ∠#∠'±

③ ∠%± ± ± ±±

④ ∠(∠$±

⑤ "%“ : &)“#$“ : '(“ :  :  ⑤

0689

△"#$와 △%&'의 닮음비는

"$“ : %'“ :  : 이므로

Y :  : , Y, Y

∠&∠#±이므로 Z  

∴ Y Z 

p.171~183

http://zuaki.tistory.com

∴ &)“ DN ③

0698

닮음비는 "%“ : '•*• :  : 

"#“ : '(“ : 에서 Y :  : , Y, Y

#$“ : ()“ : 에서  : Z : , Z

∴ Y Z  

0699

닮음비는 대응하는 모서리의 길이의 비와 같으므로 두 삼각기둥 1, 2의 닮음비는

#$“ : #$“&'“ : #$“ :  :  … ❶

"$“ : "$“ : 이므로 Y :  : 

∴ Y … ❷

#&“ : #&“ : 이므로  : Z : , Z

∴ Z … ❸

채점 기준 배점

두 삼각기둥 1, 2의 닮음비를 바르게 구한 경우 

Y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Z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0700

닮음비는 '(“ : '(“'(“ : "%“ :  : 

"#“ : "#“"#“ : )(“ : 에서

Y :  : , Y, Y

#'“ : #'“%)“ : #'“ : 에서

 : Z : , Z, Z

∴ Y Z 

0701

두 원기둥 ", #의 닮음비는  :  :  원기둥 "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S DN라 하면

S :  : , S, S

따라서 원기둥 "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⑤

0702

두 원기둥 ", #의 닮음비는  :  :  원기둥 #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S DN라 하면

 : S : , S, S

따라서 원기둥 #의 밑면의 둘레의 길이는 L@L DN ③

0703

두 원뿔 ", #의 닮음비는  :  :  원뿔 #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S DN라 하면

 : S : , S, S

따라서 원뿔 #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①

0704

두 원뿔 ", #의 닮음비는  :  : 

0690

⑴ 닮음비는 대응변의 길이의 비와 같으므로

"%“ : &)“ :  :  … ❶

⑵ #$“ : '(“ : 이므로  : '(“ : ,  '(“

∴ '(“ DN … ❷

⑶ ∠'∠#± … ❸

채점 기준 배점

"#$%와 &'()의 닮음비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크기를 바르게 구한 경우 

0691

① "#“ : '(“ :  : 이므로

$%“ :  : ,  $%“

∴ $%“ DN

②  : '•+• : 이므로 '•+• DN

③ ∠&∠+±

④ ∠)∠$±

⑤ 닮음비는 "#“ : '(“ :  :  ②

0692

"#$%와 %"&'의 닮음비는

"#“ : %"“ :  : 이므로  : %'“ : ,  %'“

∴ %'“ DN ③

0693

 : %&“ : ,  %&“, %&“ DN

 : %'“ : ,  %'“, %'“ DN

따라서 △%&'의 둘레의 길이는    DN ③

0694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 DN라 하면

S :  : , S, S

따라서 원 0의 둘레의 길이는 L@L DN ③

0695

$%“ :  : ,  $%“, $%“ DN

0696

① 두 삼각기둥 1, 2의 닮음비는

"#“ : ()“ :  : 

② #&'$에 대응하는 면은 ),-*이므로

#&'$v ),-*

③ #$“ :  : ,  #$“, #$“ DN

④ △%&'에 대응하는 면은 △+,-이므로

∠%&'∠+,-⑤  : *-• : ,  *-•, *-• DN ⑤

0697

닮음비는 #$“ : '(“ :  : 이므로  : &)“ : 

http://zuaki.tistory.com

∠%∠+±, ∠&∠,±이므로

△%&'v△+,- "" 닮음

△()*와 △123에서

()“ : 12“ :  : , )•*• : 23“ :  : ,

∠)∠2±이므로

△()*v△123 4"4 닮음 ①

0712

② △"#$와 △%&'에서

∠"± ± ±±∠%,

∠$∠'±이므로  

△"#$v△%&' "" 닮음 ②

0713

두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으므로 나머지 한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 또는 그 끼인 각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

즉, #$“ : &'“"#“ : %&“이거나 ∠"∠%일 때,

△"#$v△%&'가 된다. ④

0714

△"#$와 △"&%에서

"#“ : "&“   : A:A : ,

"$“ : "%“   : A:A : ,

∠"는 공통이므로 △"#$v△"&% 4"4 닮음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DN ④

0715

△#$"와 △&$%에서

#$“ : &$“ :  : , "$“ : %$“ :  : 

∠#$"∠&$% 맞꼭지각이므로

△#$"v△&$% 4"4 닮음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DN ①

0716

⑴ △"#$와 △&#%에서

"#“ : &#“   : A:A : ,

#$“ : #%“   : A:A : 

∠#는 공통이므로

△"#$v△&#% 4"4 닮음 … ❶

⑵ $"“ : %&“ : 이므로  : %&“ : ,  %&“

∴ %&“ DN … ❷

채점 기준 배점

△"#$와 닮음인 삼각형을 찾고, 그때의 닮음조건을 바

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원뿔 "의 반지름의 길이를 S DN라 하면

S :  : , S

따라서 원뿔 "의 밑면의 둘레의 길이는L@L DN ③

0705

물이 채워진 부분과 그릇은 서로 닮은 도형이고, 그릇에 높이의 !만큼 물을 채웠으므로 물이 채워진 부분과 그릇의 닮 음비는  : 이다.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S DN라 하면

S :  : , S, S

따라서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DN이므로 수면의 넓이는

L@™AL DN™A ③

0706

④ 닮은 두 입체도형에서 대응하는 면은 서로 닮은 도형 이지만 넓이가 서로 같다고는 할 수 없다. ④

0707

① 모든 원은 항상 닮은 도형이다.

③ 그림의 두 원기둥은 서로 닮은 도

4cm 2cm

5cm 2cm

형이 아니다.

④ 넓이가 같아도 모양이 다른 두 평 면도형은 서로 닮음이 아니다.

②, ⑤

0708

주어진 삼각형과 ⑤의 삼각형의 두 쌍의 대응변의 길이 의 비가 같고, 그 끼인 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두 삼각형은 4"4

닮음이다. ⑤

0709

① 444 닮음 ② "" 닮음

③ ∠&± ± ±±∠#이므로 "" 닮음이다.

④ 4"4 닮음

⑤ #$“와 $"“의 끼인 각은 ∠$, &'“와 '%“의 끼인 각은 ∠'이다.

0710

ㄱ, ㄹ. △"#$와 △+-,에서

"$“ : +,• :  : , #$“ : -,“ :  : 

∠$∠,±이므로 △"#$v△+-, 4"4 닮음

따라서 서로 닮은 삼각형은 ㄱ, ㄹ이다. ②

0711

△"#$와 △./0에서

"#“ : ./“ :  : , #$“ : /0“ :  : 

$"“ : 0.“ :  : 이므로 △"#$v△./0 444 닮음

△%&'와 △+,-에서

http://zuaki.tistory.com

0723

△"#$와 △%&'에서

∠&%' ∠#"% ∠"#%

∠#"% ∠$"'∠#"$ UU ㉠

∠%&' ∠$#& ∠#$&

∠$#& ∠"#%∠"#$ UU ㉡

㉠, ㉡에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 DN ②

0724

△"#$와 △%&"에서

"#“∥&%“이므로 ∠#"$∠&%" 엇각

"&“∥#$“이므로 ∠"$#∠%"& 엇각

∴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 "$“ DN ③

0725

△#$"와 △%&"에서

#$“∥&%“이므로 ∠$#"∠&%" 엇각,

∠#$"∠%&" 엇각

∴ △#$"v△%&" "" 닮음 이때 "#“ : "%“"$“ : "&“이므로

 :  YA:A, Y, Y

∴ Y

0726

△"#$와 △"%'에서

∠"는 공통, #&“∥%'“이므로 ∠"#$∠"%' 동위각

∴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 DN ①

0727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DN

∴ &$“#$“&#“











DN ③

0728

△"%&와 △"$#에서

B C F

D E A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UU ㉠

△"$#와 △'%#에서

0717

△"#$와 △%"$에서

"$“ : %$“ :  :  : , #$“ : "$“ :  : ,

∠$는 공통이므로 △"#$v△%"$ 4"4 닮음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DN ⑤

0718

△"#$와 △%#"에서

"#“ : %#“ :  : ,

#$“ : #"“   :A :  : ,

∠#는 공통이므로 △"#$v△%#" 4"4 닮음 따라서 $"“ : "%“ : 이므로  : "%“ : ,  "%“

∴ "%“ DN ⑤

0719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이므로

 $%“

∴ $%“ DN ①

0720

△"#$와 △#$%에서

∠#"$∠$#%, ∠"$#∠#%$이므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DN ②

0721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DN ②

0722

⑴ △"#$와 △"$%에서

∠"는 공통, ∠"#$∠"$%이므로

△"#$v△"$% "" 닮음 … ❶

⑵ "#“ : "$“#$“ : $%“에서  :  : $%“이므로

 $%“ ∴ $%“ DN … ❷

채점 기준 배점

△"#$와 닮음인 삼각형을 찾고, 그때의 닮음조건을 바

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http://zuaki.tistory.com

0733

△"%#와 △#&$에서

∠"%#∠#&$±,

∠%"# ∠"#%∠&#$ ∠"#%±이므로

∠%"#∠&#$ ∴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 DN ④

0734

△"01와 △"%$에서

∠"01∠"%$±, ∠"는 공통이므로

△"01v△"%$ "" 닮음 따라서 "0“ : "%“"1“ : "$“에서

 : "1“ :  ,  "1“

∴ "1“





DN ⑤

0735

△"#&와 △"%'에서

∠"&#∠"'%±, ∠"#&∠"%'이므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DN ②

0736

△"&%와 △.&#에서 므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이므로

&%“



 

@ DN ①

0737

△#'&와 △$%&에서 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이고,

#$“"%“ DN이므로 $&“



 

@ DN ⑤

0738

⑴ △#'&와 △%'$에서

∠#'&∠%'$ 맞꼭지각,

∠'#&∠'%$ 엇각이므로

△#'&v△%'$ "" 닮음 … ❶

⑵ '#“ : '%“#&“ : %$“에서  : '%“ : 

∴ '%“ DN … ❷

⑶ #'“ DN, '%“ DN이므로

 #%“#'“ '%“  DN … ❸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UU ㉡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UU ㉢ 따라서 ㉠, ㉡, ㉢에서 △"%&v△"$#v△'%#v△'$&

0729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 ❶ 이때 $%“ : $&“"$“ : #$“에서 $%“ :  : 이므로  $%“ ∴ $%“





DN … ❷

채점 기준 배점

△"%$와 △#&$가 닮음임을 바르게 설명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730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Y DN라 하면 #$“ : %'“"$“ : "'“에서

 : Y : Y, YY, Y, Y





∴ %&$'[





]A





DN™A ④

0731

△"%'와 △&$'에서

∠"%'∠&$'±, ∠"'%∠&'$ 맞꼭지각이므로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DN ①

0732

①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② △"#$와 △%&"에서 ∠"$#∠%"&±,

∠#"$∠&%" 동위각이므로

△"#$v△%&" "" 닮음

③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④ △"#$와 △&"$에서 ∠"$#∠&$"±,

∠"#$ ∠#"$∠&"$ ∠#"$±에서

∠"#$∠&"$이므로 △"#$v△&"$ "" 닮음 ⑤

http://zuaki.tistory.com

채점 기준 배점

△#'&와 닮음인 삼각형을 찾고, 그때의 닮음조건을 바

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739

"%“™A#%“@$%“이므로 ™AZ, Z





"#“™A#%“@#$“이므로

Y™A 



@[





], Y™A





, Y





∵Y

∴ Y Z



 









 ⑤

0740

#$“™A#%“@#"“이므로

™A@  "%“,   "%“,  "%“

∴ "%“ DN ②

0741

"$“™A$%“@#$“이므로 ™A #$“, #$“ DN

"%“™A#%“@$%“이므로 "%“™A @, "%“™A

"%“ DN ∵"%“

∴ △"#$Å@@ DN™A ③

0742

△"$%에서 %'“™A"'“@$'“이므로

™A "'“, "'“ DN

∴ "#$% △"$%@<Å@  @=

 DN™A ④

0743

△"#$에서 "$“@#%“"#“@#$“이므로

 #%“@, #%“





DN

△%#$에서 %#“™A#&“@#$“이므로 [





]A #&“

∴ #&“





DN ③

0744

⑴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중점은 직각삼각형의 외심이므 로 점 .은 △"#$의 외심이다.

∴ ".“#.“$.“Å#$“ 

… ❶

⑵ .%“#%“#.“ DN … ❷

⑶ △%".에서 %.“ ™A.)“@".“이므로

™A .)“, .)“





DN

∴ ")“".“.)“











DN … ❸

채점 기준 배점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745

△"#'와 △%'&에서

∠"∠%±

∠"#' ∠"'#∠%'& ∠"'#±이므로

∠"#'∠%'&

∴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 ,  %'“

∴ %'“ DN ②

0746

△"&#와 △1"$에서

∠#∠$±

∠"&# ∠&"#∠1"$ ∠&"#±이므로

∠"&#∠1"$

∴ △"&#v△1"$ "" 닮음 이때 #$“"#“  DN 이므로 "$“ DN

&"“ : "1“&#“ : "$“에서

 : "1“ : ,  "1“

∴ "1“ DN ③

0747

⑴ △%#&와 △&$'에서

∠#∠$± 

∠#%& ∠#&%∠$&' ∠#&%±이므로

∠#%&∠$&'

∴ △%#&v△&$' "" 닮음 … ❶

 %#“ : &$“%&“ : &'“에서  :  : &'“, &'“, &'“





DN … ❷

∴ "'“&'“





DN … ❸

채점 기준 배점

△%#&와 닮음인 삼각형을 찾고, 그때의 닮음조건을 바

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748

#$“"#“  DN, #&“AA&$“AA이므로

$&“



 

@





@ DN

http://zuaki.tistory.com

△%#&와 △&$'에서 ∠#∠$±

∠#%& ∠#&%∠$&' ∠#&%±이므로

∠#%&∠$&'

∴ △%#&v△&$' "" 닮음

따라서 %#“ : &$“%&“ : &'“에서  :  : &'“이므로

 &'“, &'“





DN

∴ "'“&'“





DN ④

0749

"%“∥#$“이므로 ∠1%#∠%#$ 엇각

∠1#%∠%#$ 접은 각 ∴ ∠1#%∠1%#

즉, △1#%는 1#“1%“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2“%2“





 DN

△1#2와 △%#$에서

∠12#∠%$#±, ∠1#2∠%#$이므로

△1#2v△%#$ "" 닮음

따라서 12“ : %$“#2“ : #$“에서 12“ :  : ,  12“

∴ 12“





DN ④

△"#$와 △%$#에서

"#“%$“, ∠"#$∠%$#, #$“는 공통이므로

△"#$f△%$# 4"4 합동

△"#%와 △%$"에서

"#“%$“, ∠#"%∠$%", "%“는 공통이므로

△"#%f△%$" 4"4 합동

△"#&와 △%$&에서

∠"#&∠%$&, "#“%$“, ∠#"&∠$%&이므로

△"#&f△%$& "4" 합동

따라서 서로 닮은 삼각형은 모두 쌍이다. ④

0753

다장조의 ‘도’ 소리를 낸 하프와 도 높은 ‘파’ 소리를 낸 하프의 줄의 길이의 비는  : 이다.

이때  :  : ,  :  : 이므로 ‘도’보다 도 높은 ‘솔’

소리를 낸 하프의 줄의 길이와 도 높은 ‘파’ 소리를 낸 하프의

줄의 길이의 비는  : 이다. ③

0754

일차함수 ZY 의 그래프 y

y=2x+6

2x-y=4

O x

A C

6B

D

-3 2

-4

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고, 일차 방정식 YZ의 그래프의 Y절편은

, Z절편은 이므로 두 그래프를 그 리면 그림과 같다.

따라서 △"0#와 △$0%의 닮음비는

"0“ : $0“ :  ③

0755

가장 작은 인형과 가장 큰 인형의 닮음비는  : 이므로 가장 큰 인형의 높이를 I DN라 하면

 : I : , I

따라서 가장 큰 인형의 높이는  DN이다. ④

0756

" 용지의 짧은 변의 길이를 B라 하면 " 용지의 짧은 변의 길이는



 B이고, " 용지의 짧은 변의 길이는

Å@ÅB



 B이다.

따라서 " 용지와 " 용지의 닮음비는 B :



 B : 

0757

처음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Y라 하면 [단계]에서 지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Y이고, [단계]에서 지운 정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Å@ÅY[





]AY이다.

즉, [O단계]에서 지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ŠAY이므로

0750

그림의 두 도형은 닮음이 아니다.

ㄴ. 30æ

60æ

ㄹ. 6cm

5cm

8cm 4cm

ㅁ. 70æ

120æ

따라서 항상 닮은 도형인 것은 ㄱ, ㄷ, ㅂ이다. ②

0751

① 444 닮음

② 세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일정한 것이므로 444 닮음

③ "" 닮음

④ 두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그 끼인 각의 크기 가 같은 것이므로 4"4 닮음

⑤ "#“와 "$“의 끼인 각은 ∠", %&“와 %'“의 끼인 각은 ∠%이

다. ⑤

0752

△"&%와 △$&#에서

△"&%v△$&# "" 닮음

p.184~187

http://zuaki.tistory.com

0761

직선 L와 대각선 #%의 교점을

A H

B C

D

k l m n

)라 하면 #)“





@ DN,

%)“#%“#)“ DN 이때 ")“™A#)“@%)“이므로

")“™A@, ")“™A, ")“ DN ∵")“

∴ "#$%△"#%@[





@@] DN™A ⑤ [단계]에서 지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AAY이고, [단계]에서 지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AAY이다.

따라서 [단계]에서 지운 한 정삼각형과 [단계]에서 지운 정 삼각형의 닮음비는

[





]AAY : [





]AAY : 

0758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이때 "&“ : #'“")“ : #)“에서  : #'“ : 이므로

 #'“, #'“ DN 또, △#)'와 △$)(에서

∠'#)∠($)±, ∠)는 공통이므로

△#)'v△$)( "" 닮음 이때 #'“ : $(“#)“ : $)“에서

∴ $(“  DN ④

0759

"#“B라 하면 #$“B이므로

#1“



 

@B!B, 1$“



 

@BB

△"#1와 △1$2에서

"#“"$“이므로 ∠#∠$,

△"#1에서 ∠# ∠#"1∠"12 ∠$12이므로

∠#"1∠$12

∴ △"#1v△1$2 "" 닮음

이때 "#“ : 1$“1#“ : 2$“에서 B : B!B : 2$“이므로

B@2$“



 B™A, 2$“ 

 B

이때 "$“"#“B이므로 "2“"$“2$“B



 B 

 B

∴ "2“ : 2$“



 B : 

 B : 

0760

△"#&와 △$#%에서 ∠"#&∠$#%,

∠"&#±∠"&%±∠"%&∠$%#

∴ △"#&v△$#% "" 닮음

이때 "#“ : $#“#&“ : #%“에서  : #&“ : #&“ 이므 로  #&“ #&“ ,  #&“

∴ #&“ DN ⑤

0 762

∠", ∠"%&, ""

0 763

∠'&$, ∠&$', "", &'“ &$“ &'“

0 764

⑴  ⑵  

⑶  ⑷ 

0 765

⑵ × 

⑶ × ⑷

0 766

∠"&$, ∠"$&, ∠"$&, "$“ %$“

0 767

⑴  ⑵ 

0 768

∠'"%, 엇각, 이등변삼각형, "$“ "&“

0 769

⑴  ⑵ 

0 770

"$“ ∠" 4"4 ∠"#$, 

0 771

⑴  ⑵ 

0 772

.#“ 

0 773

⑴  ⑵ 

p.190~194

02

평행선 사이의 선분의 길이의 비

2

http://zuaki.tistory.com

채점 기준 배점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의 길이를 바르게 구한 경우 

0785

 :   : #$“이므로  #$“, #$“DN

%#“∥&'“, %&“∥#'“이므로 %#'&는 평행사변형이다.

∴ #'“%&“ DN

∴ '$“#$“#'“ DN ②

0786

 : Y : 이므로 Y, Y

 : Z : 이므로 Z, Z

∴ Y Z 

0787

A:AA:AY이므로 Y, Y

ZA:AA:A이므로 Z, Z

∴ Y Z 

0788

#$“∥&%“이므로 "%“A:A"#“%&“A:A#$“에서

A:AYA:A  , Y ∴ Y … ❶

"#“∥'(“이므로 $(“A:A$#“'(“A:A"#“에서

A:A  ZA:A, Z ∴ Z … ❷

∴ Y Z  … ❸

채점 기준 배점

Y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Z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Y Z의 값을 바르게 구한 경우 

0789

"&“A:A$&“"%“A:A$#“이므로 "&“A:A$&“A:AA:A

이때 &'“A:A"%“$&“A:A$"“이므로

&'“A:A"%“A:A  A:A

따라서 &'“A:AA:A이므로  &'“에서 &'“ DN ⑤

0790

A:A  YA:A이므로

  Y,  Y, Y, Y

A:AA:AZ이므로 Z, Z

∴ Y Z 

0791

%1“A:AA:A이므로  %1“

∴ %1“ DN ①

0792

A:AA:A  &$“이므로

  &$“,   &$“,  &$“

0780

 :  : Y이므로 Y, Y

 :   : Z이므로 Z, Z

∴ Y Z 

0781

④ "#“ : "%“"$“ : "&“ ④

0782

#"“ : "%“#$“ : $&“이므로

 "%“ : "%“ : ,  "%“ "%“,  "%“

∴ "%“ DN ③

0783

 : Y   : 이므로 Y, Y

 :  Z : 이므로 Z, Z





∴ YZ@





 ②

0784

⑴ 평행사변형의 두 쌍의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으므로

%$“"#“DN … ❶

⑵ '$“ : '%“$&“ : %"“이므로  :  $&“ : ,  $&“

∴ $&“ DN … ❷

⑶ #$“"%“ DN, $&“ DN이므로

#&“#$“$&“ DN … ❸ p.195~209

0 774

⑴  :  ⑵  :  

⑶  :  ⑷  : 

0 775

⑴  ⑵  

⑶  ⑷ 

0 776

"4", &/“ #&“ #&“ "%“

0 777

⑴  DN ⑵  DN 

⑶  DN

0 778

⑴  DN ⑵  DN 

⑶  DN ⑷  DN

0 779

⑴  DN ⑵  :  

⑶  DN ⑷  DN

http://zuaki.tistory.com

문서에서 문제기본서 22 (페이지 62-8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