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통계분석은 사회과학 통계패키지(SPSS Win 9.0 Version)를 사용하여 문항별 신뢰도 검증을 거쳐 변수의 척도를 완성하고, 분석기법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평균차이의 검증을 위해 T-test와 F-test 를 실시하고 관련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된 6개 변수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직무스트레스의 결과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도 를 설정하였는데 이 중 조직몰입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나머지 스트레스의 원인변수로 개인적 차원의 역할과다와 집단적 차원의 조직분위기 조직구조, 그리고 스트레스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특성 별 직무스트레스의 양과 스트레스의 결과의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된 변수는 5점 척도로 구성된 리커트의 5점 척도를 사용하여 가장 높은 점수인 “매우 그렇다”는 5점, “그렇다”는 4점, “보통이다”는 3점을 주어 평 균점수로 환산하여 사용하였다. 성격에 대한 부분은 앞에서 밝힌 것과 같이 개인적 특성변수로 간주하여 A형 성격과 B형 성격을 구분하는 4점 척도로 구성된 10개의 기본문항을 가지고 점수를 합하여 27점을 기준으로 높으면 A형 성격, 낮은 응답자를 B형 성격으로 구분하였다.

제 4 장 실증연구의 결과분석

제 1 절 표본의 특성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제주대학교의 직원 중에서 청소, 수위, 선박, 운전 등에 종사하는 직원을 제외한 교내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중에서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유효표본 192표본의 응답자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4-1>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4 -1> 연구표본의 구성 및 특성

구 성 표 본 수 비 율

성 별 남 성 121 63.0

여 성 71 37.0

학 력

고졸 이하 35 18.2

대 졸 108 56.3

대학원졸 49 25.5

결혼여부

미 혼 29 15.1

기혼(맞벌이 아님) 72 37.5

기혼(맞벌이) 91 47.4

직 위

담 당 134 69.8

주 무 46 24.0

과장 이상 12 6.3

근무년수

5년 이하 22 11.5

5∼10년 16 8.3

10∼20년 98 51.0

20년 이상 56 29.2

남성이 121명(63%)과 여성이 71명(37%)이 조사되었고, 근무년수는 5년 이하 가 22명, 5∼10년이 16명, 10∼20년 사이 근무자가 98명, 20년 이상 장기 근속 자가 56명으로 고르게 조사되었다.

직위별로 볼 때 업무담당이 134명, 주무 46명, 과장 이상 12명이 조사되어 제주대학교 직원에 대한 전반적인 표본구성을 하여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제 2 절 변수의 신뢰성 검증

직무스트레스의 관련 변수들을 측정하면서 리커트의 5점 척도로 구성된 문항들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측정된 변수 중 성격을 측정하는 변수를 제외한 6개의 변수를 대상으로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 하였다. 아래의 <표 4-2>는 변수를 이루는 정형화된 설문지의 구성과 변수 의 척도화 에 따른 신뢰도 분석을 내적 일관성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표 4-2> 변수의 신뢰도 검증

하 부 변 수 문 항 번 호 내 적 일 관 성 (Cronbach's α) 직무스트레스양 Ⅰ - 1,2,3,4,5,6,7,8,9 0.8519 직 무 만 족 도 Ⅱ - 1,2,3,4,5,6 0.7612 조 직 몰 입 Ⅳ - 1,2,3 0.7443 조 직 구 조 Ⅳ - 4,5,6 0.7460 역 활 과 다 Ⅴ - 3,4,5,6 0.6000 조 직 분 위 기 Ⅵ - 3,4,5,6,7,8,9,10 0.8469

내적 일관성을 나타내는 크롬바하의 알파(Cronbach's α)값41)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대부분의 변수에서 내적 일관성이 0.7 또 는 0.8을 넘겨 통상적으로 요구하는 사회과학에서 0.6이상의 내적 일관성 (Cronbach's α)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위 변수에서도 모든 변수가 0.600에 서 0.85까지로 변수를 분석에 이용하는 데 문제가 없었다.

제 3 절 일반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