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바. Career Thought Inventory

문서에서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페이지 42-46)

Sampson (1996)은 진로 문제 해결 및 진로 결정에 관한 비기능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CTI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는 고교생 이상 성인들의 진로에 관한 비기능적 사고들을 측정하고, 그러한 잘못된 사고들에 대한 교정을 유 도하기 위한 도구로서 궁극적으로는 개인의 진로 결정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TI는 검사 개발 과정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진로에 관한 비기능적 신념들 을 3개의 요소로 구분하였다. 즉 CTI의 하위척도는 의사결정 혼돈(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의사결정을 저해하는 정서상태에 의해 의사결정 을 하지 못함), 진로 선택 불안, 외적 갈등(자아와 의미 있는 타자 사이의 균 형감)으로 구성된다.

사. Career D 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DMSE는 진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과제들을 자신이 얼마나 성 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의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CMI의 능력요소들에 대한 자아효능감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Taylor 와 Betz, 1983). 진로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과제들인 정확한 자기 평가, 직업정보 수집, 목표설정, 미래를 위한 계획 수립, 문제해결능력이 검 사의 하위검사를 이룬다.

Ⅳ. 검사의 개념 모형

1. 검사의 특징 및 주안점

진로성숙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과 국내외 진로성숙 검사들에 대한 비판 적 검토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 중・고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진로성숙의 개념 을 규정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검사에서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였다.

첫째, 진로성숙의 인지적 측면을 측정함에 있어서, 일반 언어능력 혹은 읽 기 능력의 영향을 가능한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다. 기존의 검사들에서 인지 적 능력은 일반지능 및 읽기 능력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는 바, 진로 성숙 검사가 실질적으로 지능검사나 언어검사와 동일한 구인을 측정해 왔다 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직업정보, 합리적 직업선택 능력 등 인지적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이 지나치게 어려운 직업명칭이나 어휘를 사용 하고, 지나치게 긴 문장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검사 에서는 진로성숙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언어능력(어휘력이나 독해 력)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어 려운 직업명칭이나 어휘들은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각 문항의 지문이 지나 치게 길어지는 것도 피하고자 한다.

둘째, 진로성숙의 인지적 영역을 자기보고 방식으로 측정한다. 기존의 검 사들에서 인지적 영역은 선택형 능력검사의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런 방법은 다음의 측면에서 문제점을 갖는다. 우선, 선택형 능력검사에서 는 언제나 명확한 하나의 정답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가상적 인 진로 문제상황을 상정하고, 그 속에서 최선의 직업을 선택하거나 진로문 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보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이처럼 가상적인 타인 의 문제를 다루는 능력이 곧 자신의 진로문제를 다루는 능력을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가상적 인물의 최선의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실제 상황에서 진로결정을 내릴 때 요구되는 능력들과는 거리가 있 다고 지적했다(Phillips & Pazienza, 1988). 또한 가상적인 진로 문제 상황은 언제나 현실 속의 진로 결정 상황에 비해 단순하기 마련이다.

셋째, 검사의 개발과정에서 한국 청소년들의 독특한 상황과 문화적 요소들 을 고려하고자 노력하였다.

2. 진로성숙 모형 및 하위척도

본 검사에서는 진로성숙을 태도와 능력 및 행동의 세 측면으로 구분하고, 그 각각을 다음과 같은 하위요소들로 개념화하였다.

태도

독립성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진로성숙

자기이해

능력 합리적 의사결정 직업지식

행동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그림 Ⅳ-1] 진로성숙도 검사 모형

이러한 개념 모형은 기존의 성숙도 검사 및 진로결정과 관련된 검사들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표 Ⅳ-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검사에서의 하위요소들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본 검사에 최종적으로 포함

하기로 한 하위 요소들은 관여성, 독립성, 현실성, 일에 대한 태도, 자기이해, 선호직업에 관한 지식, 합리적 직업선택, 진로문제 해결, 진로정보 획득이다.

또한 관여성은 태도로서가 아니라 준비행동으로서 측정할 것이며, 현실적인 타협능력은 진로의사결정 능력의 한 요소로서 포함하며 독립적인 하위 검사 로 두지 않는다. 아울러 합리적 직업선택, 진로문제 해결, 진로정보획득 능력 은 진로정보활용 및 의사결정능력이라는 하위 요소 안에 포함된다.

<표 Ⅳ-1> 국내외 진로성숙 검사들의 하위척도 및 추출된 하위 영역

하위검사 CD I CM I CV MT 진로 의식

진로

성숙도 진로발달 진로성숙 도 검사

태 도

결정성(Decisiveness) ○ ○ ○

관여성(Involvement) ○ ○ ○ ○ ○ ●1)

독립성(Independence) ○ ○ ○ ○ ●

Orientation*

현실성(Compromise) ○ ○ ●2)

일에 대한 태도 ●

기타 자긍심

성편견

자기이해(Self-Appraisal) ○ ○ ●

진로 관련 지식 ○

직업 지식

(Kn owin g abou t Jobs) ○ ○ ○ ○ ○ ●

선호직업에 관한 지식 ○ ●

합리적 직업선택

(goal selection) ○ ○ ○ ○ ●3)

진로 문제 해결

(Problem Solvin g) ○ ○ ○ ●3)

진로 정보 획득 ○ ○ ○ ●3)

기타 진로

계획

1) 태도로서의 관여성이 아니라 준비행동으로서 측정함

2) 현실적인 타협능력은 진로의사결정 능력의 한 요소로서 포함됨

3) 합리적 직업선택 및 진로문제 해결은 정보활용 및 의사결정 능력이라는 하위 요소 안에 포 함됨

<표 Ⅳ-2> 하위 영역 및 정의

하 위 검 사

태도

독립성 진로결정의 책임을 수용하고,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려는 태도

일에 대한 태도 직업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직업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정도

계획성 자신의 진로의 방향을 설정해 보고 그것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 보는 태도

능력

자기이해 능력, 흥미, 가치, 신체적 조건, 환경적 제약 등 개인이

진로선택에서 고려해야할 개인적 특성들에 대한 이해 정도 정보활용 및 진로결정

능력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며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직업에 대한 지식

일반적 직업에 대하여 알고 있는 정도

자신이 관심을 갖는 직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정도

행동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자신의 진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준비하는 정도

문서에서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페이지 4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