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측정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 검정

본 연구의 문화행사 분석모형과 측정변수의 신뢰고 검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의 신뢰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사용된 조사도구의 문항간의 일관성을

구분 B_a B_b B_c B_d B_e B_f

여가생활 및 취미생활을

위하여

평균 3.970 3.726 3.983 3.983 3.734 3.954 표준편차 0.766 0.886 0.654 0.792 0.812 0.727 학교 내

수업으로

평균 3.932 3.553 3.674 3.929 3.738 4.132 표준편차 0.682 0.974 0.904 0.911 0.935 0.656 사람들을

사귀기 위하여

평균 3.945 3.699 3.812 3.790 3.699 4.081 표준편차 0.647 0.864 0.851 0.848 0.831 0.657 자신발전 및

성취감을 위하여

평균 4.005 3.721 3.883 3.892 3.692 4.063 표준편차 0.632 0.809 0.718 0.807 0.853 0.707 가족화목을

위하여

평균 4.148 3.738 3.770 4.079 3.810 4.195 표준편차 0.536 0.760 0.798 0.702 0.846 0.443 문화여행을

위하여

평균 3.835 3.649 3.667 4.006 3.816 4.000 표준편차 0.750 0.829 0.842 0.786 0.783 0.661

기타 평균 3.829 3.762 3.381 3.333 3.143 4.029 표준편차 1.009 0.535 1.079 1.291 1.103 0.725 f 0.959 0.297 1.659 1.314 0.768 0.801 유의확률 0.453 0.938 0.130 0.250 0.596 0.570

<표 4-29> 방문목적에 따른 교차분석결과

측정하기 위해 문항점수의 분산을 고려한 Cronbach’s α 계수를 활용하였다. 일반 적으로 Cronbach’s α 계수의 값이 0.60초과 되면 측정도구의 신뢰도가 높아 신뢰 할 수 있은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의 문화시설의 측정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 검정 결과는 다음 <표4-30>과 같다. 종속변수인 시설만족도가 0.870, 매개변수인 참여의사가 0.875이다. 독립변수인 접근성이 0.879, 안전성이 0.841, 편의성이 0.855, 정책지원이0.867, 모두 0.8을 초과하여 문화시설의 결과 신뢰도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뢰도는 후술할 타당도의 필요조건이다. 타당성을 고찰 해 보면 표준화 요인의 값들도 대부분 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 으며 CR(t값)는 모두 높게 나타났고 P값이 0.000로 (p<0.01) 나타났으니 통계적 으로 유의이하다고 판단한다.

변수 요인 문항 표준화

요인 값 표준오차 CR(t값) P값

Cronb ach’s

α

종속 변수

시설 만족도

만족도 1.000 - -

-0.870 만족도 1.010 0.070 14.457 ***

만족도 0.995 0.066 14.984 ***

만족도 1.016 0.067 15.204 ***

만족도 0.943 0.064 14.729 ***

독립 변수

접근성

접근성 1.000 - -

-0.879 접근성 1.155 0.064 17.952 ***

접근성 1.048 0.06 17.569 ***

안전성

안전성 1.000 - -

-0.841 안전성 0.941 0.064 14.736 ***

안전성 1.062 0.068 15.627 ***

편의성

편의성 1.000 - -

-0.855 편의성 0.897 0.055 16.200 ***

편의성 0.961 0.058 16.714 ***

정책지원

정책지원 1.000 - -

-0.867 정책지원 0.985 0.054 18.207 ***

정책지원 0.913 0.054 17.039 ***

<표 4-30> 문화행사의 측정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 검정

*p<0.05, **p<0.01, ***p<0.001

(2) 상관관계 분석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에 선행하여 문화행사의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지 원, 참여의사,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변수의 상호작효의 관계성을 분석하 기 위하여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은 대표적으로 사용하 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활용하여 이는 변수들의 측정에 사용된 척도가 등간, 비율 척도인 경우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이다.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연구 모형에 포함된 변수 간의 상호연관성의 정도와 본 연구 결과에서 설정한 변수의 개략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p<0.05, **p<0.01, ***p<0.001 매개

변수 참여의사

참여의사 1.000 - -

-0.875 참여의사 0.951 0.060 15.751 ***

참여의사 0.905 0.068 13.266 ***

참여의사 1.020 0.066 15.519 ***

참여의사 1.037 0.063 16.414 ***

구분 접근성 안정성 편의성 정책지원 만족도 참여의사

접근성 1

안전성 0.301** 1

편의성 0.291** -0.009 1

정책지원 0.238** 0.244** 0.141** 1

만족도 0.383** 0.165** 0.332** 0.238** 1

참여의사 0.241** 0.070 0.385** 0.072 0.302** 1

<표 4-31>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위에 표는 주요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r값과 유의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독립변수인 편의성과 안정성의 상관 계수만 부(-)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되었고 나머지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정성, 정책지원, 종속변수인 만족도, 매개변 수인 참여의사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산 관관계 계수의 값을 살펴보면, 독립변수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독립변 수의 하위요인인 편의성과 참여의사의 관계가 0.38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지만 독립변수의 하위요인인 안전성과 참여의사의 관계가 0.070로 가장 낮은 상 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3)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문화시설의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지원 및 문화시설에 대한 만족도 관 계 사이에 참여의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모형의 절대적합도의 χ²값이 214.623으로 나오고 RMSEA값이 0.017로 허용 기준치 0.08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증분 적합도는 NFI 값이 0.952, TLI 값이 0.994, IFI 값이 0.995, CFI 값이 0.995으로 다 기준치 0.9보다 커서 허용기준치 내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간명적합도는 PNFI 값이 0.730, PCFI 값이 0.763 기준치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연구모형은 비 교적으로 접합하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표4-33>과 같다.

모형 절대적합도 증분 적합도 간명적합도

χ² RMSEA NFI TLI IFI CFI PNFI PCFI 기본모형 214.623 0.017 0.952 0.994 0.995 0.995 0.730 0.763 기준치 <0.08 >0.9 >0.9 >0.9 >0.9 큰 값 큰 값

<표 4-32> 구조 모형의 적합도

첫째, 문화행사의 접근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0.042)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 값은 0.539로 0.05보다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문화시설의 접근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0.142)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P값이0.000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둘째, 문화행사의 안전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0.092)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 값은 0.234로 0.05보다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문화시설의 안전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이 0.209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P값이0.003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셋째, 문화행사의 편의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0.378)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 값은 0.000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문화시설의 편의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 (0.353)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P값이 0.000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넷째, 문화행사의 정책지원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 화 요인 값(-0.148)이 부(-)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리고 P값은 0.053로 0.05보다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문화시설의 정책지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0.190)이 부(-)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고 P값이 0.006으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행사의 참여의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0.142)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P값은 0.010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p<0.05, **p<0.01, ***p<0.001

4. 가설의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의 틀에 따라, 문화시설의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

구분 표준화

요인 값

비표준화

요인 값 표준오차 CR(t값) P 참여의사 ← 접근성 0.042 0.036 0.059 0.614 0.539 참여의사 ← 안전성 0.092 0.08 0.067 1.19 0.234 참여의사 ← 편의성 0.378 0.3 0.054 5.577 0.000***

참여의사 ← 정책지원 -0.148 -0.115 0.060 -1.934 0.053 만족도 ← 참여의사 0.142 0.145 0.057 2.566 0.010*

만족도 ← 접근성 0.274 0.238 0.055 4.324 0.000***

만족도 ← 안전성 0.209 0.186 0.062 2.991 0.003**

만족도 ← 편의성 0.353 0.286 0.053 5.42 0.000***

만족도 ← 정책지원 -0.190 -0.151 0.055 -2.734 0.006**

<표 4-33> 문화행사의 구조방정식 및 가설 분석 결과

책지원이 독립변수, 문화행사의 만족도를 종속변수, 그리고 참여의사를 매개변수 로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상에서 검증된 문화행사의 결과를 정리하 면 다음<표 4-34>과 같다.

문화행사에 대한 구조방정식 및 가설의 분석 결과를 따르면 문화행사의 접근 성, 안정성과 편의성은 문화행사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하고 편의성은 문화행사의 참여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반면에 문 화행사의 정책지원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하고 접근성, 안전 성과 정책지원은 문화행사의 참여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한다. 매 개변수인 참여의사는 문화행사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5. 함의 및 소결

이절에서 문화행사의 수집된 데이트에 대해 기술통계, 교차분석, 구조방정식분 석, 신뢰도 및 타당성검사, 가설검증 등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술통계는

가설 가설의 내용 채택

여부 가설2-1: 문화행사 접근성은 문화행사 참여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가설2-2: 문화행사 안전성은 문화행사 참여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가설2-3: 문화행사 편의성은 문화행사 참여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가설2-4: 문화행사 정책지원은 문화행사 참여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가설2-5: 문화행사 참여의사는 문화행사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가설2-6: 문화행사 접근성은 문화행사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가설2-7: 문화행사 안전성은 문화행사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가설2-8: 문화행사 편의성은 문화행사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가설2-9: 문화행사 정책지원은 문화행사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표 4-34> 문화행사의 가설 검정 결과

종속변수인 문화시설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지원, 매개 변수인 참여의사 등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기술통계분석을 한다. 다음으로 교차분 석은 주로 성별, 연령, 학력, 한국어 수준, 거주지, 방문 목적 등 6가지 통계변수 와 종속변수인 문화행사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지원, 매개변수인 참여의사 간의 교차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그리고 신뢰도와 타당성을 고찰해 보면 Cronbach’s α값이 모두 0.8을 초과하여 문화시설의 결관 신뢰도가 문제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고 표준화 요인의 값들 대부분 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CR(t)값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니 통계적으로 유의이 하다고 판단한다.

문화행사에 대한 구조방정식 분석 및 가설의 검증결과를 통해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참여의사 향상이 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편의성 향상이 문화행사 의 참여의사를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접근성, 안전성 정책지원은 참 여의사와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 반면 정책지원이 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지 않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고 마이너스여서 정책 지원이 많을수 록 만족도가 낮아진다는 것이다. 그 결과 정책지원이 증가함에 따라 문화행사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정학·허상현(2006)은 관광객의 국적별 화상 방문동기 조사에서 중국인이 39.4%로 한국 고유의 전통경관에 더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1). 문화행사 참여과정에서 정책지원이 많을수록 문 화만족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재한 중국인들이 문화행사 참여과정에 언어지원, 외 국인 공동구매 할인 혜택 등의 정책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이 보다 완전한 한국 문화행사 체험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절 문화시설 및 문화행사의 비교분석

91) 오정학·허상현 (2006). 「외국인 관광객의 문화관광 행태에 관한 비교 연구: 수원 화상을 중심 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1(2):141-154.

앞부분은 각각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구조방정 식분석 등을 했다. 본 절에서는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의 요인 영향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앞의 부분을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한다. 정리된 내용은 아래 <표 4-35>와 같다.

*p<0.05, **p<0.01, ***p<0.001

문화시설과 문화행사 결과의 공통점으로 보면, 안전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고 P값은 0.05보다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될 수 있다. 편의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 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P값이 0.05보다 작은 것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정책지원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이 다 부(-)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P값이 다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확인될 수 있다. 참여의사, 접근성, 편의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P값이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구분

문화시설 문화행사

표준화 요인

값 P 표준화요인

값 P

참여의사 ← 접근성 0.142 0.038* 0.042 0.539 참여의사 ← 안전성 0.044 0.499 0.092 0.234 참여의사 ← 편의성 0.399 0.000*** 0.378 0.000***

참여의사 ← 정책지원 -0.037 0.548 -0.148 0.053 만족도 ← 참여의사 0.176 0.005** 0.142 0.010*

만족도 ← 접근성 0.276 0.000*** 0.274 0.000***

만족도 ← 안전성 0.041 0.502 0.209 0.003**

만족도 ← 편의성 0.189 0.003** 0.353 0.000***

만족도 ← 정책지원 0.139 0.017* -0.190 0.006**

<표 4-35> 문화시설 및 문화행사 비교