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방법

문서에서 에 너 지 경 제 연 구 (페이지 51-55)

북한의 연료소비 변화에 대한 요인 분석

- 45 - 45

-α = [ I0(Yt-Y0)-E0ln(Yt/Y0) ] (20) [ ( I0- It)(Yt-Y0)-(E0-Et) ln (Yt/Y0) ] βi= [ Ii, 0

Y

0(Si, t-Si, 0)-Ei, 0ln(Si, t/Si, 0) ] (21)

[ ( Ii, 0

Y

0- Ii, t

Y

t)(Si, t-Si, 0)-(Ei, 0-Ei, t) ln (Si, t/Si, 0) ] γi= [ Yi, 0(Ii, t-Ii, 0)-Ei, 0ln(Ii, t/Ii, 0) ] (22)

[ ( Yi, 0- Yi, t)(Ii, t- Ii, 0)-(Ei, 0-Ei, t) ln (Ii, t/Ii, 0) ]

이상의 5가지 방법에 대한 선택은 분석의 목적과 변수간의 관계, 잔차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Ang and Lee. 1994).

.

김경술 ․ 신정수

- 46 - 46

-1995년 북한의 GNI에 적용하여 각년도의 -1995년 기준 실질GNI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기간은 1990년∼2000년으로, 이상의 자료들도 1990년∼2000년의 시계열자료 형태로 이용되었다. 다음의 표는 본 연구에 사용된 1990년∼2000년 기간중 북한의 연료별 소비량 및 GNI 자료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북한의 GNI 및 원별, 부문별 연료 소비량

(단위 : ’95년불변 십억원, 천TOE)

연도 GNI 연료계 연료 원별 소비량 부문별 연료 소비량

석탄 석유 신탄 산업 수송 가정 상업공공

1990 21,045 12,529 9,116 2,293 1,120 8,487 437 2,059 1,546 1991 20,308 11,025 8,525 1,720 780 7,698 328 1,717 1,282 1992 19,090 10,193 8,030 1,383 780 7,174 264 1,638 1,117 1993 18,288 9,489 7,453 1,238 799 6,662 237 1,571 1,019 1994 17,904 8,725 7,112 828 785 6,255 160 1,483 827 1995 17,170 8,296 6,636 865 795 5,890 167 1,432 807 1996 16,552 7,633 5,985 857 791 5,427 163 1,292 750 1997 15,509 7,120 5,871 465 784 5,183 90 1,257 591 1998 15,339 7,030 5,394 860 776 4,954 164 1,209 703 1999 16,289 7,227 6,090 357 780 5,340 69 1,261 558 2000 16,501 7,892 6,525 587 780 5,778 113 1,326 676 자료출처 : 김경술, 2002, 남북통합 에너지 수급구조 분석연구(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과제,

2002. 12. 연구완료 예정) : 중간발표자료

3.2 연구방법

북한 연료소비량 변화에 대한 연료 원별 요인분해를 위하여, 산업생산수준 변 화, 연료소비원단위 변화, 연료대체 등을 연료소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로 상정하였다. 산업생산수준 변화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북한 GNI 변화를 이용하 였고, 연료소비원단위 변화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GNI단위당 연료소비량 ( 연료소비량

GNI

)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료대체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전체 연료 소비량에 대한 원별 연료소비량의 비중( 원별 연료소비량

연료소비총량 )을 설정하였다. 이상

북한의 연료소비 변화에 대한 요인 분석

- 47 - 47

-의 요인들과 원별 연료소비량간-의 관계는 다음-의 항등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E

i, t= Yt(

E

t (23)

Y

t ) (

E

i, t

E

t )

여기서, i : i 연료(i = 석탄, 석유, 신탄) Yt : t기의 GNI

Et : t기의 연료소비총량

위의 식에서 Yt는 생산수준(GNI)을 나타내고,

E

t

Y

t 는 연료소비원단위를,

E

i, t

E

t 는 i 연료의 연료총소비량중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E

t

Y

t = It,

E

i, t

E

t = Si, t라고 하면, 0기∼t기동안의 i 연료 소비량 변화와 각 요인들간의 관 계는 식(23)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4) ( ΔEi)0, t = ( ΔEi, pdn)0, t + ( ΔE i, int) + ( ΔE i, sub)0, t + ( ΔEi, rsd)0, t

= ΔYt

Y

0

E

i, 0+ ΔIt

I

0

E

i, 0+ ΔSi, t

S

i, 0

E

i, 0+ residual

0기∼t기동안의 i 연료 소비량변화에 대한 생산효과, 원단위효과 및 연료대체효 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Δ Ei, pdn)0, t = ( Yt/Y0) Ei, 0- Ei, 0 (25) (Δ Ei, int)0, t = ( It/I0) Ei, 0- Ei, 0 (26) (Δ Ei, sub)0, t = ( Si, t/Si, 0) Ei, 0- Ei, 0 (27)

김경술 ․ 신정수

- 48 - 48

-그러면 0기∼t기동안의 전체 연료소비량 변화와 각 요인들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8) ( ΔE) 0, t = ( ΔEpdn)0, t+(ΔEint)0, t+(ΔE sub)0, t+(ΔErsd)0, t

=

i(ΔEi, pdn)0, t+

i(ΔEi, int)0, t+

i(ΔEi, sub)0, t+

i(ΔEi, rsd)0, t

= ΔYt

Y

0

i

E

i, 0+ ΔIt

I

0

i

E

i, 0+ ΔSi, t

S

i, 0

i

E

i, 0+Residual

따라서 0기∼t기동안의 전체 연료 소비량 변화에 대한 생산효과, 원단위효과 및 연료대체효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Δ Epdn)0, t = ( Yt/Y0) E0- E0 (29) (Δ Eint)0, t = ( It/I0) E0- E0 (30) (Δ Esub)0, t =

(31)

i ( Si, t/Si, 0) Ei, 0- E0

그런데 식(29)∼식(31)를 LAS-PDM2 분해방법과 비교해보면, LAS-PDM2 분해 방법에서 Si=

E

i

E

, Ii=

E

Y

로 하면, 식(29)∼식(31)은 LAS-PDM2 분해방법 과 동일함을 알수 있다. 즉, 본 연구의 북한 연료소비 변화에 대한 원별요인분해 방법은 모수적 디비지아방법(Parametric Divisia method)에서 모수 값이 α= βi=

γi= 0일때의 분해방법과 동일하다.

(32) ( Δ Esub)0, t =

i ( Si, t/Si, 0) Ei, 0- E0

=

i

E

0

E

i, t

E

t

E

i, 0

E

i, o- E0

= 0

북한의 연료소비 변화에 대한 요인 분석

- 49 - 49

-한편, 식(32)와 같이 0기∼t기동안의 전체 연료 소비량변화에 대한 연료대체효 과는 0 이 된다. 즉, 연료대체로 인하여 연료 원별 소비량은 변화하나 전체 연료 측면에서의 소비량 변화는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연료별 분해식의 원단위변화 변수가 연료전체 원단위인데서 기인하는 것이다.

한편, 연료 소비량 변화에 대한 부문별 생산효과의 분석은 식 (14)를 이용하였 다. 그러나 부문별 원단위효과 및 구조효과는 자료의 제약상 분석하지 않았다.

문서에서 에 너 지 경 제 연 구 (페이지 51-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