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수도권 시군구 단위 분석

① 수도권 비도시지역 LUM 분석 (n=9)

수도권 내 비도시지역을 대상으로 9종의 토지이용상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김포 시, 평택시, 화성시, 여주시에서 최고점을 보였다. 대체로 수도권 서부지역(김포 등), 남부지역(화성, 평택 등), 서남부지역(여주, 이천 등)이 LUM이 높은 편으로 났다.

이는 이 지역이 토지이용행태가 다양하고 용도간의 혼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 한다.

24) 국토교통부, 2014년도, 「개별공시지가 토지특성정보 관리」.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 market.nsdi.go.kr

그림 3-4 수도권 비도시지역 LUM(n=9)

※ 단일 용도일 경우 0, 용도가 모두 동일한 비율일 경우 1 출처: 저자 작성

② 수도권 비도시지역 LUM 분석(n=3)

수도권 내 비도시지역을 대상으로 3개의 토지이용상황에 대하여만 선택적으로 분석 (토지이용상황 값이 주거, 상업, 공업인 경우만 추출)한 결과, 대체로 수도권 서부지 역(김포 등), 남부지역(화성, 안성 등) 외에도 포천과 양주 일대에도 LUM값이 상대적 으로 높았다.

그림 3-5 수도권 비도시지역 LUM(n=3)

※ 단일 용도일 경우 0, 용도가 모두 동일한 비율일 경우 1 출처: 저자 작성

(2) 안성시 읍면동 단위 분석

① 안성시 토지이용 분산 분석(Moran’s I)

안성시를 대상으로, 주거, 상업, 공업에 대하여 입지분포 패턴을 분석하였다.

주거용도는 강한 공간자기상관을 보이며 커널분석을 통한 밀도 또한 일정 형태의 중 심을 갖고 밀집하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용도는 주거와 비슷한 수준의 강한 공 간자기상관성을 가졌다. 공업용도는 약한 공간자기상관성을 보이며 이는 안성시 공도 읍 내 규모 있는 공단 등이 부재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특히, 커널 추정결과를 중첩하여본 결과, 주거와 상업은 밀집지역이 겹쳐서 위치하는데 비해, 주거와 공업은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3-6 안성시의 Global Moran’s I 및 용도별 커널 추정 결과

주거 (Moran’s I : 0.419967) 상업 (Moran’s I : 0.377515)

공업 (Moran’s I : 0.325897) 녹지 (Moran’s I : 0.372332)

출처: 저자 작성

그림 3-7 안성시의 용도별 커널 추정 결과의 중첩

주거 및 상업 주거 및 공업

출처: 저자 작성

② 안성시 토지이용 혼재(LUM) 분석(n=3)

안성시를 대상으로 3종의 토지이용상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공도읍 및 안성동 등 도시지역이 대체로 LUM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주거와 상업, 공장 등의 시설이 도시 지역에서 모두 분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금광면, 삼죽면 등의 지역에서는 LUM 값이 낮게 산출되어 아직까지 용도의 혼재양상은 상대적으로 덜한 것으로 보인다. 반 면, 같은 면지역이라고 하더라도 미양면, 일죽면, 양성면 등은 LUM이 비교적 높게 산출되어, 용도의 혼재양상이 보이고 있다.

그림 3-8 안성시 LUM (n=3)

출처: 저자 작성

③ 안성시 토지이용 분산-혼재지표 연계 분석

안성시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토지이용분산지표(Moran’s I)와 토지이용혼재지표 (LUM)를 바탕으로 연계분석을 실시하였다. Moran’s I 분석은 주거, 공업, 상업 목적 의 토지이용에 대해 각각 분석하였으며, LUM은 3종의 토지용도를 기준으로 읍면동 별로 도출하였다.

Moran’s I와 LUM을 연계하여 분석한 결과, 미양면 일대는 LUM값이 높으나, 주거 시설의 Moran’s I가 높게 산출되며, 공업시설의 Moran’s I도 평균 이상의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이는 미양면 일대에 다양한 시설이 입지하고 있지만, 주거시설과 공장시 설이 적절히 집단화되어 있어, 주거환경은 양호할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실제로 주거시설과 공장시설 간 인접 또는 근접입지 여부에 대해서는 분석이 되지 않기 때문에, 버퍼 단위 분석 등에서 거리를 기반으로 한 별도의 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림 3-9 주거목적의 토지이용의 분포양상과 토지이용혼재지표와의 비교 (안성)

출처: 저자 작성

그림 3-10 상업 목적의 토지이용의 분포양상과 토지이용혼재지표와의 비교 (안성)

출처: 저자 작성

그림 3-11 공업 목적의 토지이용의 분포양상과 토지이용혼재지표와의 비교 (안성)

출처: 저자 작성

표 3-2 안성시의 토지이용분산과 혼재 지표

LUM Global Moran's I

k = 9 (전체 용도)

k = 3 (주거, 상업, 공업)

k = 2

(주거, 공업) 주거 상업 공업

안성1동 0.726 0.692 0.348 0.218 0.249 0.071 안성2동 0.789 0.629 0.292 0.360 0.361 0.017 안성3동 0.790 0.823 0.875 0.263 0.500 0.092 공도읍 0.732 0.892 0.808 0.655 0.566 0.164 보개면 0.615 0.926 0.948 0.366 0.110 0.054 금광면 0.375 0.650 0.514 0.260 0.126 0.033 서운면 0.647 0.843 0.983 0.249 0.146 0.058 미양면 0.731 0.835 0.931 0.716 0.147 0.133 대덕면 0.740 0.827 0.927 0.523 0.376 0.127 양성면 0.640 0.901 0.944 0.387 0.214 0.088 원곡면 0.615 0.968 0.963 0.371 0.362 0.121 일죽면 0.653 0.873 0.948 0.348 0.429 0.073 죽산면 0.596 0.881 0.957 0.330 0.319 0.072 삼죽면 0.520 0.893 0.945 0.194 0.192 0.080 고삼면 0.600 0.641 0.728 0.291 0.129 0.071 출처: 저자 작성

(3) 화성시 읍면동 단위 분석

① 화성시 토지이용 분산(Moran’s I) 분석

화성시를 대상으로 토지이용 업종별로 Moran’s I를 분석한 결과, 주거와 공업 목적 의 토지이용이 각각 0.372와 0.397으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0.282). 이는 주거와 공업 토지이용은 대체로 군집을 이루어 있는 데 비하여, 상업적 토지이용은 상대적으로 분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지역별 분석결과를 보면, 주거의 경우 매송면과 비봉면이 대체로 Global Moran’s I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일대는 낮게 산출되었다. 이는 매송면 과 비봉면이 주거의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일대는 분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상업의 경우에는 송산면, 서신면에서 군집이 관측되었으며,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 동탄면 일대는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 공업의 경우에는 서신 면일대가 Global Moran’s I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군집성이 강하게 나타며, 매송면은 반대로 군집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림 3-12 화성시의 Global Moran’s I 및 용도별 커널 추정 결과

주거 (Moran’s I : 0.385767) 상업 (Moran’s I : 0.293447)

공업 (Moran’s I : 0.388094) 녹지 (Moran’s I : 0.437034)

출처: 저자 작성

그림 3-13 화성시의 용도별 커널 추정 결과의 중첩

주거 및 상업 주거 및 공업

출처: 저자 작성

② 화성시 토지이용 혼재(LUM) 분석

화성시 읍면지역의 토지이용 혼재도는 대체로 0.7~0.9사이의 값을 보인다(n=3).

매송면 일대가 0.397로서 가장 낮으며, 서산면 일대가 0.949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이는 대채로 매송면 일대가 어느 특정용도로 몰려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토지이 용혼재 정도가 낮을 것임을 의미한다. 반대로 서산면 일대는 값이 높게 나타나, 모든 용도가 고르게 배분되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토지이용이 혼재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 미한다.

그림 3-14 화성시 LUM (n=3)

출처: 저자 작성

③ 화성시 토지이용 분산-혼재지표 연계 분석

화성시 비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토지이용분산지표(Moran’s I)와 토지이용혼 재지표(LUM)를 이용하여 연계분석을 실시하였다. Moran’s I 분석은 주거, 공업, 상 업 목적의 토지이용에 대해 각각 분석하였으며, LUM은 3종의 토지용도를 기준으로 읍면동 별로 도출하였다.

Moran’s I와 LUM을 연계하여 분석한 결과, 서신면 일대는 LUM값이 높아 다양한 시설이 입지하고 있다. 주거시설의 Moran’s I가 낮아 지역 전체에 주거시설이 흩어져 있지만, 상업과 공업의 Moran’s I가 높아 군집을 이루고 있음. 따라서 밀집된 지역을 중심으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매성면 일대는 LUM값이 낮아 특정용도를 중심으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으 며, 특히 주거의 Moran’s I도 높은 것으로 보아, 양호한 주거밀집지역이 형성되어 있 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공업의 Moran’s I가 낮아서, 향후 주거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인근에 공장 등이 들어서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안성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제로 주거시설과 공장시설 간 인접 또는 근접 입지 여부에 대해서는 분석이 되지 않기 때문에, 버퍼 단위 분석 등에서 거리를 기반으 로한 별도의 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림 3-15 주거목적의 토지이용의 분포양상과 토지이용혼재지표와의 비교 (화성)

그림 3-16 상업 목적의 토지이용의 분포양상과 토지이용혼재지표와의 비교 (화성)

출처: 저자 작성

그림 3-17 공업 목적의 토지이용의 분포양상과 토지이용혼재지표와의 비교 (화성)

출처: 저자 작성

표 3-3 화성시의 토지이용분산과 혼재 지표

LUM Global Moran's I

k = 9 (전체 용도)

k = 3 (주거, 상업, 공업)

k = 2

(주거, 공업) 주거 상업 공업

봉담읍 0.749 0.814 0.917 0.406 0.251 0.368 우정읍 0.714 0.778 0.920 0.354 0.310 0.381 향남읍 0.799 0.900 0.996 0.434 0.338 0.418 남양읍 0.703 0.890 0.990 0.389 0.283 0.390 매송면 0.563 0.397 0.303 0.480 0.278 0.219 비봉면 0.618 0.640 0.761 0.466 0.266 0.381 마도면 0.753 0.782 0.829 0.292 0.277 0.391 송산면 0.767 0.805 0.980 0.286 0.366 0.373 서신면 0.761 0.949 0.977 0.273 0.373 0.527 팔탄면 0.714 0.781 0.762 0.312 0.258 0.375 장안면 0.695 0.765 0.834 0.396 0.234 0.363 양감면 0.714 0.737 0.788 0.345 0.243 0.349 정남면 0.774 0.867 0.923 0.346 0.234 0.357 동탄면 0.849 0.790 0.810 0.423 0.242 0.371 주. 오산동, 청계동, 동탄면은 현재 제2동탄신도시가 개발 중이므로, 정확한 토지이용 상황이라고 보기 어려움 출처: 저자 작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