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풀이의 개관

제주도 본풀이는 현용준의 제주도무속자료사전 에 일반신본풀이, 당신본풀이, 조상신본풀이가 채록되었고, 진성기의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에 일반신본풀이, 당신본풀이, 조상신본풀이, 특수신본풀이가 채록되었다.36) 이들 자료집은 제주도 무가의 세계를 학계에 알리는 교두보 역할을 하였고, 이후로 현재 무업에 종사하 고 있는 심방들의 본풀이 자료가 채록되어 본풀이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 다.37)

제주도 본풀이에 대한 연구의 중심은 일반신본풀이에 집중되었다. 일반신본풀 이의 서사와 의례의 관계, 일반신본풀이의 특성과 유입 경로 등의 연구를 통해 일반신본풀이의 정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38) 이를 통해 일반신본풀이는 천지(天 地)·일월(日月)·산해(山海)·생사(生死)·질병·농경·어로·수렵·빈부 등 인문·사회 전 반을 주관하는 일반신에 대한 내력담이고39) 외부에서 유입되어 육지와 공통분모 를 가지고 있으며 제주에 와서 변용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신본풀이는 큰굿이 열릴 때마다 다양하게 구연된다. 일반신본풀이는 흔히 열두 본풀이로 불리며, <천지왕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 <마누라본풀이>, <초

36) 진성기의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은 1960년대에 2회에 걸쳐 남국의 무가 라 하여 유인판(油印 版)으로 만들었던 자료를 정리하여 1991년 민속원에서 출간한 자료이다.

37) 허남춘 외, 이용옥 심방 본풀이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9.

, 양창보 심방 본풀이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2013), 앞의 책.

, 서순실 심방 본풀이 , 경인문화사, 2015.

38) 姜晶植, 「濟州巫歌 이공본의 口碑敍事詩的 性格」,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碩士學位 論文, 1987.

김은희, 「제주도 본풀이와 놀이의 상관성: 본풀이와 굿놀이의 연계양상과 유형을 중심으로」, 탐 라문화 36,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김헌선, 한국무조신화연구: 비교신화학의 자료적 가치와 의의 , 민속원, 2015.

신연우, 제주도 서사무가 <초공본풀이>의 신화성과 문학성 , 민속원, 2017.

허남춘, 제주도 본풀이와 주변 신화 , 보고사, 2011.

허남춘, 설문대할망과 제주신화 , 민속원, 2017.

39) 玄容駿, 巫俗神話와 文獻神話 , 集文堂, 1992, 19쪽.

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삼공본풀이>, <차사본풀이>, <세경본풀이>, <칠성본풀 이>, <문전본풀이>, <멩감본풀이>, <지장본풀이>가 포함된다.40) 일반신본풀이는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련된 문제가 본풀이의 서사에 녹아있고 그것이 굿을 통해 형상화된다.

<천지왕본풀이>에서 소별왕과 대별왕이 이승법과 저승법으로 이승과 저승을 다스린다. <삼승할망본풀이>·<마누라본풀이>는 인간 존재의 탄생과 그 존재를 위 협하는 것을 다룬다.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삼공본풀이>는 인간의 삶과 관련된 근원적인 세계를 다룬다. 큰굿을 주재하는 심방의 탄생, 인간의 삶을 주 재하는 서천꽃밭과 꽃감관, 복록이 가득한 삶이 이미 정해져 있어 인간이 욕망하 는 부귀와 영화를 모두 가지고 태어난 감은장아기를 통하여 복록의 근원 등을 살필 수 있다. <차사본풀이>는 인간의 삶이 다하였을 때 이승에서 저승으로 영혼 을 인도하여 가는 차사의 모습을 통하여 저승세계를 살필 수 있다. <세경본풀 이>·<칠성본풀이>·<문전본풀이>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먹을 것, 부귀, 안전을 다루고 있다. <멩감본풀이>와 <지장본풀이>는 인간이 적극 적으로 피하고 거부하고자 하는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특수신본풀이와 달리 일반신본풀이의 신직은 공간과 역할에 의해 세분화되며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 <천지왕본풀이>만 하더라도 소별왕이 이승을 차 지하여 혼란하여지나 대별왕은 저승을 다스릴 뿐이지 이승에 자신의 힘을 발휘 하지 않는다. 이러한 모습은 일반신본풀이와 특수신본풀이가 정확히 구별되는 지 점이다. 특수신본풀이인 <세민황제본풀이>에서 저승왕은 저승에 온 세민황제를 다시 이승에 보내 자신의 과오를 바로잡도록 한다. 일반신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행하고 신직을 부여받지만 특수신은 그러한 역할이 정해져 있지 않다. 공 간의 제한도 경계만 있을 뿐이고 단절되어 있지 않아 인간이 바라는 삶의 세계 와 인간이 거부하는 죽음의 세계를 모두 보여준다.

당신본풀이는 일반신본풀이에 비해 제주의 독자적인 성격을 가진 본풀이로 이 해된다. 육지부에서 유사한 본풀이를 찾을 수 없기에 당신본풀이 간의 계통을 밝 혀 이들 본풀이의 전승과 변이 과정이 연구되었다.41) 마을이 형성되기 이전부터

40) 일반신본풀이의 제시 순서는 玄容駿의 濟州島巫俗資料事典 내용을 토대로 하였다.

41) 강정식(2002), 위의 논문.

해신당과 산신당이 있어 생업수호신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마을이 형성된 이후 부터는 본향당 중심의 당신 신앙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신앙은 농경문화가 정착 되자 농경사회의 풍습을 반영하고 마을 공동체 사회를 결속하고 강화하였다.42) 당신본풀이에 마을의 발전, 분화 과정에 해당하는 서사가43) 당신의 계보를 통하 여 반영된다.44) 당신을 모시는 신당은 본향당, 해신당, 산신당 등이 두루 포함되 며 각 신의 역할이 상이하다. 본향당신이라 하면 마을 수호신의 성격을 지니고, 산신당과 해신당의 경우 생업수호신의 성격을 지닌다.

일반신본풀이와 당신본풀이의 신앙적 영향력은 지역적으로 살펴볼 때, 전체와 부분으로 나뉜다. 일반신은 인문사회 전반을 주관하고, 당신은 그 마을 혹은 신 앙권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당(堂)에는 호적, 장적 등을 담당하는 본향당과 그 외에 일뤳당, 여드렛당, 해신당, 산신당 등이 있다.

조상신본풀이는 김헌선·현용준·강정식의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연구 를 통해 새롭게 조명되었다. 이 저작을 통하여 조상신본풀이의 자료를 소개하고 정체성을 드러내는 연구 성과를 거둔다. 조상신본풀이는 역사적 체험의 현장을 배경으로 실존했던 인물이 등장하기에 전설화하여 받아들이는 성향이 강하고,45) 사실적(史 實的) 요소를 갖춘 본풀이로 파악할 수 있다.46) 조상신본풀이는 한 집안 내지 일 족(一族)의 수호신을 모시게 된 조상신에 대한 연유를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담 고 있는 본풀이다.47)

특수신본풀이는 이곳과 저곳이 단절되기 이전의 시대를 배경으로 인간 존재와 동식물이 함께 소통하는 세계를 다룬다. 이들 본풀이 속에서 죽음은 이곳과 저곳 을 오고 가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나와 너, 인간과 동·식물 등은 바라는 것 을 얻고자 조력함으로써 서로 관계가 맺어진다. 이러한 소통에 의한 관계 맺기가 가능한 것은 서사의 배경이 되는 공간의 특성에 기인한다. 이질적인 성격을 띤 공간이 분리되어 있으나 특수신의 왕래에 의하여 단절된 것이 아니라 소통의 모

文武秉, 「濟州島 堂信仰 硏究」, 濟州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3.

정진희, 「제주도 당본풀이의 유형과 변천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2) 文武秉(1993), 앞의 논문, 232~234쪽.

43) 정진희(1999), 앞의 논문, 67~71쪽.

44) 강정식(2002), 앞의 논문.

45) 김헌선·현용준·강정식,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연구 , 보고사, 2006, 19쪽.

46) 류진옥, 「제주도 조상신본풀이의 형성과 전승」,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83쪽.

47) 玄容駿(1992), 앞의 책, 19쪽.

습을 보여준다.

제주도 본풀이는 일반신본풀이, 당신본풀이, 조상신본풀이, 특수신본풀이로 나 뉜다. 각 영역의 성격을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는 본풀이도 있고, 둘 이상의 성격 을 공유하는 본풀이도 있다.

일반신본풀이 중 <칠성본풀이>와 <멩감본풀이>는 복합적 성격을 지닌다. <칠성 본풀이>인 경우 일반신본풀이에서 보기 어려운 칠성신의 탐색담과 노정기는 당 신본풀이적 속성이 강하고48) 부신(富神)의 성격은 육지부의 업신앙과 연관된 다.49) <칠성본풀이>의 뱀신은 가택에 모셔진 부와 안녕을 도모하기 위한 신이기 에 당신본풀이에서 일반신본풀이로서 변화되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 다.50) <멩감본풀이>인 경우 조상신본풀이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일반신본풀 이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에 비중을 두고자 한다. <멩감본풀이>의 전반부에 백년 해골을 집에 가져와 모시자 사냥이 잘 되었다고 하는 것은 생업수호신의 모습으 로 파악할 수 있고, 백골을 숭배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것은 원시 서사시의 면모 로 파악할 수 있다.51) <멩감본풀이>와 유사한 무가는 함경도에서 채록된 황천혼 시를 들 수 있기에52) <멩감본풀이> 역시 독자적인 본풀이로 파악하기 보다는 육 지부와 연관된 본풀이로 파악할 수 있다. 인간의 부와 장수에 대한 욕구, 수렵·채 취 시대에서 농경 시대로의 변화가 맞물려 조상신으로 존재하던 멩감신을 일반 신으로 위상을 끌어올린 것이다.

당신본풀이 중 <당나미 문씨아기당 본풀이>와 <양씨아미본풀이>는 복합적 성 격을 지니고 있다. <당나미 문씨아기당 본풀이>는 당신본풀이인데 조상신본풀이

당신본풀이 중 <당나미 문씨아기당 본풀이>와 <양씨아미본풀이>는 복합적 성 격을 지니고 있다. <당나미 문씨아기당 본풀이>는 당신본풀이인데 조상신본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