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의 영향분석과 대응전략은 2년차 과제로 1년 차 연구는 주로 기후변화 영향분석에 초점을 맞추었고, 2년차 연구는 영향 분석에 대한 보완, 농업부문 적응정책 목록화, 대응전략 개발 등이 주로 이 루어졌다<그림 1-1>.

보고서는 2년차 연구결과를 담은 종합보고서로 구성하였다. 1년차 연구 에서 수행된 기후변화 영향분석에 관한 핵심내용도 2년차 보고서에 포함시

서 론 15

켜 연구보고서 내용은 8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연구목적과 범위, 선행연구 검토, 연구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을 다루는 내용으로 IPCC 기후변화 전망자료를 이용하여 세계 기후변화를 진단하고 예측하였다. 또한 국립기 상연구소, 국립농업과학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기후변화 분석 자료 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실태 진단과 전망을 담고 있다.

제3장에서는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대응 관련 기본개념과 분석 이론을 체계화하여 담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의 접근방식으로 완화방식과 적응방 식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였고, 기후변화 영향분석의 이론을 정리하여 제 시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의 적용과 적응능력의 개념, 기후변화의 적응 유 형과 접근방식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 분석과 관련 농업생태계에 미치 는 영향, 농업생산의 기후변화 영향력 분석, 적응수단의 작물재배 영향 분 석, 주요 농산물의 주산지 변동분석, 농업부문의 경제적 영향 분석 등 영향 분석 결과와 관련 분야의 분석내용을 다루었다.

제5장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농업인의 반응분석과 관련 농업인의 기후 변화 인지도, 농업인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태도 등에 대해 설문조사 결 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대효용모형을 이용하여 위험 및 불확실성하 농업 인의 의사결정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주요국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영향과 대응사례로 일본, EU, 영국, 호주, 중국 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제7장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전략을 다루는 내용으로 기 본방향과 기후변화 적응전략 제시, 기후변화 적응 마스터플랜과 전략실천 을 위한 핵심과제를 담고 있다.

끝으로 제8장에서는 요약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점 을 간단하게 제시하였다.

16 서 론

그림 1-1.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 연구의 흐름도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의 영향 분석을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현 황 파악과 미래 예측이 필요하다. 제2장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정확한 실 태 파악과 중장기 예측을 위해 우선 전세계 기후변화의 대표적인 특징인 지구온난화 현상에 대한 진단과 IPCC 제4차 기후변화평가보고서를 기초 로 시나리오별 기후변화 미래 예측과 온도상승에 따른 부문별 파급영향을 살펴보았다.

국내 기후변화 실태는 국립기상연구소와 농촌진흥청의 기온과 강수량 및 이상기상에 대한 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2100년까지의 기온 및 강수량에 대한 장기 예측은 국립기상연구소의 A2시나리오와 A1B 시나 리오를 상정한 전망치 결과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1. 세계 기후변화 진단과 예측

1.1. 지구온난화 현황

기후는 장기간에 걸친 특정지역의 대기상태를 지칭하며, 기후변화란 자 연적인 요인과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기후계가 점차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 다. 기후변화는 대기권, 수권, 생물권, 설빙권, 지권 등 기후시스템을 구성 하는 각 요소의 변화 또는 요소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기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18

후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은 크게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적 요인에는 태양활동의 변화, 화산분출, 해수온도와 빙설분포, 편서풍 파동이나 대기 파동 등을 들 수 있다. 인위적 요인으로는 공업이나 농업 등의 생산 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 산림파괴, 산성비, 프레온가 스 등에 의한 오존층 파괴 등이 있으며, 온실가스 증가에 의한 지구온난화 (global warming)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7).

지구온난화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 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등이 발생시키는 온실효과 에 의한 지구온도의 평균적인 상승을 의미한다.2 이러한 온실효과에 의해 지구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지구온난화 문제는 화석연료의 소비가 급증한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지구온난화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은 1970년대 들어 기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축적되면서, 인류의 온 실가스 배출이 지구 온난화를 초래한다는 가설이 과학자들 사이에 광범위 하게 받아들여지면서 커지게 되었다.

전세계의 온실가스 농도는 이산화탄소를 기준으로 산업혁명 이전(1750 년)의 280ppm에서 2005년에 379ppm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구의 평균기온 분석 자료(Climate Research Unit, 2006)에 따르면 산업혁명 시기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은 산업혁 명 이전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80년 이후 지구 온난화가 현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1998년은 1961~1990년의 평균보다 0.58℃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2-1>. 또한 그림에서 제시된 바와 같 이 1850년 이래 가장 더웠던 12번 중 11번이 최근 12년 내에 이루어진 것 으로 기록되었다.

2 온실효과는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나 이산화탄소 같은 대기성분이 지구에 도달한 태양에너지가 외부로 복사되는 광선을 차단하여 지구 온도가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이는 1896년 스웨덴의 화학자인 아레니우스(Svante Arrhenius)가 처음 제기한 것으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 도 증가가 기온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에서 비롯되었다(신의순, 김호 석. 2005. p.103).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19

그림 2-1. 1961~1990년의 평균기온 대비 기온편차

자료: Climate Research Unit(2006).

지구온난화에 대한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진단을 위해 기후변화에 관 한 과학적인 분석 작업이 1990년 이후 IPCC에 의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IPCC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는 지금까지 1차(1990), 2차(1995), 3차 (2001) 보고서가 출간되었고, 2007년 4월에 제4차 평가보고서의 제1 작업그 룹(자연과학적 근거), 제2 작업그룹(영향·적응·취약성), 제3 작업그룹(완화 대책)의 보고서가 발표되었다(IPCC, 2007).3

자연과학적 근거를 기초로 정리한 IPCC의 제1 작업그룹 보고서는 지구 온난화 현황에 대해 과거 100년 동안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공업화 이전(약 280ppm)의 약 1.4배(2005년 379ppm)까지 증가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3 IPCC는 1988년 설립된 국제기구이며, 2007년 4월에 발간된 제4차 평가보고서 는 약 6년간에 걸쳐 전세계 2,500명의 과학자가 참여하였고, 130여 개 국가가 이 보고서의 타당성을 인정하였다(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7).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1

1.2. 세계 기후변화의 현황과 예측

세계의 기후변화는 지역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변수, 기상변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현 가능한 몇 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예측이 이루어진다. IPCC의 기후변화평가 보고서에서는 인구통계와 사회 경제적 발달 등에 따른 온실가스 농도의 변화를 예측하여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 특별보고서(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 SRES)는 크게 네 가지 시나리오(A1, A2, B1, B2)로 나누고 A1에서 중시되는 사항에 따라 변형된 시나리오(A1F, A1T, A1B)를 구성하여 접근하고 있다<그림 2-3>.

A1 시나리오는 세계 경제의 급속한 성장, 인구증가는 2050년에 최고에 도달한 이후 감소 추세, 효율적인 기술도입 등을 가정하는 고도경제성장 시나리오로 화석에너지 사용 시나리오(A1F1), 비화석에너지원 사용 시나 리오(A1T), 모든 에너지원 균형 사용 시나리오(A1B) 등으로 나누어진다.

그림 2-3. 기후변화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 구성 개념도

글로벌화

기후변화 실태와 전망

22

A2 시나리오는 인구증가율이 높고 낮은 경제성장, 기술은 가장 분화되 고 느리게 발전하는 다원화사회 시나리오이다.

B1 시나리오는 인구는 A1과 같고 경제성장은 낮으나, 경제구조가 서비 스와 정보경제 중심으로 변화하며, 청정기술과 자원효율성을 강조하는 지 속가능 발전을 추구하는 시나리오이다.

B2 시나리오는 인구와 경제성장이 A1과 B1의 중간이고 경제적·사회적·환 경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지역적 해법을 강조하는 지역공존형 시나리오이다.

미래의 세계온도상승 폭에 대해서는 1980~1999년에 비해 21세기 말 (2090~2099)의 평균기온이 1.1~6.4℃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해수면은 열팽창과 육지빙하의 손실로 18~59c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표 2-1>.

표 2-1. 시나리오별 2100년 기온상승 예측

시 나 리 오 온도변화(℃) 해수면상승

최적추정치 예상범위 (cm)

고도성장형 사회 시나리오(A1FI) 4.0 2.4~6.4 26~59

비화석에너지원 중시(A1T) 2.4 1.4~3.8 20~45

에너지원의 균형 중시(A1B) 2.8 1.7~4.4 21~48

다원화사회(A2) 3.4 2.0~5.4 23~51

지속적 발전형 사회 시나리오(B1) 1.8 1.1~2.9 18~38

지역공존형 사회(B2) 2.4 1.4~3.8 20~43

자료: IPCC(2007), p.8.

시나리오별로 미래의 기후변화 예측치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환경 보전과 경제 발전이 양립하는 「지속적 발전형 사회 시나리오(B1)」에서는 약 1.8℃(1.1~2.9℃), 화석에너지원을 중시하는 「고도성장형 사회시나리오 (A1)」에서는 약 4.0℃(2.4~6.4℃)의 상승폭이 예측된다. 단, 2030년까지는 어떤 시나리오를 이용해도 10년당 0.2℃의 비율로 기온이 상승할 것으로

시나리오별로 미래의 기후변화 예측치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환경 보전과 경제 발전이 양립하는 「지속적 발전형 사회 시나리오(B1)」에서는 약 1.8℃(1.1~2.9℃), 화석에너지원을 중시하는 「고도성장형 사회시나리오 (A1)」에서는 약 4.0℃(2.4~6.4℃)의 상승폭이 예측된다. 단, 2030년까지는 어떤 시나리오를 이용해도 10년당 0.2℃의 비율로 기온이 상승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