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부모 연령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아버지는 평균 37.3세, 어머니는 평균 35.2세로 2017년

조사 결과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고 2018년 조사에 비해서는 부・모 모두 연령이

낮은 편이다. 부모의 연령은 도시지역에 비해 읍・면 지역에서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부의 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Ⅲ. 조사 참여자 특성

51

〈표 Ⅲ-4-1〉 영유아 부모의 연령

단위: %(명), 세 구분

부 모

29

이하 30~34 35~39 40~44 45

이상 평균 (수) 29

이하 30~34 35~39 40~44 45

이상 평균 (수)

전체 4.8 21.3 45.0 23.7 5.3 37.3 ( 986) 7.7 35.8 41.5 14.0 1.0 35.2 ( 999) 대도시 4.0 20.0 42.8 26.1 7.2 37.6 ( 375) 8.7 32.9 42.5 13.8 2.2 35.3 ( 376) 중소도시 4.2 21.5 45.3 23.7 5.3 37.3 ( 381) 7.0 37.0 39.4 16.0 0.5 35.2 ( 386) 읍・면 7.0 23.0 48.1 19.6 2.4 36.7 ( 231) 7.1 38.6 43.3 11.1 - 34.8 ( 236)

X²(df)/F 14.1(8) 3.4* 13.8(8) 1.4

2018년 3.3 12.3 35.3 29.7 17.0 39.6 (2,533) 7.0 22.6 43.4 21.6 3.9 36.6 (2,533) 2017년 3.9 21.7 42.5 24.3 7.6 37.6 (1,192) 11.0 34.1 42.8 10.6 1.5 34.9 (1,196) 2016년 2.6 21.9 50.2 20.6 4.7 37.2 (1,297) 8.1 38.5 42.4 9.9 1.2 34.8 (1,297) 2015년 2.0 15.9 39.7 29.7 10.5 38.8 (2,523) 5.6 26.7 43.3 18.9 3.5 36.4 (2,556) 2014년 3.7 26.4 41.8 22.6 5.4 37.1 (1,228) 11.2 41.0 38.5 7.8 1.5 34.4 (1,224)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 p < .05

영유아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4년제 대졸 이상이 각각 62.5%, 58.7%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기존의 조사 대비 학력이 높은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 다. 특히 아버지의 학력이 2018년도 기존 조사보다 7.5%p가 높았고 읍・면 지역과 도시 간 차이가 컸다.

〈표 Ⅲ-4-2〉 영유아 부모의 학력

단위: %(명)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구분

부 모

(수) 고졸

미만 고졸 전문대

졸업 4년제 대졸 이상

부재,

무응답등고졸 미만 고졸 전문대 졸업

4년제 대졸 이상

부재, 무응답등 전체 0.6 13.5 21.1 62.5 2.2 1.2 13.7 25.4 58.7 1.0 (1,009) 대도시 0.5 12.7 20.4 64.9 1.5 1.6 10.9 28.8 57.5 1.1 ( 381) 중소도시 1.1 12.8 17.7 65.5 2.9 1.5 12.7 20.8 63.6 1.5 ( 392)

읍・면 - 16.2 28.1 53.4 2.3 - 19.9 27.6 52.5 - ( 236)

2018년 1.1 24.7 17.0 54.0 3.2 2.6 26.4 19.4 50.2 1.4 (2,533) 2017년 1.7 32.9 19.4 44.9 1.2 2.1 30.6 25.9 40.9 0.5 (1,120) 2016년 0.5 21.2 17.5 59.8 1.0 1.1 23.2 22.0 52.8 0.9 (1,314) 2015년 1.2 23.6 21.1 53.9 0.3 1.7 27.9 24.5 45.6 0.3 (2,556) 2014년 1.7 27.4 15.6 55.1 0.2 1.8 31.2 22.2 44.6 0.2 (1,235)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52

다. 다문화가족 부모

영유아 부모 중 외국인인 경우는 아버지가 0.2%, 어머니가 1.2%를 차지하였다.

기존 연도의 조사에 비해 외국인 부모의 조사 참여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Ⅲ-4-3〉 영유아 부모의 외국인 비율

단위: %(가구)

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부 0.3 0.2 - 0.2 1.0 - 0.5 0.5

모 0.7 0.7 2.8 1.2 6.5 3.8 2.0 2.6 3.2

(수) (381) (392) (236) (1,009) (2,533) (1,203) (1,314) (2,593) (1,226)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라. 부모의 취업 및 근로 특성

1) 모의 취업

영유아 어머니 중 38.6%는 취업 중이고 12.6%는 휴직 중이며 47.9%는 미취업 모였다. 이전 연도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미취업모 비율은 점차 떨어지고 있음 을 알 수 있으나, 2019년도 조사에는 휴직중인 어머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취업 모 비율은 낮은 것으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육아 등으로 휴직률이 높아진 점 또한 고무적인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휴직률을 보면 자녀 연령 0세에서 41.7%를 차지 하여 가장 큰 비중을 보이고 1세에서도 14.6%인 것으로 응답되었다. 지역규모별 로는 휴직률이 낮은 읍・면 지역에서 모의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미취업률 또한 높은 편이었다.

〈표 Ⅲ-4-4〉 영유아 연령 구분별 모의 취업상태

단위: %(명)

구분 취업 휴직중 미취업 모 부재 계(수)

전체 38.6 12.6 47.9 1.0 100.0(1,009)

영유아 구분

영아 38.6 14.8 45.5 1.1 100.0( 601)

유아 38.5 9.3 51.4 0.9 100.0( 408)

연령

0세 31.3 41.7 27.0 - 100.0( 90)

1세 38.2 14.6 45.9 1.3 100.0( 227)

Ⅲ. 조사 참여자 특성

53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2) 부모의 직업

조사 참여 영유아 아버지의 경우 38.2%가 사무종사자로서 가장 많은 종사 직업 유형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으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5.2%, 관리자 8.1%, 서비스종사자 6.9% 등이었다.

어머니의 경우 47.9%가 전업주부인 것으로 응답된 가운데, 26.6%를 차지한 사 무종사자가 가장 큰 비중을 가진 직업 유형이었다.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0.3%, 서비스종사자 5.7% 순이었다. 이러한 직업의 유형별 비중은 지역규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표 Ⅲ-4-5〉 영유아 부모의 직종 특성

단위: %(명)

구분 부 모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관리자 5.8 8.0 11.9 8.1 0.2 1.6 - 0.7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7.0 15.8 11.4 15.2 11.6 10.3 8.5 10.3

사무종사자 45.1 39.0 25.6 38.2 32.0 24.1 21.9 26.6

서비스종사자 7.0 9.1 3.2 6.9 3.0 5.6 10.2 5.7

판매종사자 5.6 3.3 10.7 5.9 1.6 0.5 2.8 1.5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 0.4 1.8 0.6 - 0.1 3.4 0.9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4.5 5.9 5.0 5.1 - 0.9 - 0.4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4.2 5.8 4.4 4.9 0.3 - - 0.1

단순노무종사자 3.0 3.6 4.1 3.5 1.5 2.3 - 1.5

구분 취업 휴직중 미취업 모 부재 계(수)

2세 41.3 6.5 51.1 1.2 100.0( 284)

3세 37.7 10.8 51.1 0.4 100.0( 166)

4세 41.9 5.5 51.7 0.9 100.0( 121)

5세 이상 36.2 11.0 51.4 1.4 100.0( 121)

지역규모

대도시 38.1 15.3 45.5 1.1 100.0( 381)

중소도시 37.0 12.2 49.3 1.5 100.0( 392)

읍・면 41.8 8.8 49.4 - 100.0( 236)

2018년 44.2 7.1 47.2 1.4 100.0(2,533)

2017년 44.0 5.0 50.4 0.6 100.0(1,203)

2016년 42.2 6.8 50.1 0.9 100.0(1,314)

2015년 36.8 3.9 58.4 0.9 100.0(2,593)

2014년 39.1 4.7 54.6 1.6 100.0(1,235)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54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3) 종사상의 위치

영유아 부모의 종사상 위치를 보면, 아버지의 경우 전체의 73.4%가 정규직 임금 근로자였고 9.9%는 고용주 또는 자영업자였다.

〈표 Ⅲ-4-6〉 영유아 부모의 종사상 위치

단위: %(명)

구분 부 모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고용주 또는 자영업자 9.3 7.9 14.1 9.9 2.6 3.0 4.3 3.1

정규직 임금근로자 75.4 78.7 61.4 73.4 36.5 34.0 24.5 32.7

비정규직 임금근로자 8.2 7.0 10.6 8.3 11.1 8.3 11.2 10.0

무급가족종사자 0.7 0.2 - 0.4 2.0 2.5 3.4 2.5

비해당(무직) 4.2 2.3 10.0 4.8 45.5 49.3 49.4 47.9

비해당 1.5 2.9 2.3 2.2 1.1 1.5 - 1.0

무응답, 모름 0.8 0.8 1.6 1.0 1.2 1.4 7.3 2.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수) (381) (392) (236) (1,009) (381) (392) (236) (1,009)

X²(df) 39.7(12)*** 40.3(12)***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 p < .001

지역에 따라서는 정규직 임금근로자 비율이 도시에 비해 읍・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자영업자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어머니의 경우 미취업자를 제 외하면 정규직 임금근로자가 32.7%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비정규 임금근로자 10% 수준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에서 비교적 정규직 임금근로자 비율이 높고 읍・면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무급가족종사자 비율이 높았다.

구분 부 모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기타(학생, 재수생, 사병 등) 2.1 3.9 9.8 4.6 3.2 3.8 3.9 3.6

비해당(무직) 4.2 2.3 10.0 4.8 45.5 49.3 49.4 47.9

비해당 1.5 2.9 2.3 2.2 1.1 1.5 - 1.0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수) (381) (392) (236) (1,009) (381) (392) (236) (1,009)

Ⅲ. 조사 참여자 특성

55

4) 취업 부모의 주당 근로시간

취업 부모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아버지는 47시간 25분, 어머니는 38시간 14 분으로 산출되었다.

〈표 Ⅲ-4-7〉 취업 부모의 주당 근로시간

단위: 시간(명)

구분 부 모

주당 근로시간 (수) t/F 주당 근로시간 (수) t/F

전체 47시간 25분 ( 840) 38시간 14분 (372)

영유아 구분

영아 47시간 34분 ( 491)

0.5 38시간 45분 (229)

유아 47시간 14분 ( 349) 37시간 25분 (143) 1.1

연령

0세 47시간 50분 (73)

1.9

38시간 3분 (28)

1세 46시간 10분 (176) 39시간 37분 (86)

2세 48시간 3분 (241) 38시간 16분 (115)

3세 48시간 26분 (146) 41시간 31분 (60)

4세 46시간 41분 (103) 33시간 7분 (45)

5세 이상 46시간 4분 (101) 36시간 1분 (38)

지역규모

대도시 47시간 6분 ( 319)

-37시간 49분 (141)

0.6

중소도시 47시간 41분 ( 328) 37시간 58분 (140)

읍・면 47시간 32분 ( 193) 39시간 17분 ( 91)

2018년 48시간 6분 (2,434) 39시간 18분 (1,272)

2017년 50시간 12분 (1,178) 35시간 54분 (568)

2016년 49시간 45분 (1,267) 35시간 37분 (609)

2015년 50시간 50분 (2,494) 40시간 (905)

2014년 51시간 13분 (1,204) 37시간 37분 (532)

-: 동변량 가정이 충족되지 않아 통계적 차이검정을 실시하지 않음.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이러한 평균 근로시간은 자녀의 영아/유아 구분이나 지역규모별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도시보다는 읍・면 지역에서 대체로 주당 근로시간이 긴 것

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의 부모 근로시간 평균과 비교해보면 아버지의 경우는

꾸준히 근로시간이 감소되는 경향을 뚜렷이 볼 수 있으나 어머니의 경우는 일관적

인 경향을 보이지는 않으나 줄어들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아버지에

비해 비정규직이나 무급가족종사자 비율이 높은 이유인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56

5) 취업 부모의 토요일 근무 여부

취업 부모의 주말(토요일) 근무 여부를 살펴보면, 아버지 중 62.7%는 주말에 근 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경우는 78%가 주말 휴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매주 전일 근무하는 비율이 아버지는 16.1%, 어머니는 11.3%인 것으로 나 타나 주말보육 이용의 수요를 짐작케 한다. 특히 읍・면 지역으로 구분되는 농어촌 의 경우 도시보다 부와 모의 경우 모두에서 매주 전일 근무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므로 이 지역에 대한 특별한 보육지원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 다. 또한 취업 어머니의 경우 지역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빈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전 연도의 분석결과와 비교했을 때는 아 버지의 주말 휴무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이 특이점이나 직업유형이나 종사상 지위 의 비율의 구성 양태를 함께 고려해서 해석함이 필요해 보인다.

〈표 Ⅲ-4-8〉 영유아 가구 부모의 주말(토요일) 근무 여부

단위: %(명) 구분

부 모

매주 전일

매주 반일

격주 전일

격주

반일 휴무 계(수) 매주

전일 매주 반일

격주 전일

격주

반일 휴무 비해당 계(수) 전체 16.1 4.7 11.3 5.2 62.7 100.0( 834) 11.3 4.8 3.1 2.7 78.0 0.1 100.0( 370) 대도시 14.1 6.2 10.6 5.9 63.1 100.0( 318) 9.1 4.5 3.2 5.7 77.5 - 100.0( 141) 중소도시 16.0 3.7 11.4 5.1 63.8 100.0( 324) 9.3 1.4 4.9 1.4 82.6 0.4 100.0( 138) 읍・면 19.6 3.9 12.3 4.2 60.1 100.0( 193) 17.7 10.5 - - 71.8 - 100.0( 91)

X²(df) 6.1(8) 29.2(10)***

2018년 25.3 5.1 11.7 4.6 54.3 100.0(2,434) 9.9 5.8 5.0 3.4 62.0 13.9 100.0(1,272) 2017년 35.4 3.5 16.2 2.1 42.8 100.0(1,179) 14.4 4.7 4.7 0.8 75.3 100.0( 568) 2016년 30.2 2.4 15.5 3.4 48.5 100.0(1,267) 9.5 2.2 6.2 1.4 80.7 100.0( 609) 2015년 26.6 4.2 13.7 5.4 49.1 100.0(2,494) 14.8 4.8 7.2 3.9 66.8 100.0( 905) 2014년 34.0 2.7 11.9 3.6 47.7 100.0(1,204) 14.4 3.1 4.0 1.7 76.7 100.0( 532) 주: 무응답 제외

단, 2018년 응답치는 주말 중 토요일 근무에 한함. 비해당 비율은 무응답 수치임.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 p < .001

어린이집 이용 특성과 이용시간

01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특성

02 어린이집 이용 이유 및 선택 시 고려사항 03 이용시간

04 등・하원 방법

59

문서에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페이지 6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