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향유(Cultural enjoyment/文化享有)란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자신 의 정신적, 물질적 만족을 주는 이 과정을 말한다. “문화향유”를 논의하는 용어와 개념을 먼저 짚어보고자 하면 ‘문화향유’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해 온 영국, 미국, 유럽 등에서는 주로 ‘Cultural enjoyment(문화향유)’, ‘Cultural Participation(문화참여)’, ‘Cultural engagement(문화참여)’등 많이 교차되어 사용

구 분 내 용

선사 문화 석기문화

고대 문화 그리스문화, 고대 로마문화, 고대 바빌론문화, 이 란문화, 인도문화, 중화문화

근대 문화 제국주의문화, 식민지문화, 현대자본주의문화 현대 문화 사회주의문화, 자본주의문화, 제3세계문화

포스트모던 문화 선진국 문화, 개발도상국 문화, 미개발 국가 문화 미래 문화 디지털 문화

<표 2-3> 시대에 따른 문화의 분류

하고 있다.

‘Cultural Participation(문화참여)’, ‘Cultural engagement(문화참여)’ 둘 다 문 화 참여라는 의미지만 어느 정도 차이는 있다. 먼저, ‘Cultural Participation’의 경 우 넓은 의미로는 문화예술 창작과 문화예술 관람 전체를 포괄하는 경우에 사용 된다. 하지만 주관적이고 능동적인 면이 있다. 반면에 ‘Cultural engagement’ 역 시 유사한 개념으로 폭넓은 ‘향유’를 일컫기도 하지만 예술적 경험이 개인에게 발하는, 혹은 개인이 투입하는 경험적 주체성과 헌신적 관계 맺기의 정도와 영향 에 대한 인지를 보다 적극적으로 내포한 개념이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을 살펴보면 ‘문화 향유(享有)‘와

’문화 향수(享受)‘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사실 문화 향유와 문화 향수 는 문화 참여의 한 과정에 대한 표현이다. 그러나 문화 향유는 그 자체로 문화 참여의 권리를 갖는다는 점에서 객관성이 있다. 문화향수는 문화참여에 대한 표 현이고 주관적이다. 문화 향유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보면 Kreidler, J., &

Trounstine, P.J. (2005)는 “문화 향유의 개념 모델은 예술 전문가들이 이 가장 좁은 의미를 생산하고 전달하는 장면에 고정되어 널리 알려진 정의는 함양성 활 동을 포함하고 가장 넓은 의미의 장면으로서 문화 소양을 포함하는 데 목적을 둔다. 문화 소양은 전통, 미학, 예의, 풍습, 언어와 예술의 유창성,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을 적용하는 힘을 포함한다.16)”라고 했으며 KatyaJohanson(2014)는 “향유 (Participation)를 넓고 포용적인 개념으로 전문적 활동과 비전문적 활동을 모두 를 아우름 문화 예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여러 다른 스킬을 갖고- 작곡가, 교사, 학생, 비평가, 후원자, 소비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개별적 으로 혹은 집단의 형태로, 정기적으로나 산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17)”라고 정 의했다. UNESCO(2017)에 따르면 예술 인게이지먼트 (arts engagement)는 활동 들과 매개체를 통한 다양하고 기획된 다양한 프로세스와 활동들, 조직행동들로 구성된 단계다. 활동과 매개는 워크숍을 통한 능동적 참여, 교육적 활동, 디지털 디바이스, 문화 간 접근 방법들, 문화기획에의 참여, 예술 작업에의 참여적 기여

16) Kreidler, J., & Trounstine, P.J. (2005). Creative Community Index: Measuring Progress Toward a Vibrant Silicon Valley. San Jose, CA: Cultural Initiatives Silicon Valley. 3-15.

17) KatyaJohanson(2014). New modes of arts participation and the limits of cultural indicators for local government. Poetics. pp43-59.

아웃리치 등이 있다.18) 한국에도 문화 향유에 대한 학자의 정의가 있다. 이대희 (2001)는 “문화향유는 문화의 맛을 흡족하게 누린다는 뜻이다. 문화상품을 통해 전달되는 진정한 문화의 맛을 즐기는 행위가 문화향수다.19)”라고 했다. 김두이·금 현섭(2018)은 문화예술 향유가 공연이나 전시의 형태로 유통되는 문화예술 산물 을 직접 소비하는 등의 태도나 그러한 문화예술을 향유하고자 하는 의지나 선호 로 정의된다.20)

앞에 논의한 문화향유에 대한 정의 외에도 많은 문화향유에 관한 개념들이 있 다. 예를 들면 ‘지역문화향유’, ‘문화향유권’등이 있다. 먼저, ‘지역문화향유’의 개념 은 통상적으로 지역민의 문화예술 체험 확대를 통하여 문화적 감동과 정신적 여 유를 체득케하고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나아가 지역 문화 복지를 구현하 기 위한 실천적 개념이라 정의하고 있다.21) 중국의 작가 傅才武·蔡武进(2015)는 문화 향유 권리가 기본권의 범주에 속하며 그는 정치권력과 함께 시민으로서 누 려야 할 법익이자 국가와 그 정부가 보장해야 할 기본적 인권이다. 국제법은 물 론 오늘날 세계 대다수 국가의 헌법이 문화향유권리를 인정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중국은 현행 헌법에도 시민의 문화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22) 王维·毛 芳怡(2020)는 문화향유가 사람들이 문화상품이나 문화행사로 자신의 정신적 문화 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소비행위를 말한다. 문화오락, 교육 등이 주류를 이룬다.

지식을 바탕으로 정신노동을 주체로 하는 새로운 경제 형태에서 문화소비가 점 차 주류화 하는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23)

위의 문화 향유에 대한 정의를 정리한 말은 아래의 <표2-4>와 같다.

18) UNESCO(2017). Arts in a Digital World Summit: https://en.unesco.org/.

19) 이대희 (2001), 「문화산업론」, 대영문화사.

20) 김두이·금현섭 (2018). 「문화예술향유의 다양성 측면에 대한 분석: 혼종성과 균등성을 중심으 로」. 문화정책농촌. 32(12):115-143.

21) 이창기 (2015). 「공공문화예술회관 관점의 지역문화향유지수에 대한 실증연구」. 문화예술콘텐 츠, (15): 273-302.

22) 傅才武·蔡武进(2006). 「文化权利論」 中国文化产业评论 (21):32-42.

23) 王 维·毛芳怡(2020). 「基于文化消费需求的文创设计研究」 理论研究 (03):102-104.

학자 정 의

Kredler and Trounstine

(2005)

문화 향유의 개념 모델은 예술 전문가들이 이 가장 좁은 의미 를 생산하고 전달하는 장면에 고정되어 널리 알려진 정의는 함 양성 활동을 포함하고 가장 넓은 의미의 장면으로서 문화 소양 을 포함하는 데 목적을 둔다. 문화 소양은 전통, 미학, 예의, 풍 습, 언어와 예술의 유창성,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을 적용하는 힘을 포함한다.

Johanson et al.

(2014)

향유(Participation)를 넓고 포용적인 개념으로 전문적 활동과 비전문적 활동을 모두를 아우름 문화 예술 활동에 참여하는 사 람들은 여러 다른 스킬을 갖고- 작곡가, 교사, 학생, 비평가, 후 원자, 소비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혹은 집단의 형태로, 정기적으로나 산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UNESCO (2017)

예술 인게이지먼트 (arts engagement)는 활동들과 매개체를 통 한 다양하고 기획된 다양한 프로세스와 활동들, 조직행동들로 구성된 단계다. 활동과 매개는 워크숍을 통한 능동적 참여, 교 육적 활동, 디지털 디바이스, 문화 간 접근 방법들, 문화기획에 의 참여, 예술 작업에의 참여적 기여 아웃리치 등이 있다.

이대희 (2001)

문화향유는 문화의 맛을 흡족하게 누린다는 뜻이다. 문화상품 을 통해 전달되는 진정한 문화의 맛을 즐기는 행위가 문화향수 다.

김두이·금현섭 2018

문화예술 향유가 공연이나 전시의 형태로 유통되는 문화예술 산물을 직접 소비하는 등의 태도나 그러한 문화예술을 향유하 고자 하는 의지나 선호로 정의된다

傅才武,·蔡武进.

2015

문화 향유 권리는 기본권의 범주에 속하며 그는 정치권력과 함 께 시민으로서 누려야 할 법익이자 국가와 그 정부가 보장해야 할 기본적 인권이다.

王 维·毛芳怡 2020

문화향유는 사람들이 문화상품이나 문화행사로 자신의 정신적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소비행위를 말한다.

<표 2-4> 문화향유의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