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44

주: 전체 사례수는 이혼, 부재 등으로 항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

조사가구 특성은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은 비율임.

Ⅲ. 조사 참여자 특성

45

특히 한부모 또는 한조부모 가구로 구성된 2인 가구가 3.3%나 포함되었고 자녀가 3인 가구 수가 많은 한편, 4인 가구 수가 예년에 비해 적게 포함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지역별로는 읍・면 등 농어촌지역에서 4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고 5인 가구의 비율 또한 마찬가지였다. 반면 대도시는 2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고 4인 가구 비율은 가장 낮은 현황을 보였다.

〈표 Ⅲ-2-1〉 영유아 가구의 가구원 수

단위: %(가구), 명

구분 2인 3인 4인 5인 6인 이상 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3.3 43.8 41.6 10.2 1.2 100.0(1,009) 3.63 0.78

대도시 4.3 52.9 35.2 6.8 0.7 100.0( 381) 3.47 0.73

중소도시 3.2 44.8 41.9 8.8 1.3 100.0( 392) 3.61 0.77

읍・면 1.6 27.4 51.5 17.9 1.6 100.0( 236) 3.92 0.81

X²(df)/F 53.3(8)*** 26.3***

2018년 1.3 36.1 46.3 15.1 6.4 100.0(2,593) 3.90 1.00

2017년 0.2 24.0 56.9 14.2 4.6 100.0(1,203) 4.01 0.84

2016년 0.3 19.1 54.2 20.6 5.9 100.0(1,314) 4.15 0.85 2015년 0.4 32.3 46.3 15.6 5.3 100.0(2,593) 3.90 0.90 2014년 0.4 18.2 56.1 16.3 8.9 100.0(1,235) 4.18 0.93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 p < .001

조사 가구의 자녀수는 평균 1.62명이고, 이중 영유아는 평균 1.36명이다. 자녀 수별로 보면, 1명이 4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2명이 41.1%, 3명 이상은 9.8%였다. 평균 자녀 수에 있어서 읍・면 지역이 1.86명으로 가장 많고 대도시는 1.49명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존 연도의 조사와 비교하면 2명과 3명 자녀 가구 수가 줄고 1명인 자녀의 가구가 13%p 이상 많이 포함된 결과를 보인다.

이중 미취학 영유아 자녀는 1명 67.3%, 2명 29.7%, 3명 이상 3.1% 순으로 대

부분이 2명 이하이다. 지역별로 보면, 대도시와 읍・면 지역은 전체 평균과 같이

1명인 가구가 다수이다. 이전 조사와 비교하면, 영유아 자녀가 1명인 가구는 크게

늘고, 2명 이상은 20%p 이상 감소하였다.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46

〈표 Ⅲ-2-2〉 조사 가구의 자녀수

단위: %, 명(가구)

구분 자녀수 영유아

1명 2명 3명 이상 평균 1명 2명 3명 이상 평균 (수)

전체 49.1 41.1 9.8 1.62 67.3 29.7 3.1 1.36 (1,009)

대도시 57.3 36.3 6.4 1.49 72.9 25.8 1.4 1.29 ( 381)

중소도시 50.0 41.2 8.8 1.60 70.1 27.3 2.6 1.33 ( 392)

읍면지역 34.5 48.7 16.8 1.86 53.5 39.8 6.7 1.53 ( 236)

X²(df)/F 38.3(4)*** 20.5*** 34.6(4)*** 16.8***(a)

2018년 41.1 44.3 14.6 - - - (2,533)

2017년 26.7 60.3 13.0 1.61 44.1 50.6 5.2 1.89 (1,203)

2016년 20.4 58.9 20.8 - 31.7 57.2 11.2 - (1,314)

2015년 37.7 49.0 13.4 - - - (2,593)

2014년 21.7 61.5 16.8 - 40.2 54.4 5.4 - (1,235)

주: 2015년과 2018년 조사는 영유아 자녀수 자료를 미산출하여 제시하지 않음.

자녀수는 초등학교 이상 자녀를 포함한 총 자녀수를 의미함.

- 해당 수치 제공 않음.

(a)분산분석을 위한 등분산가정을 충족치 못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 p < .001

나. 가구 형태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가구의 가구형태를 보면, 부부와 자녀 가구가 92.1%이고, 아버지 한부모 가구가 0.8%로 2018년에 비해 높아진 비율로 나타난다. 3세대 가 구는 5.7%수준으로 전년도 조사보다 상당히 적은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기존 의 조사보다 부부와 자녀만으로 구성된 가구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Ⅲ-2-3〉 가구형태 특성

단위: %(가구) 구분

부부+자녀 조부모+부모+자녀

기타 계(수)

부부+

자녀 (모)한부 모+자녀

(부)한부 모+자녀

(한)조부 모+자녀

조부모+

부모+

자녀

조부모+

한부모+

자녀

한조부모 +부모+

자녀

한조부모 +한부모+

자녀

전체 92.1 1.3 0.8 0.1 1.5 0.2 3.1 0.9 - 100.0(1,009)

대도시 93.4 0.6 1.1 0.2 0.7 0.5 3.3 0.2 - 100.0( 381)

중소도시 90.9 2.6 1.1 - 1.5 - 3.1 0.8 - 100.0( 392)

읍・면 92.2 - - - 2.8 - 2.8 2.3 - 100.0( 236)

2018년 83.4 2.6 0.4 0.4 4.8 1.4 5.6 1.2 0.2 100.0(2,528)

Ⅲ. 조사 참여자 특성

47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다. 가구 소득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가구의 총 가구소득은 평균 436.6만원으로 ’18년도보다 는 다소 낮게 조사되었고 ’17년도 조사와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소득액 구간별로 보면,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이 28.8%로 이 구간 위치 가구가 가장 많고 400만원 이상 499만원 이하 가구도 27.5%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즉, 전체 300만원에서 499만원까지 가구가 56% 이상으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2018 년 조사에 비해 500만원 이상 소득 가구 비율이 현저히 낮다.

지역규모별로는 대도시 지역의 평균 소득이 464.7만원으로 평균보다 28만원 이 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중소도시는 447.6만원, 읍・면은 373.1만원으로 대도 시에 비해 90만원 이상 차이가 있어 유의미한 격차를 보였다.

모 취업 여부별로 비교해 보면, 취업모가 있는 가정이 511.2만원으로 휴직중이 거나 모 미취업 가구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모가 휴직중인 가구의 소득 이 미취업 가구보다 낮은 것으로 보인다.

〈표 Ⅲ-2-4〉 총 월평균 가구소득 분포 및 평균

단위: %(가구), 만원 구분

부부+자녀 조부모+부모+자녀

기타 계(수)

부부+

자녀 (모)한부 모+자녀

(부)한부 모+자녀

(한)조부 모+자녀

조부모+

부모+

자녀

조부모+

한부모+

자녀

한조부모 +부모+

자녀

한조부모 +한부모+

자녀

2017년 91.5 0.3 0.2 - 3.0 1.1 3.6 0.3 - 100.0(1,203)

2016년 91.5 0.7 0.5 - 3.6 0.5 3.0 0.3 - 100.0(1,314)

2015년 86.1 1.0 0.2 0.4 4.1 1.3 6.3 0.7 100.0(2,593) 2014년 85.1 0.7 0.5 - 6.2 1.2 5.7 0.6 0.1 100.0(1,235)

구분 149만원 이하

150~

199만원 200~

249만원 250~

299만원 300~

349만원 350~

399만원 400~

499만원 500~

599만원 600~

699만원 700만원

이상 계(수) 평균

전체 2.6 1.4 10.3 9.2 17.9 10.9 27.5 8.4 4.4 7.5 100.0(1,009) 436.6 지역규모

대도시 1.6 1.3 10.5 9.0 17.5 10.1 27.1 9.1 4.1 9.7 100.0( 381) 464.7 중소도시 1.4 1.4 7.7 10.8 19.7 13.0 23.6 8.9 4.6 8.9 100.0( 392) 447.6 읍・면 6.3 1.6 14.2 6.7 15.5 8.8 34.6 6.4 4.4 1.6 100.0( 236) 373.1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48

주: (a)분산분석을 위한 등분산가정을 충족치 못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 p < .05, *** p < .001

라. 가구 지출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가구의 월평균 가구지출액은 325.4만원으로 전년도 조사 보다 낮아졌다. 구간별로는 300~349만원이 21.9%로 가장 많고, 200~249만원 15.8%, 250~299만원 15.0%, 150~199만원 11.9%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지출 또 수입과 마찬가지로 대도시에서 가장 높은 지출 수준을 보이고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순으로, 대도시와 읍면은 20만원가량을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 러나 소득과 달리 유의미한 차이로는 분석되지 않아 소득은 지역 간 유의한 격차가 있으나 지출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농어촌 읍・면 지역의 지출이 부담 이 될 수 있음을 짐작케 한다.

모 취업 여부에 따라서 비교해보면, 취업모 가구의 지출이 평균 346.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휴직중인 가구 316.8만원, 미취업모 311.8만원으로 조사되었 다. 휴직중인 가구에서 소득과 지출이 비교적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나, 지출 평균 금액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분 149만원 이하

150~

199만원 200~

249만원 250~

299만원 300~

349만원 350~

399만원 400~

499만원 500~

599만원 600~

699만원 700만원

이상 계(수) 평균

X²(df)/F 53.2(18)*** 4.1*

모 취업 여부

취업 2.0 0.7 9.8 4.3 11.3 5.8 29.3 14.4 7.3 15.1 100.0(389) 511.2 휴직중 6.4 0.9 7.8 15.3 16.1 11.7 26.7 7.6 2.3 5.2 100.0(127) 387.3 미취업 2.1 2.0 10.7 11.5 23.6 14.9 26.8 3.6 2.6 2.1 100.0(483) 392.2 부재 - 9.0 38.1 8.1 22.5 6.1 - 16.2 - - 100.0( 10) 302.0

X²(df)/F 171.8(27)*** 7.7***(a)

2018년 - 4.2 7.1 7.6 14.5 9.6 19.0 16.2 8.6 13.1 100.0(2,528) 454.1 2017년 0.7 0.9 6.7 11.5 19.1 12.2 19.0 14.8 6.2 8.8 100.0(1,203) 433.1 2016년 1.2 1.7 3.5 9.3 18.0 11.2 21.3 15.1 6.9 11.8 100.0(1,314) 470.7 2015년 2.2 3.2 10.1 11.9 18.1 11.4 16.3 11.2 5.9 9.1 100.0(2,593) 403.0 2014년 1.4 2.0 8.2 15.3 18.6 12.0 19.1 12.0 5.6 5.9 100.0(1,234) 405.3

Ⅲ. 조사 참여자 특성

49

〈표 Ⅲ-2-5〉 월평균 가구지출 분포 및 평균

단위: %(가구), 만원 구분 149만원

이하 150~

199만원 200~

249만원 250~

299만원 300~

349만원 350~

399만원 400~

499만원 500~

599만원 600~

699만원 700만원

이상 계(수) 평균

전체 6.4 11.9 15.8 15.0 21.9 8.6 11.5 4.7 2.0 2.2 100.0(1,009) 325.4 지역규모

대도시 5.4 13.4 15.2 15.9 21.0 7.0 12.9 3.3 2.7 3.2 100.0( 381) 331.7 중소도시 5.7 10.3 18.2 14.6 22.0 10.6 10.5 4.9 1.7 1.5 100.0( 392) 327.6 읍・면 9.1 12.2 13.0 14.3 23.1 7.9 10.8 6.7 1.6 1.6 100.0( 236) 311.8

X²(df)/F 19.6(18) 0.7

모 취업 여부

취업 6.7 11.6 15.7 8.5 19.5 8.4 15.8 6.6 4.0 3.2 100.0( 389) 346.8 휴직중 11.0 11.2 16.8 15.8 20.8 5.0 11.2 3.3 2.3 2.4 100.0( 127) 316.3 미취업 4.8 12.2 16.1 19.6 24.0 9.6 8.3 3.7 0.4 1.3 100.0( 483) 311.8 부재 9.0 19.4 - 35.6 21.6 14.5 - - - - 100.0( 10) 269.6

X²(df)/F 69.8(27)*** 2.2

2018년 3.5 7.0 7.4 14.8 15.8 25.4 15.1 5.3 5.4 100.0(2,533) 402.1 2017년 0.3 2.8 13.2 19.4 23.1 13.5 17.3 7.2 1.7 1.5 100.0(1,203) 339.5 2016년 0.5 3.0 8.1 18.2 21.4 14.8 18.9 7.4 3.6 4.3 100.0(1,314) 368.1 2015년 2.6 3.4 10.2 12.1 18.2 11.6 16.0 11.1 5.7 8.5 100.0(2,593) 396.8 2014년 1.3 4.2 14.6 19.8 22.4 12.3 16.8 4.7 1.9 2.1 100.0(1,235) 333.0 자료: 본 연구를 위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임.

*** p < .001

문서에서 2019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페이지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