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민이 참여하는 내발적(內發的) 개발/정비를 유도

인다.

둘째, 도시관리계획이 개별대지에 대해 법적 구속력이 너무 경직적인 작용을 하므로 이에 대한 완

3. 가설유형 Ⅰ. 지역형 라멘플란 : 도시기본계획에 적용 - 기본계획의 이원화와 ‘지역형 라

(3) 한편, ‘생활권 환경계획’의 컨셉으로 라멘플란의 적용을 시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 물적

5

2. 계획의 도입을 위한 시범적 연구와 시범계획 구상

외국의 제도를 도입하고자 할 때는 이에 대한 사전 검토를 통해 예상결과를 충분히 고민해보고 결정해야 한다. 라멘플란을 실제로 적용했을 경우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그리고 효과가 있다면 그 제도화를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등을 제대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시범계획 구상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형 라멘플란과 지구형 라멘플란에 적합한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그 결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여 장점이 크다면, 그때 이를 제도화할 수 있도록 이러한 시범계획구상 과정이 필요하다.

R ․ E ․ F ․ E ․ R ․ E ․ N ․ C ․ E

참 고 문 헌

Albers, Gerd 외 1983. Grundriß der Stadtplanung. Akademie für Raumforschung und Landesplanung, München

Bihr, W. 외.1979. Die Bauleitpläne. Stuttgart

용도, 미관 및 안전에 관한 주(州)건축법률(Bau Nutzungsverordnung)

독일 연방 건설법(Baugesetzbuch). 2007

Uwe. Altrock 2005. 라멘플란 세미나 준비자료

Innenministerium Baden-Würtemberg(Hrsg). 1972 "Denkschrift" des

Arbeitskreises "Städtebaulicher Rahmenplan" beim Innenministerium, Stuttgart

Interreg III B-Project in the co-operation area CADSES of the European Union, Fallbeispiel Leipzig.

2006. Bundesministerium für Bauwesen

SchriftreiheStadtentwicklun Band 02.016. Bonn 1978. S.3

Schreck, Veronika, 1996. Der städtebauliche Rahmenplan und seine Einordnung in das System der städtebaulichen Planung von der Zeit des Wiederaufbaus bis zur Gegenwart

Sieverts Thomas (Hrsg.) 1990. Düsseldorf, Stadtplanung heute in:

Zukunftsaufgaben der Stadtplanung

Stich, Rudolf.1974. Normative Anforderungen des demokratischen Rechtsstaates an die städtebauliche Entwicklungsplanung in :Neue Juristisch Wochenteitschriften Heft 38

Schreck, Veronika. 1996. Der städtebauliche Rahmenplan und seine Einordnung in das System der städtebaulichen Planung von der Zeit des Wiederaufbaus bis zur Gegenwart

städtebauliche Rahmenplan Esslingen, Berkheim 93

städtebauliche Rahmenplan Tübbingen, Stuttgarter Strasse 92

städtebauliche Rahmenplan Esslingen Hegensberg / Liebersbronn

städtebauliche Rahmenplan Münster, Altstadt 95

A ․ B ․ S ․ T ․ R ․ A ․ C ․ T

ABSTRACT

There is an effort needed to solve problems which could happen in the planning process, so that the level of environment can meet the target described in a city master plan. It could be more effective at community level at which residents can easily participate in planning process.

Rahmen plan in Germany is positioned in-between city master plan and city management plan. It also indicates the direction of spatial environment at community level. The plan can be applicable to Korean planning system, as guiding physical frameworks to a city management plan which is practical-level (lower-level) planning and carries legal binding force.

In Germany, there are two layers in legal planning system: Flaechennutzungsplan (hereafter F-plan) corresponding to city master plan in Korea including land use planning and Bebauunsplan (hereafter B-plan) similar to district unit plan. Coherence in both plans is importantly considered by the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in local government.

In the planning system, Rahmen plan as a non-legal plan was established in the 1970s and has been used so far, in order to keep such consistency between both plans and to carry out regional-level, subject development plan well. It is characterised as a strategy for development plan of built-up areas. By the merits of its 'unstandarised' features, Rahmen plan has been flexibly adopted as a variety of uses and forms at a variety of areas.

Rahmen plan is an urban planning tool to create a consensus among diverse agents' demands for a further (higher)-level plan. The plan consists of a lot of maps on which the diverse demands are expressed. The maps in the plan can express long and medium term visions beyond the limit of expression in legal plans.

The visions in Rahmen plan are concreted with 'ideas (plots)' as a detailed strategy to be accomplished at the practical level.

Rahmen plan is a medium for communic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as well as a way of consensus among interest groups about the concept of the district development. Rahmen plan functions more than F-plan or B-plan in the process of a lot of development projects in practice. Professionals'

participation is more active in Rahmen plan and, moreover, the plan can be very flexible in forms, types, scales and even legends according to the goal of planning.

Considering its applicability to Korean planning system, there are three roles of Rahmen plan highlighted in this research as follows;

(1) to broadly solve matters related to district unit plan in general and to examine agendas for the designation of the boundary of district unit plan

(2) to conceptualise district-level land use planning and the provision of public facilities as a buffer against the inflexible city management plan having too strong legal binding force

(3) to show broad facilities planning in order to indicate the guidance of development permission for non-urban areas or where there are no city management plan

Korea also needs a plan like Rahmen plan as a buffer between city master plan and city management plan. Some need physical development plan at life zone level, particularly in large-size cities or unitary cities integrated between city and rural areas where contains a variety of distinctive zones of life.

There are two ways of Rahmen plan's applicability to Korea. These ways are not decisive, but a broad pilot model:

(1) Regional-level Rahmen plan which is fulfiled at medium-level of life zone can be helpful to city master plan.

(2) District-level Rahmen plan which can be reflected to city management plan and district unit plan and be adopted as a guidance for development permission. The plan can also be a concept at district and an example for the provision plan of public facilities.

A ․ P ․ P ․ E ․ N ․ D ․ I ․ X

<그림 부록-1> 뵈블리엔시 라멘플란 사례대상 지역

1) Flugfeld (군사공항부지) 라멘플란

□ 입지적 요건

○ 아우토반 고속도로에서 직접연결

○ 뵈블링엔시의 전철및 국철과 연결

○ 벤츠, IBM, PHILLIPS 등과 같은 유수의 국제기업들이 입지

○ 슈트가르트주(州), 신박람회장 ,슈투트가르트대학과 10~20㎞거리 위치하고 휴양지인 Nordschwarzwald(북흑림)이 바로 입구에 위치

<그림 부록-2> Flugfeld 위치

□ 개발 컨셉

○ 고품질의 산업․업무 및 주거단지 조성

○ 연구 및 교육시설입지를 통한 복합단지 조성

○ 녹지 및 휴양시설 겸비하여 쾌적한 단지 환경 조성

○ 총 건축면적 45만㎡, 건축연면적 86만㎡

<그림 부록-3> Fludfeld 전경

□ 라멘플란을 위한 도시공간 설계 구상

○ 현상공모의 구체화와 지구단위계획의 준비

- 도시설계 시 도입 개념 → 도시풍 + 밀도, 근린지구, 녹지공간, 공공공간, 기후 + 환경, 문화재, 교통 및 네트워크

□ 일괄적인 계획과 실현

○ 계획→구입→정리→진입 및 연결도로 개설→판매

- 뵈블링엔 시와 진델피엔 시 자체의 공항부지의 직접적인 감독과 여러 협력사들의 참여

□ 판매 및 마케팅 전략

○ 제플린 풍선으로 유명했던 이곳의 지명도 및 공항부지의 이미지를 이용하고 비행기형태의 풍선 을 이용, 개발지의 이름 및 로고를 부여하는 마케팅 전략 수립

○ Expo Real 등과 같은 박람회 참가, 3D 시뮬레이션제작 등 대대적인 홍보 및 이벤트 개최

□ 지구단위계획 초안

□ 단계별 개발계획

□ 라멘플란의 구체화 계획

○ 주거단지, 녹지, 기반시설 / 병원․건강센타 / 특수용도(문화,여가)와 상업

○ 공지, 녹지공간 디자인/공공공간, 공공공간시설․조명등/공급처리시설

□ 현재 : 판매에 중점

2) Unterstadt 라멘플란

□ 라멘플란의 개념

○ 버스정류장 위치이전 및 신축

○ Wolfgang -Brumme-Allee 거리미화

○ 노후불량주택 블록 지구단위계획

□ 소매(개인)상인 위한 토지이용 및 주거컨셉

□ 교통컨셉

□ 미관 및 녹화컨셉

□ 종합 개발구상

□ 신버스터미널의 개념-도착, 새로운 도시이미지 웅장, 밝은이미지

□ 구 버스터미널 신축지역

□ Friedrich - List 광장 계획컨셉

3) 구도시를 위한 라멘 플랜(Rahmenlan Altstadt)

□ 1955년 항공사진

□ 1969년 -전쟁후의 급작스런 도시확장

□ 1975년 항공사진

□ 구도시 정비를 위한 현황분석 및 청사진 제시

○ 현안 문제 파악 - 공실율의 증가

- 개별 노후건축물의 리모델링 부진 - 발전가능성 및 장기적인 비젼의 부재

○ 2020년 뵈블링엔 개발에 대한 청사진

- 시민, TFTeam, 시의회에서 장기비젼에 대한 토론회 개최

○ 토론 결과에 따른 개발청사진

- 구도시는 매력적이고 중심지적 의미가 강화되어야함 - 밀도와 토지이용의 다양화 및 도시 이미지 개선

□ 구도시 라멘플란 전략

○ 구도시의 프로필(윤곽)을 정의하고 이용을 지원

- 구도시 지역 각각의 특성을 구분하고 이러한 특성은 향후 입지하게 되는 상업용 건물 ,주거지 성격의 근간이 되며 이들을 지원하는 근거가 됨

○ 주거기능 도입으로 매력적인 환경 조성

- 도심공동화현상이 발생한다면 도시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따라서 주거기능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며 이에 부수되어 주거환경과 기반시설의 개선 필요

○ 공공공간의 확충 필요

- 사회복지, 문화, 교육부문은 공공성이 강함에 따라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 주요한 요소임. 따라 서 이러한 공공시설이 강화방안 강구가 필요함

○ 도시 이미지를 개선하고 연결점 구축

- 자연적인 요소 도입을 통한 도시미관 개선, 연결성과 접근성 개선

○ 함께하는 적극적인 협상, 잠재능력 표출 - 네트워크를 통한 참여자들의 협력체계 구축

□ 개발전략의 단계별 실행계획

○ 1단계: 구도시의 프로필(윤곽)을 정의하고 이용 지원 - 구도시 각 구역별 특성부여

○ 2단계: 주거기능 도입으로 매력적인 환경 조성 - 주거환경 및 기반시설 개선

○ 3단계 : 공공공간의 확충 및 집중

○ 4단계: 도시이미지를 개선하고 연결점 구축

○ 5단계: 함께하는 적극적인 협상, 잠재능력 표출

2. 슈투트가르트 에실링엔市 라멘플란

○ 방문일시 : 2008년 2월 17일

○ 방문자 : 수원대 이원영교수, 한양대 이석정교수, 협성대 이재준교수 및 화성시 공무원 다수 ○ 연수내용 : Rahmem Plan 특강 및 현지 견학

○ 시청 면담자 : 에실링엔시청 건설시장 Wilfried Wallbrecht ○ 통역 : Stuttgart 공대 도시계획박사과정 문기덕

○ 후원 : 화성시

<그림 부록-4> 에실링엔시청 건설시장 Wilfried Wallbrecht씨로부터 라멘플란에 대해 설명을 듣는 모습

<그림 부록-5>

에실링엔시청 건설시장 Wilfried Wallbrecht 씨로부터 에실링엔市 전반에 대한 설명을 듣는 모습

<그림 부록-6>

라멘플란시행지구 현지답사에서 건설시장으로부터 설명 듣는 모습

○ 에실링엔시 라멘플란 대상 사례지역 - 베르크하임(Berkheim)구 라멘플란 - 오버에실링엔(Oberesslingen)구 라멘플란 - 도심정비 라멘플란

1) 베르크하임(Berkheim) 구 라멘플란

□ 현황조사

○ 상위 및 관련계획

○ 용도지역현황

○ 녹지 및 공지

□ 토지용도 및 녹지구상

○ 토지용도구상

○ 녹지 및 공지 구상

○ 교통계획 Plan 1

○ 교통계획 Plan 2

□ 라멘 플랜

2) 오버에실링엔 區 라멘플란

□ 계획대상지의 입지 및 분류

□ 현황조사 및 분석

○ 공지현황

○공공시설 및 생활권 현황

○ 공급처리 및 기반시설 현황

○ 학교 및 학생분포 현황

○ 건축물 현황

○ 교통 현황

□ 개발 및 정비 전략

○ 공지 개발전략

○ 토지이용 전략

○ 교통처리대책

○ 건축물 유도 및 규제 전략

□ 공간 구조 대안 설정

□ 최종 대안 (목표안)

□ 현실화 단계

□ 오베에슬링엔 라멘 플랜

3) 도심 내 광장 및 거리 정비를 위한 라멘플란

□ 광장 및 가로의 역사적 구분

□ 광장 및 가로변의 주기능 분석

□ 미래거리의 미관요소

□ 광장과 거리의 유형화

□ 도시의 공간별 주기능

□ 가로 위계별 연계 체계

□ 가로별 공간의 역사적 구분

□ 시민형태를 통해서 본 공간성격 분석

□ 도시입구 및 광장에 대한 청사진

□ 미관특성을 위한 청사진

□ 라멘 플랜 1(거리별 용도 및 타입, 광장의 기능부여)

□ 라멘 플랜 2(벽면 재질 및 가로 식재, 조명 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